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독일, 영국과 한국, 일본 등 아시아 국가 간의 위험성평가 제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Institutional Framework of Risk Assessment between German, UK and Korea, Japan in Asian Countrie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1, 2013년, pp.151 - 157  

신인재 (고용노동부 산재예방정책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a comparative study on risk assessment policy between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Korea, Singapore and EU countries, German, UK. Risk assessment is a tool adopted currently in many countries in order to reduce occupational risk in workplace because it help employers to identify the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EU에서 추진하고 있는 위험성평가제도와 일본 등의 제도화 상황을 비교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에 적합한 위험성평가 제도화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위험성평가를 성공적으로 법과 제도로 도입하고 실행하기 위한 전략의 마련은 산재예방 정책추진 과제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각국의 위험성평가 제도를 살펴보고 제도화를 위한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독일, 영국과 일본, 한국과 아세안 국의 위험성평가 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 이 논문은 위험성평가 제도를 이미 시행하고 있는 유럽 국가와 아시아 국가에서 위험성평가를 어떻게 제도화하고 있는가에 대한 비교연구이다. 비교대상 국가는 독일, 영국과 일본, 한국이며, 싱가포르 등 기타 아세안국가를 언급하였다.
  • 이 연구의 목적은 위험성평가가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위험평가 기법의 하나로 사용되는데 그치지 않고 국가의 산업안전보건 정책에 있어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가에 대하여 검토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지식의 확보, 확충 전략이 필요하다. 위험성평가는 잠재적 유해위험요인을 찾는 것이다.
  •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이 있음을 밝혀둔다. 첫째 각 국의 법체계의 차이에 대하여는 고려하지 아니하였다. 영미 법제와 독일 및 우리나라의 법체계는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어 법제도 비교시 고려해야할 요소의 하나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성평가는 어떤 절차로 여겨지는가? 위험성평가(Risk Assessment)는 재해를 예방하는 효과적인 절차(process)로 여겨진다. 기술적으로는 위험성 판정․ 평가(risk evaluation, assessment)는 EN/292/ISO12100(risk reduction criteria)과 EN1050/ISO14121:1999(principle of risk assessment)에 의하여 발달하였다.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활동은 실제 사업장에서 어떻다고 보여지는가? 셋째로 사업장의 안전보건관리 활동은 안전․보건관리 자를 두고 있는 사업장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생각이다.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관리 활동은 규모와 관계없이 이루어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행 안전․보건관리자 선임의무는 전체 사업장의 2% 미만에 불과하다. 특히 소규모 사업장이 점증하고 있는 현 고용환경에서 중소기업의 안전보건 관리 활동은 더욱 중요해졌다.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문서화하는 여부는 나라마다 어떤 차이를 보이는가? 법적 구체성에 대하여 살펴볼 때 영국, 싱가포르는 구체성이 높고 일본과 한국은 낮은 편이다. 위험성평가를 실시하고 이를 문서화하여야 하는 여부를 살펴보면 영국, 독일은 강행규정을 두고 있고 일본, 한국은 자율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Kaluza, "ASEM-OSH Workshop on National Strategies: Germany", ASE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orkshop on National OSH Strategies, Yogyakarta Indonesia, 12-13 October 2011 

  2. EU, Council Directive 89/391/EEC, 1989. 

  3. EC, "Guidance on Risk Assessment at Work", CE 88-95-557-C 

  4. P. K. Mahavilas, D. Koulouriotis and V. Gemeni, "Risk Analysis and Assessment Methodologies in the Work Sites: On a Review, Classification and Comparative Study of the Scientific Literature of the Period 2000-2009", Journal of Loss Prevention in the Process Industries, 2011. 

  5. T. Angelo and K. P. Cross, Classroom Assessment Techniques a Handbook for College Teachers. Jossey-Bass A Wiley Imprint, San Francisco, CA. pp 42, 1993. 

  6. J. Reason, Human 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7. G.J.S. Wilde, "The theory of risk homeostasis: Implications for safety and health", Risk Analysis, 2, 209-225. 1982. 

  8. IEC 61508-5 

  9. HSE, "Principles and Guidelines to Assist HSE in its Judgements that Duty-holders have Reduced Risk as Low as Reasonably Practicable", 2001. 

  10. HSE, "Reducing Risks, Protecting People HSE's Decisionmaking Process", 2001. 

  11. H. Goto, "Japanese Experience in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OSHMS in the Industry", ASEM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Workshop on National OSH Strategies, Yogyakarta Indonesia, 12-13 October 2011 

  12. Jong-Bae Baek, "A Study on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in Chemical Process", Kwangwoon University, 1995. 

  13. Y. S. Lee, J. W. Choi, J. Kang, H. S. Yang, S. J. Yoon and N. Y.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Effect for the Application of Risk Assessment", OSHRI, 2007. 

  14. H. K. Lim, K. T. Lee, D. C. Bae and S. R. Chang "Development of a Voluntary Hazard Assessment Model for Smalland Medium-Sized Ship-building Plants",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6, No. 2, pp. 70-76, 2011. 

  15. D. H. Kim, "A Study on Legal Frame of Risk Assessment in Manufacturing Industry", OSHRI, 1997. 

  16. D. Y. Park, "Development and Introduction of an OSH Regulatory Framework Based on Risk Assessment for Korean OSH Regulation Systems and Policy", KOSHA, 2009. 

  17. Jong-Bae Baek, "A Perception and Attitude Survey on the Safety and Health at Self-Management Demonstration Workplace for Risk Factors in 2010", OSHRI, 2010. 

  18. S. Y. Lee, "A Perception and Attitude Survey on the Safety and Health at Self-Management Demonstration Workplace for Risk Factors in 2011", OSHRI, 2011. 

  19. J. S. Busby and R. E, Hibberd, "Mutual Misconceptions between Designers and Operators of Hazardous Systems", Research in Engineering Design, Vol. 13, pp. 132-138, 2002. 

  20. I. J. Shin, J. S. Busby, R. E. Hibberd and C. A. McMahon, "A Theory-based Ontology of Design Induced Erro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ngineering Design, ICED 05 Melbourne, August 15-18, 2005 

  21. J. Reason, Managing the Risks of Organisational Accidents. Aldershot, UK :Ashgate,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