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s and Fear of Negative Evaluation 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원문보기

兒童學會誌 =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v.34 no.4, 2013년, pp.37 - 52  

김세영 (신경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아동전공)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odel the effects of ego strength, stress coping styles, fear of negative evaluation, and the effects these concepts have upon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Data were collected from 580 fifth and six grade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In summary, the results indic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가설적 관계 경로를 정리하고자 한다. 첫째, 아동의 자아강도는 교우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한편(Choi, 2013),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간접적인 영향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Matthew & Tian, 2006).
  • 이는 Song, Lee 그리고 Oh(2010)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단연구에서 아동의 교우관계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자아관이며, 그 다음으로 부모관계, 교사관계라고 보고한 결과와 일치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교우관계에 미치는 자아강도의 단순한 영향력을 밝히는 것에서 나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과의 관계를 통해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역동적 관계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아동의 교우관계 증진을 위한 보다 폭넓은 개입의 관점을 제공하였다. 실제로 심리내적 특성인 자아강도를 강화시키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 방안에 대해서는 심리극, 모래놀이치료 등의 전문적인 심리치료 기법 외에는 아직 이렇다 할 충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아(Park, 2011; Lee & Lee, 1993), 보다 예방적 차원의 교육장면에서 개입을 통해 교우관계를 증진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 즉, 자아강도, 긍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교우관계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결과를 바탕으로 가설에 따른 구조회귀모형 추정을 통해 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검증하고자 한다.
  • 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자아강도가 직접적으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스트레스 대처방식과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일정한 간접적인 경로를 예측해 볼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교우관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아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자아강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경로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에서 또래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또래관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심리내적 변인들의 역동적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 기초연구를 비롯한 다양한 연구들의 궁극적 목적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긍정적이고 적응적인 교우관계를 경험할수 있도록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것임을 고려할때, 보다 다양한 측면의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교우관계 증진을 위해 다양하고 직접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아동의 교우관계 관련 변인으로 보고되었으나 아직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심리내적 요인인 자아강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관련 변인 간의 경로를 탐색해 모형화하고자 한다.
  • 이 연구는 아동의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그 관계를 탐색하여 교우관계적응을 높이기 위한 개입방안 모색에 기초가 될 자료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그결과 자아강도,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유기적으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아동의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아동의 교우관계에 직,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자아강도와 스트레스 대처방식,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영향력을 확인하고, 자아강도가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을 매개로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경로를 탐색하고자 한다. 특히 학교에서 또래와 함께 보내는 시간이 증가하기 시작하며 또래관계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는 초등학교 3-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아동의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심리내적 변인들의 역동적인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아동의 교우관계 적응을 돕기 위해 구체적으로 어떤 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맞춰 개입전략을 구성해야하는지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 된다.

가설 설정

  • 선행연구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아동의 교우관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들도 보고되고는 있으나,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구분 자체가 연구마다 다르게 제시되는 경향이 있으며, 그에 따라 결과 또한 엇갈린 양상을 보이고 있다(Kim, 2008).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방식 자체보다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화적 변인들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어떻게 기능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영향을 받은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변화를 통해 교우관계가 증진될 것이라고 가설을 설정하였다(Kwon et al., 20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우관계란? 교우관계란 인간발달 과정에서 또래들과 가지게 되는 인간관계를 말한다(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995). 아동은 교우관계를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건강한 사회적 관계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Bagwell, Molina, Pelham, & Hoza, 2001; Feldman, 1990; Kong, 1996).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심리 사회적 요인으로 무엇이 있는가?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심리 사회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구분된다. 우선 심리사회적 요인과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자아개념, 자아존중감, 자아강도, 자아탄력성, 정서지능, 정서적 안녕감이 높을수록 긍정적 교우관계를 경험하며(Harter, 1990; Kim & Choi, 2013; O’Brien & Bierman, 1998; Petrides, Sangareau, Furnham, & Frederickson, 2006),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 사회적 회피 및 불안 수준이 높을수록 교우관계가 부정적인 경향이 있다(Erath, Flanagan, & Bierman, 2007). 또한 스트레스의 정도 및 스트레스에 대처하는 방식에 따라서도 교우관계의 질이 달라질 수 있다 (Jung, 2003; Lim, 2012). 교우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 중에서 가정환경 변인으로는 부모의 양육태도, 부모와의 애착,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가정 내 분위기, 가정폭력 경험 등이 보고된다(Byun & Shim, 2010; Ko & Choi, 2006; Lee & Park, 2012; Lieberman, Doyle, & Markiewicz, 1999; Lim, Kim, & Ju, 2010).
아동이 교우관계를 통해 배우는 것은? 교우관계란 인간발달 과정에서 또래들과 가지게 되는 인간관계를 말한다(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 1995). 아동은 교우관계를 통해 대인관계에서의 적응에 대한 기술을 습득하고 청소년기 및 성인기의 건강한 사회적 관계의 기초를 형성하게 된다(Bagwell, Molina, Pelham, & Hoza, 2001; Feldman, 1990; Kong, 1996). 특히 학교에서 경험하는 교우관계는 아동의 학교 적응은 물론 삶의 만족도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된다(Ash & Huebner, 1998; Huebner & Alderman,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Ash, C., & Huebner, E. S. (1998). Life satisfaction reports of gifted middle-school children. School Psychology Quarterly, 13, 310-321. 

  2. Bagwell, C. L., Molina, B. G., Pelham, W. E., & Hoza, B. (2001).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problems in peer relations : Predictions from childhood to adolescence.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40, 1285-1292. 

  3. Bandalos, D. L. (2002). The effects of item parceling on goodness-of-fit and parameter estimate bia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 78-102. 

  4. Beidel, D. C., Turner, S. M., & Moris, T. L. (1995). A new inventory to assess childhood social anxiety and phobia :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7, 73-79. 

  5. Byun, E., & Shim, H. (2010). Effect of egoresilience and family support on multi-cultural primary school student' school adjust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1(4), 1753-1765. 

  6. Chai, S. M., & Lee, Y. S. (2011). Influence of emotion, ego strength, and social support on school adjustment of the divorced-fami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5(1), 1-16. 

  7. Chung, M. H. (2008). The relationship of attachment, coping style and social anxiety. Journal of Student Guidance and Counseling, 26, 99-116. 

  8. Erath, S. A., Flanagan, K. S., & Bierman, K. L. (2007).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 in early adolescence: Behavioral and cognitive factor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5(3), 405-416. 

  9. Feldman, R. S. (1990). The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Current Research and Theory. CB :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Harter, S. (1990). Identity and self development. In S. Feldman and G. Elliott (Eds.), At the threshold: The developing adolescent (pp. 352-387).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11. Herdenson, L. (1994). Social fitness training: A treatment manual for shyness and social phobia . Palo Alto : Shyness Institute. 

  12. Hong, S. H. (2000). The criteria for selecting appropriate fit indice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their rationale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13. Howes, C. (2000). Social-emotional classroom climate in child car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nd children's second grade peer relations. Social Development, 9, 191-204. 

  14. Huebner, E. S., & Alderman, G. L. (1993).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ation of a children's life satisfaction scale: Its relationship to self- and teacher-reported psychological problems and school function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30, 71-82. 

  15. Hughes, J. N., & Kwok, O. (2006). Classroom engagement mediates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support on elementary students' peer acceptance: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3, 465-480. 

  16. Jewsuwan, R., Luster, T., & Kostelnik, M. (1993). The relation between parents' perceptions of temperament and children's adjustment to preschool.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1), 33-51. 

  17. Jung, S. H.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security of attachment,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18. Kim, A. (2002). Development of standardized student motivation scales.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15(1), 157-184. 

  19. Kim, B. A. (2011). Basic Theory and Practice of Sand-Play Therapy. Seoul : Hakjisa. 

  20. Kim, J. M., & Choi, E. S. (2010). The relations among social anxiety, internet use, social support and peer relationship in early adolescents. The Journal of Play Therapy, 14(1), 121-135. 

  21. Kim, S. H. (2008). The relationship among the perfectionism, children's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G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nam, Korea. 

  22. Kim, S. Y. (2012).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go strength scale for childre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23. Kim, S. Y., & Choi, N. (2013). Validating and setting criteria of the ego strength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Korean council for children's rights, 17(1), 1-27. 

  24. Kline, R, B. (2011).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3nd ed.). NY : Guilford Press. 

  25. Ko, H. W., & Choi, H. R. (2006). Th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independence from mother, sociality and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Understanding People, 27, 17-33. 

  26. Kong, I. S. (1996). Children's verbal interactions on distributive justice with peers or mothers, and their level of distributive justice reaso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7. Korean Education Research Institute(1995). Dictionary of education. Seoul : Hawoo. 

  28. Kwon, H., Park, K., & Kim, H. (2013).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in the relati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anxiety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12(1), 133-148. 

  29. La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7-27. 

  30. Lee, G. (2013). Relationship between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tress coping style in adolescen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6(1), 34-44. 

  31. Lee, J., & Park, S. (2012). The effect of domestic violence on children's peer and teacher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types of violence experience. Social Science Research, 28(2), 249-271. 

  32. Lee, O. J. (2003). Eysenck's personality dimensions and stress coping styles as predictors of school adjustment in high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17(3), 77-85. 

  33. Lee, S. H., & Ha, E. H. (2009).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relationships between parental conflicts perceived by children and children's social anxiety. Korean Journal of Paly Therapy, 12(3), 83-96. 

  34. Lee, S. H., & Lee, H. D. (1993). The effects on the juvenile delinquent's ego strength by psychodrama for ego strength. Journal of College Counseling, 4(1), 117-134. 

  35. Lieberman, M., Doyle, A., & Markiewicz, D. (1999). Developmental patterns in security of attachment to mother and father in late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 Associations with peer relations. Child Development, 70(1), 202-213. 

  36. Lim, H. (2012). The effects of children's selfencouragement on the stress coping behaviors and school adjustment abil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Sookmyung University, Seoul, Korea. 

  37. Lim, S., Kim, N., & Ju, D. (2010). The relationships of parental child-rearing attitude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 to the student's teacher and peer relation.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7(3), 23-42. 

  38. Kozaric-Kovacic, D., Ljubin, T., Rutic-Puz, L., Mihaljevic, J., Jernej, B., & Cicin-Sain, L. (2000). Platelet monoamine oxidase activity, ego strength, and neuroticism in soldiers with combat-related current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Croatian Medical Journal, 41(1), 76-80. 

  39. Matthew, W., & Tian, P. S. O. (2006). The MMPI-2 gender-masculine and gender-feminine scales: Gender roles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health in clinical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1(5), 413-422. 

  40. Min, H. Y., & Yoo, A. J.(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 83-96. 

  41. Moon, H. S., & Oh, K. J. (2002). A validation study of the korean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1(2), 429-443. 

  42. Moon, S. B. (2009). Basic concepts and application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 Hakjisa. 

  43. Nagao, H. (1999). Factors that influence the ego developmental crisis state in adolescece. Japane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7(2), 141-149. 

  44. Noh, A. Y., & Kang, Y. S. (2003). Personality psychology. Seoul : Hakjisa. 

  45. O'Brien, S. F., & Bierman, K. L. (1998). Conceptions and perceived influence of peer groups: interviews with preadolescents and adolescents. Child Development, 59(5), 1360-1365. 

  46. Park, J. A. (2001). Relationship between coping with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47. Park, J. Y. (2011). The effect of group sandplay therapy for children's social anxiety and ego strength. Unpublished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Korea. 

  48. Park, Y. Y., & Hong, J. M. (2010). The relationship among young children's preschool adjustment, self-control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 Educare Administration, 14(4), 291-309. 

  49. Petrides, K. V., Sangareau, Y., Furnham, A., & Frederickson, N. (2006). Trait emotional intelligence and children's peer relations at school. Social Development. 15(3), 537-547. 

  50. Shin, H., & Khu, B. (2001). Stress coping and its relationship to adjustment in korean adolescents. The Korea Journal of Youth Counseling, 9, 189-225. 

  51. Song, Y. M., Lee, H. C., & Oh, S. H. (2010). The longitudinal study on impact factors and change of peer relationship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korea.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1), 65-86. 

  52. Torki, M. A. (2000). Ego strength and stress reaction in Kuwaiti students after the iraqi invasion. Psychological Reports, 87(1), 188-192. 

  53. Vernberg, E. M., Abwender, D. A., Ewell, K. K., & Beery, S. H. (1992). Social anxiety and peer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ce: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1(2), 189-196. 

  54. Yoo, J., & Jang, Y. (2011).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eer competence on kindergarten adjust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2), 94-1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