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2년 1월에서 10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산화형 염모제(1제) 125개 제품에서 납(Pb), 비소(As), 카드뮴(Cd), 크롬(Cr), 망간(Mn), 니켈(Ni), 구리(Cu)의 농도 측정과 국산, 수입산 및 헤나별, 성상별, 색상별로 비교해 봄으로써 이에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전체 염모제의 평균 중금속 농도는 납 0.211 ${\mu}g/g$, 비소 0.051 ${\mu}g/g$, 카드뮴 0.008 ${\mu}g/g$, 크롬 0.954 ${\mu}g/g$, 망간 6.250 ${\mu}g/g$, 니켈 0.591 ${\mu}g/g$, 구리 0.544 ${\mu}g/g$으로 측정되었으며 납, 비소의 경우 우리나라 화장품 안전기준 등에 관한 규정에서 허용기준인 납 20 ${\mu}g/g$, 비소 10 ${\mu}g/g$보다 낮은 수치이다(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3-24 호). 또한 헤나 염모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납 1.264 ${\mu}g/g$, 비소 0.267 ${\mu}g/g$, 카드뮴 0.025 ${\mu}g/g$, 크롬 4.055 ${\mu}g/g$, 망간 72.044 ${\mu}g/g$, 니켈 3.076 ${\mu}g/g$, 구리 4.640 ${\mu}g/g$으로 국산 및 수입 염모제보다 높았다. 염모제의 성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크림과 액체 타입에서 크롬이 각각 0.708 ${\mu}g/g$, 0.478 ${\mu}g/g$로 가장 높았고, 분말타입에서는 망간이 60.041 ${\mu}g/g$로 높았다. 염모제의 색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노란색의 경우 납, 크롬이 높은 평균 농도를 보였고, 적색과 분홍색의 염모제는 크롬, 갈색과 흑색은 망간이, 녹색은 니켈이 높은 평균 농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about oxidized hair color products. For this reason, we collected 125 oxidized hair color products, which were distributed in domestic market from January to October, 2012, and measured the heavy metal concentrations of lead, arsenic, cadmium, ch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시판 중인 모발 염색약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비소, 카드뮴, 크롬, 망간, 구리 및 니켈)의 농도를 정량하여 중금속 검출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이 중금속으로 인한 건강장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대책을 세우고, 모발 염색약 중의 중금속 허용 농도 기준 설정 등을 마련하고자 함은 물론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PD로 인해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은?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미국, 일본에서는 지금까지 PPD가 널리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영국 세인트존스피부연구소(2006)가 PPD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이 안면 부위에 피부염을 유발하고 심하면 안면 부종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하는 등 유해성이 잇따라 제기 되고 있다. 또한 PPD에 대한 성분기준규격에 의하면“의약외품의 표준제조기준” 중 염모제 등의 표준제조 기준에 따르면 PPD는 사용할 때 농도상한이 3%로 규정되어있고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이 사용을 금지하다 EU로 편입되면서 제 허용된 염모제 성분이며 유럽연합은 배합한도를 지정하고 있으며, 미국은 규제가 없으나 Cosmetic Ingredient Reveiw (CIR) 검토결과 4%까지 안전한 것으로 보고 있고, 일본은 의약외품으로 허가 관리하고 있다[5].
합성 염색약에서 발견된 발암성이 있는 화합물은? 인류 염색의 역사는 약 4,600년 전 이집트 SAT공주가 헤나를 사용하여 모발염색에 사용한 것이 최초로 기록되고 있으며[2], 1863년 Hoffmann에 의해 p-phenylenediamine (PPD)의 염색력에 대한 보고 이후 합성 염색약이 개발되어 이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이들중 반영구적 및 영구적 염색약의 경우 동물실험 및 실험실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들이 함유한 aromatic, nitroso 및 amino 화합물들이 돌연변이 또는 발암성이 있다고 한다[3]. 특히 염모제에 쓰이는 염료 중디아민계 염료, 즉 PPD와 1924년에 미국의 에반스에 의해 개발된 P-toluenediamine (PTD)와 같은 염료들이알레르기 증상 및 피부에 자극감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인류 최초의 염색은 언제인가? 인류 염색의 역사는 약 4,600년 전 이집트 SAT공주가 헤나를 사용하여 모발염색에 사용한 것이 최초로 기록되고 있으며[2], 1863년 Hoffmann에 의해 p-phenylenediamine (PPD)의 염색력에 대한 보고 이후 합성 염색약이 개발되어 이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다. 이들중 반영구적 및 영구적 염색약의 경우 동물실험 및 실험실에서 조사한 바에 의하면, 이들이 함유한 aromatic, nitroso 및 amino 화합물들이 돌연변이 또는 발암성이 있다고 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J. S. Kim, Doctorw, doctorw corp, Seoul, Korea (2013). 

  2. G. R. Hughes, The cosmetic arts in ancient Egypt, J. Soc. Cosmetic Chemists, 10, 159 (1959). 

  3. L. Kinlen and N. J. Doll, Interpretaion of Negative Epidemiological Evidence for Carcinogenicity,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Scientific Publication Number, 65, (1985). 

  4. S. A. Devos and P. G. Van Der Valk, The risk of active sensitization to PPD, CONTACT DERMATITIS, 44, 273 (2001). 

  5. Korea Consumer Agency, A Safety of Service Beauty Hair (2005). 

  6. G. Lockitch, Perspectives on lead toxicity, Clin- Biochem., 26(5), 371 (1993). 

  7. Preventive medincine and Public health editor committee, Preventive medincine and Public health, Gyeochookmunhwasa (1996). 

  8. Y. J. Choi,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hairdye on the market, Master's Thesis Dissertation, Grate school of health, Inje University (1998). 

  9. J. L. Wee, O. K. Yeo, and L. Shin,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hairdye, Spectroscopy and Spectral Analysis, 28, 9 (2008). 

  10. H. S. Woo, The study on the analysis with part of the heavy metal in the hair dyeing and the safety recognition, Master's Thesis Dissertation, Beauty-Art Dept, Seo-Kyoung University (2006). 

  11. N. J. Karim and E. J. Cyntia, Lead exposure from the use of Lawsonia inermis (Henna) in temporary paint-on-tattooing and hair dying, Sci. Total Environ., 397, 244 (2008). 

  12. I. Tsankov, I. Iordanova, D. Lolova, S. Uzunova, and S. Dinoeva, Hygienic evaluation of the content of heavy metals (lead and copper) in cosmetic products, Probl. Khig., 7, 127 (1982). 

  13. C. Reilly, Metal Contamination of Food, Blackwell Science, Oxford, UK (2002). 

  14. M. R. Zavon and C. D. Meadoves, Vascular sepuellae to cadmium fume exposure, Am. Ind. Hyg. Assoc. J., 31, 180 (1970). 

  15. K. M. Lee, A Study on Addiction of Chrome Compound, Korean Industrial Medical Journal, 17(3), 60 (1978) 

  16. J. H. Lee, D. H. Moon, and J. T. Lee, A Study on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of lower Nakdong River, Inje Medical Journal, 13(1), 43 (1992). 

  17. D. Burrows, Chromium and the skin, Br. J. Dermatol, 99, 587 (1978). 

  18. D. Cronin, Chromate dermatitis from nikel in eye shadow, Contact Dermatitis, 20, 380 (1989) 

  19. G. C. Cotozias, Metabolic modification of parkinson's disease and of chronic manganese poisoning, Ann Rev Med, 22, 305 (1971). 

  20. K. S. Park,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Whole Blood of Healthy Person in Pusan Area, Inje Medical Journal, 10(2), 187 (1989). 

  21. J. A. Jeung and J. M. Kim, A Study on Concentration of the Airbrone Copper and Biological Exposure Index in the Workplace Manipulating the Copper, Institute of Industri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A University, Korean Industrial Hygiene Association, 3(1), 78 (1993). 

  22. S. Alexander, Allergy and the skin, Practitioner, 227(1382), 1271 (19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