$\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마을단위 경관진단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Measure of Rural Villages Landscapes Level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19 no.3, 2013년, pp.107 - 116  

송희중 (한국농어촌공사) ,  김대식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지역환경토목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t provides the diagnostic index for the rural landscape 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this study first analyzed documents and papers on the landscape formation. Landscape types are also classified by their function and then landscape index was developed by AHP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단위 경관 진단을 위하여 농촌의 다양한 경관 요소를 반영한 경관진단 지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관평가 관련 지표를 수집 분석 및 지표영역을 분류하고 각 지표의 상대 비교를 통해 중요도를 체계화하는 계층적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고자 한다. AHP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전문가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화된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단위 경관 진단을 위하여 농촌의 다양한 경관 요소를 반영한 경관진단 지표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경관평가 관련 지표를 수집 분석 및 지표영역을 분류하고 각 지표의 상대 비교를 통해 중요도를 체계화하는 계층적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고자 한다. AHP를 수행하기 위해서 다수의 전문가로부터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결과를 분석하여 체계화된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농촌마을단위 경관형성을 위한 진단지표 개발을 위해 관련 지표들을 문헌 및 설문조사를 통해 도출하여 체계화하였다. AHP법 형태의 델파이조사를 1, 2차 수행하여 최종 분류체계를 완성한 결과 대분류 2개, 중분류 10개, 소분류 20개의 체계를 완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경관의 개념은? 이에 맞춰 농림수산식품부에서도 농림지역의 난개발로 인해 농촌다운 모습이 많이 훼손되고 농촌의 도시적 요소 증가에 따라 농촌경관을 중요한 어메니티 자원으로 인식하면서고 농어촌지역에 대한 경관보전 및 관리를 주요 정책과제로 선정하였다. 농촌경관의 개념도 농촌의 특성상 인간 공동체와 자연환경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문화, 가치관, 사회제도, 농업기술 등 문화적 요소까지 포함하여 농업, 마을, 자연 등 농촌의 인공적 요소와 자연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어우러져 형성된 경치로 정의하고 가치를 부여하였다. 그런데 최근 농촌경관계획은 농어촌경관계획수립 및 경관관리 업무편람(농림수산식품부, 2008)에 따라 공간유형별 평가로 이루어져 농촌경관의 다양한 요소를 반영한 종합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며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방안 연구(김성학 등, 2009)에서도 농촌 지역사회 공동체 및 생활권 등이 면밀하게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으므로 다양한 경관 요소를 반영한 농촌 경관 진단 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자연경관이 인공경관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상반되는 것에 대한 의견은 무엇인가? 각 사업항목의 중요도를 AHP조사를 통하여 학계, 한국농어촌공사, 업계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마을경관을 마을 주변경관보다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영운 등(2009)이 산정한 농촌경관평가요소에서 자연경관이 인공경관보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나는 것과는 상반되는데 이는 기존의 농촌경관이 농촌다움을 유지하는 농촌 공간구성요소 전체라는 점에서 자연경관이 중요하다는 점에는 틀림이 없으나 최근 농촌다움을 회복하기 위한 노력에서 마을단위의 경관회복이 현실적으로 더 중요하다는 판단에서 마을 주변 자연경관보다 마을경관에 큰 비중을 둔 것으로 판단된다.
전문가집단에 대하여 1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한 지표의 변경점은? 이를 대상으로 관련 공무원 5명, 공공기관 16명, 학계 5명, 업계 전문가 12명, 총 42명 전문가집단에 대하여 1차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응답자는 21명 이었다. 1차 델파이조사 결과 각 분류체계 위계의 단절 및 고르지 않은 레벨 차이와 향후 경관형성 진단지표의 적용성의 한계로 지표별 분류체계를 수정했으며 지표 통합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농촌경관형성지표를 체계화하는데 도달하였으며 전반적으로 명칭의 수정·보완 및 재그룹핑 또는 분류의 위치 변경이 있었으며 지표도 31개에서 20개로 축소되었다. 1차 시안의 대분류인 경관형성·경관보전·경관관리는 경관요소의 상태에 따른 개선 또는 단계별 가치증진의 개념차원으로 대분류 체계에 부적합한 점과 농촌의 산림녹지, 농지 규모가 마을에 비해 면적 비중이 크므로 권역 전체에 대하여 농촌경관 종합 진단이 왜곡될 수 있는 점을 들어 마을경관(인문경관)과 마을주변경관(녹지, 농지, 생태, 하천 등 자연경관)으로 대분류하고 각 대분류별로 구분하여 진단할 수 있도록 분류체계를 정비하였으며, 중분류 및 소분류에서도 전문가 의견에 따라 마을의 경관적 개방성을 평가할 수 있는 입지(풍수적), 가로시설, 교통시설, 골목길, 영농형태 지표를 추가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강영은, 최동욱, 홍성희, 민수희, 김상범, 임승빈, 2010, 농촌 원형경관의 문화재적 가치 속성 및 중요도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117-129. 

  2. 김대식, 전택기, 배승종, 2010, 농촌마을단위의 정주환경진단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 16(3), 27-41. 

  3. 김상범, 강방훈, 김혜민, 2006, 농촌경관의 요소별 선호도 및 중요도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4. 김상범, 강방훈, 김혜민, 2006, OECD 농업경관지표를 활용한 농촌경관의 특성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2006년도 추계학술대회, 2006 농림과학기술대전 학술행사 논문집. 

  5. 김상범, 이상영, 2006, 농촌경관계획을 위한 공간별 주요경관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13-18. 

  6. 김성학, 양병이, 2009, 농촌 마을경관을 고려한 지역경관계획 수립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3), 82-90. 

  7. 김용수, 박찬용, 2007, 도시근교 택지개발지역의 경관계획지표 적용방안,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3), 51-60. 

  8. 김충희, 김동찬, 2010, 농촌경관의 시각 정체성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23-32. 

  9. 김한수, 오충현, 2011, 경관지수를 활용한 농촌마을 유형분류,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1-13. 

  10. 나정화, 구지나, 이현택, 조현주, 2011, 토지의 경관 유형분류와 이에 기초한 입지타당성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5), 57-75. 

  11. 나정화, 류연수, 2002, 도시 비오톱의 자연체험 가치 평가모형의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0(3), 1-11. 

  12. 나정화, 류연수, 사공정희, 2001, 평가지표에 의한 도시 비오톱의 가치평가, 한국조경학회지, 29(1), 100-112. 

  13. 나정화, 이정민, 2002, 도시 비오톱의 경관생태학적 특성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0(6), 128-140. 

  14. 나정화, 조현주, 이현택, 김진효, 박천진, 2011, 자연 체험 및 휴양가치 등급 설정을 위한 비오톱 구조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27-41. 

  15. 나정화, 채인홍, 사공정희, 류연수, 2003, 도시계획 지역 내 농경지의 잔여경관요소에 대한 경관생태학적 평가 및 보존방안, 한국조경학회지, 31(5), 31-42. 

  16. 박근동, 홍선표, 노희철, 황재훈, 2012, 경관유형별 경관요소 중요도 및 상관성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47(7), 129-139. 

  17. 박천진, 나정화, 조현주, 김진효, 권오성, 2012, 비오톱 유형분류를 기반으로 한 경관평가 모협개발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40(4), 114-126. 

  18. 반영운, 김민아, 정재호, 백종인, 2009, 가법형 통합 지수 산정모형을 이용한 주관적 농촌경관 평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2), 27-42. 

  19. 반영운, 백종인, 김민아, 윤진옥, 2008, 전문가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한 농촌경관 유형분류 및 평가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3), 53-61. 

  20. 배민기, 박창석, 오충현, 2012, 경관단위 기반 수변환경의 심미적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40(1), 43-56. 

  21. 백종인, 반영운, 우혜미, 초나래, 2010, 공간유형별 농촌경관 평가 및 비교 분석,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1-11. 

  22. 손주동, 안동만, 2006, 농촌경관 선호도와 농촌다움에 기초한 농촌 경관 관리 연구, 2006 한국조경학회 춘계학술논문 발표회 논문집. 

  23. 신지훈, 2010, 농촌경관의 보전 및 개선을 위한 경관사업의 도입 방안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4), 77-86. 

  24. 안명준, 배정환, 주신하, 신지훈, 이동근, 2008, 농촌어메니티 경관의 평가 체계 개발과 적용,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4(2), 77-84. 

  25. 양병이, 이관규, 2000, 단지규모 개발사업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녹지 평가모형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8(2), 97-107. 

  26. 엄대호, 김대식, 김태철, 김은순, 2006, BSC에 의한 농촌마을 그린투어리즘 성과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2(3), 43-55. 

  27. 유주한, 정성관, 2002,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한국조경학회지, 30(2), 39-49. 

  28. 이관희, 박종웅, 권수광, 김영표, 2003, 마을환경개선을 위한 주민참여지표 개발, 한국농촌계획학회지, 9(2), 13-17. 

  29. 이상문, 최형석, 박청석, 주신하, 신지훈, 2007, 자연 경관 보존 및 관리를 위한 제도적 접근, 13(3), 23-32. 

  30. 이승한, 김대식, 2010, AHP법을 이용한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사업항목별 중요도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6(3), 43-49. 

  31. 이우성, 2011, 산림녹지의 계획 및 관리를 위한 자연생태적 기능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9(5), 1-11. 

  32. 이정아, 이유경, 이상우, 전진형, 2011, 수변 농촌마을의 경관 자원 우수성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3), 91-101. 

  33. 장래익, 이명우, 2009, 생태경관다양성과 시각경관 민감도를 적용한 GIS중첩평가 계획기법, 한국조경학회지, 37(4), 22-31. 

  34. 장철규, 정성관, 김경태, 2011, 도시개발사업의 경관 평가를 위한 조망점 선정체계 구축 및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9(3), 39-50. 

  35. 정순오, 2009, 도시림의 보호 및 증진관리를 위한 계획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5(4), 135-146. 

  36. 조유경, 공은미, 2011, 경관제어요소에 관한 전문가 집단 간 인식차이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2), 29-39. 

  37. 조현주, 이현택, 사공정희, 나정화, 2010, 비오톱의 자연체험 및 휴양가치 평가모형 개발과 적용, 한국조경학회지, 38(4), 11-24. 

  38. 주신하, 김영희, 2011, 국내 경관계획 관련지침 및 계획내용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9(4), 1-10. 

  39. 주신하, 백운해, 신지훈, 목정훈, 2008, 중요도-성취도 분석에 의한 경관계획 작성 단계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36(4), 74-82. 

  40. 한경수, 김기현, 전택기, 엄대호, 최윤상, 2007, 농촌 마을종합개발사업 중간 점검을 위한 평가지표 적용 사례,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3(2), 121-132. 

  41. 한봉호, 최진우, 염정헌, 안영희, 2012, 택지개발지역의 입지유형에 따른 공원녹지확보 적용지표 개발, 한국조경학회지, 40(1), 34-42. 

  42. 허지연, 이경재, 한봉호, 2011, 도심 산지형공원의 생물서식 기능 및 친자연적 이용을 위한 개선방안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9(4), 83-97. 

  43. 홍석환, 이경재, 2008, 시가화지역 생태적 유형구분 을 위한 관련지표 특성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6(2), 24-3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