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추락사고 감소를 위한 안전모의 보호목적과 사용의도에 대한 고찰
A Study on Protective Purposes and Intents of Use of Safety Helmets as for Reduction of Falls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8 no.5, 2013년, pp.83 - 89  

김진현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provides that industrial safety helmets ar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to protect heads against falls from a height. Relevant domestic regulations are distinguished and different from other countries' cases. This study investigated industrial safety helme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규에서 규정한 산업 현장의 추락위험방지를 위한 안전조치 중 보호구 측면에서 안전대와 함께 안전모를 추락용 보호구로 명시한 것과 관련하여 추락사고 위험의 방지 또는 감소라는 측면에서 개선할 점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표준에서 정한 산업용 안전모의 보호범위는 어떻게 구분하는가? 한국표준(KS G 6805:2011)18)에서 정한 산업용 안전모의 보호범위는 개정 전 고용노동부 고시와 같이 물체의 날아옴․ 낙하물용(A), 추락 시 보호용(B) 및 전기용(E)으로 구분하여 그 종류로는 A, B, AB, AE, ABE가 있다.
우리나라 산업안전보건법규에서 안전대와 함께 안전모를 추락용 보호구로 명시한 것과 관련하여 추락사고 위험의 방지 및 감소를 위한 개선방안에 대해 고찰한 결론은? 1) 각 국별 법규에서 정한 산업현장의 안전모는 한국과 일본을 제외하면, 낙하·비래, 충격 또는 감전 재해의 위험을 방지함이 목적이고 추락(전도·전락 포함)위험방지용 보호구로는 인정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 각 국별 안전모 관련 기술기준과 표준을 바탕으로 분석하면 근로자가 안전모를 착용한 상태에서 물체에 의해 머리에 가해지는 위험은 크게 안전모 정부에 대한 낙하, 정부를 벗어난 부위에 대한 낙하 및 안전모 모든 부위에 가해질 수 있는 비래로 구분할 수 있고, 반대로 머리가 움직여 다른 물체에 접근하는 위험은 추락, 전도·전락 및 고정된 물체에 부딪힘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모든 경우를 포괄 하는 보호성능을, 실제로는 그럴 수 없는데도 불구하고 요구하는 규정은 한국의 고시와 표준에만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3) 각 국별 안전모 보호성능기준으로 검토하면 안전모 성능시험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50 J에서 100 J 범위 이내이다. 따라서 안전모는 낙하·비래물에 대해 또는 그 정도의 충격 수준에서 머리 상부를 보호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보호구로 인식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4) 우리나라 법규와 고시 등의 개정 방안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및 고용노동부 고시 등에서 안전모를 추락위험방지용 보호구로 명시한 부분과 관련하여 ‘추락’이라는 용어는 제1안 ‘머리상부의 충격’, 제2안 ‘충격(또는 충격 경감)’, 제3안 ‘전도, 충돌’로 개정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국제표준(ISO 3873)의 정의규정에서 안전모는 무엇이라고 정의하였는가? 국제표준(ISO 3873)19)은 산업용 안전모의 적용범위에 대한 구체적 규정은 두고 있지 않으나, 정의규정에서 안전모는 “타격에 대하여 착용자의 머리 윗부분을 보호(to protect the upper part of a wearer's head against a blow)”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그리고 성능시험 부분에서 충격흡수성시험의 경우 낙추 충격은 안전모 정부에만 가하지만, 내관통성시험의 경우 정부를 중심으로 직경 100 mm의 범위이내를 지정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안전모의 보호범위는 착용상태에서 머리의 윗부분, 보호 목적은 상부에서의 낙하․비래물을 의도한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J. H. Kim, S. H. Seo, W. C. Shin, J. S. Kim and S. J. Choi, "Survey and Study on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and Protective Devices",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Research Institute, pp. 140-146, 256-258, 2011. 

  2.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uncil Directive of 12 June 1989 on the introduction of measures to encourage improvements in the safety and health of workers at work(89/391/EEC)", p. 3(No L183), 1989. 

  3.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uncil Directive of 30 November 1989 on the minimum health and safety requirements for the use by workers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t the workplace(third individual Directive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16(1) of Directive 89/391/EEC) (89/656/EEC)", p. 19(No L393), 1989. 

  4. The European Parliament and The Council of the European Union, "Directive 2001/45/EC of the European Parliament and of the Council of 27 June 2001 amending Council Directive 89/655/EEC concerning the minimum safety and health requirements for the use of work equipment by workers at work (second individual Directive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16(1) of Directive 89/391/EEC)", p. 46(L195), 2001. 

  5. UK Department for Work and Pensions, "2005 No. 735 Health and Safety The Work at Height Regulations 2005", pp. 3, 5, 2005. 

  6.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uncil Directive of 21 December 1989 on the approximation of the laws of the Member States relating to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89/686/EEC)", p. 21, 1989. 

  7. The Council of the European Communities, "Council Directive of 30 November 1989 concerning the minimum safety and health requirements for the use of work equipment by workers at work (second individual Directive within the meaning of Article 16(1) of Directive 89/391/EEC) (89/655/EEC)", pp. 13-17(No L393), 1989. 

  8. UK Department of Employment, "1989 No. 2209 Health and Safety The Construction (Head Protection) Regulations 1989", p. 2, 1989. 

  9. Health and Safety Executive, "The Construction (Head Protection) Regulations 1989 OC 404/20", p. 3, 1990. 

  10. Health and Safety Executive, "Construction (Head Protection) Regulations 1989 2nd edi., L102", pp. 4, 7, 1998. 

  11. UK Department of Employment, "1992 No. 2966 Health and Safety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Regulations 1992", pp. 1-13, 1992. 

  12. Health and Safety Executiv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2nd edi., L25, 2005 revision", pp. 24, 34-35, 2005. 

  13. Health and Safety Executive, "A short guide to the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at Work Regulations 1992 INDG174 (rev1)", p. 2, 2005. 

  14.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OSHA Regulations (Standards-29 CFR) 1910.13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Head protection". 

  15. United States Department of Labor, "OSHA Regulations (Standards-29 CFR) 1926.100, Personal Protective and Life Saving Equipment - Head Protection". 

  16.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ISEA Z 89.1-2009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Industrial Head Protection", pp. 1, 10, 2009. 

  17. American National Standards Institute, "ANSI Z 89.2-1971 American National Standard Safety Requirements for Industrial Protective Helmets for Electrical Workers, Class B", p. 7, 1971. 

  18. Korean Agency for Technology and Standards, "KS G 6805: 2011 Safety helmets", p. 3, 2011. 

  19.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O 3873: 1977 Industrial safety helmets", pp. 1, 3-4, 1977. 

  20.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s, "EN 397:1995 Specification for Industrial safety helmets", p. 3, 1995. 

  21.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s, "EN 14052:2005 High performance industrial helmets", pp. 4, 13, 2005. 

  22.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s, "EN 812:1997 Industrial bump caps", pp. 3, 8, 1997. 

  23.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JIS T 8131-1990 Industrial safety helmets", p. 3, 1990. 

  24. Japanese Standards Association, "JIS T 8131:2000 Industrial safety helmets", pp. 5, 12, 17-19, 2000. 

  25. Standards Australia and Standards New Zealand, "AS/NZS 1801:1997 Occupational protective helmets", p. 4,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