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13년 1월에서 8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등 색조화장품 121개 제품에서 납, 카드뮴, 비소, 크롬, 안티몬, 니켈, 구리 및 코발트의 농도 측정과 국산 및 수입산, 유형별, 색상별로 비교함으로써 이와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분석된 전체 색조화장품의 중금속 평균 농도는 납 $0.663{\mu}g/g$, 카드뮴 $0.010{\mu}g/g$, 비소 $0.056{\mu}g/g$, 크롬 $1.144{\mu}g/g$, 안티몬 $0.008{\mu}g/g$, 니켈 $0.405{\mu}g/g$, 구리 $0.319{\mu}g/g$ 및 코발트 $0.108{\mu}g/g$으로 측정되었다. 국산 및 수입산 색조화장품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수입산이 크롬을 제외한 7개 금속에서 국산보다 높게 검출되었다. 색조화장품의 유형에 따른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립스틱에서 크롬 $1.430{\mu}g/g$, 납 $0.616{\mu}g/g$ 그리고 니켈 $0.385{\mu}g/g$이 파운데이션에서 납 $1.155{\mu}g/g$, 크롬 $1.023{\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아이라이너에서는 크롬 $1.424{\mu}g/g$, 니켈 $0.830{\mu}g/g$이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색조화장품의 색상별 중금속 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 < 0.05), 갈색의 화장품은 크롬, 니켈과 구리가 높은 평균 농도를 보였고, 아이보리색의 화장품은 납과 크롬이 핑크색의 화장품은 크롬과 납이 높은 평균 농도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vide the fundamental data on the field of cosmetics by comparing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erms of domestic/foreign products, types and colors. The study determined the concentrations of lead, cadmium, arsenic, chromium, antimony, nickel, copper and cobalt in cosmetics s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3년 1월에서 8월 사이에 전국에서 유통 중인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파운데이션, 아이라이너 등 121개 색조화장품 중에서 납, 카드뮴, 비소, 크롬, 안티몬, 니켈, 구리 및 코발트의 농도 측정과 국산 및 수입산, 유형별, 색상별로 비교해봄으로써 이에 관련된 분야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특히 화장품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피부와 모발, 호흡기 등을 통해 그 영향이 빠르게 나타나고 인체에 축적되어 심각한 중독 증세와 질병을 유발하는 중금속으로써 검정은 시급히 이루어져야 하며, 이상에서와 같이 화장품 중에서도, 특히 색조화장품들의 경우 색소나 안료의 첨가로 인해 중금속들이 함유하게 되고, 이로 인해 접촉피부염을 초래함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화장품들의 중금속 농도에 관한 조사 및 연구가 국내에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국내시판 중인 색조화장품 중 립스틱, 립글로스, 립밤, 아이라이너, 파운데이션 등 국내 58개 제품, 국외 63개 제품인 총 121개 제품을 대상으로 중금속(납, 카드뮴, 비소, 크롬, 안티몬, 니켈, 구리 및 코발트)의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여 이를 사용하는 여성들의 건강관리에 일조가 되게 함은 물론 추후 이들 분야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농도 납에 폭로되었을 때 어떤 부작용이 생길 수 있는가? 고농도의 장기간 폭로에서는 만성 신장장애, 고혈압, 생식장애를 초래할 수 있고, 효소를 억제하여 세포의 칼슘 신진대사를 변질시키고 신장, 두뇌, 뼈에서 단백질 결합의 합성을 자극한다. 또한 저농도에 폭로되었을 때 임신한 여성의 경우 신경성 행동장애를 유발하며 어린이들의 성장을 감소시킬 수 있다[6]. 본 연구에서는 수집된 전체 색조화장품의 납 평균 농도는 0.
화장품이란? 오늘날 우리 사회는 생활양식이 더욱 다원화되고, 생활 수준이 더욱 향상됨으로 인해 남녀를 불문하고 신체 내적인 건강과 더불어 신체 외적인 건강과 미에 더욱더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이란 인체를 청결⋅미화하여 매력을 더하고 용모를 밝게 변화시키거나 피부⋅모발의 건강을 유지 또는 증진하기 위하여 인체에 바르고 문지르거나 뿌리는 등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물품으로써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한 것을 말한다(화장품법 법률 제 11690호). 즉 화장품은 인체에 좋은 결과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 및 제조되며 또 사용된다.
색조화장품 시장이 성장하는 이유는? 즉 화장품은 인체에 좋은 결과를 부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 및 제조되며 또 사용된다. 특히 색조화장품의 경우 여성의 사회진출 확대, 젊은층의 패션의식 향상과 자기만의 개성을 창출하려는 경향이 짙어지고, 외모의 상품가치 향상을 위한 화장품 사용의 증가로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과거 여성의 전유물로만 여겨지던 색조 화장이 현재는 남성 및 청소년층까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고 이에 따른 세분화된 색조제품의 개발도 활발해지고 있는 실정이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 S. Cho, 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 of shade cosmetics, J. Kor. Data Anal. Soc., 13, 5 (2007). 

  2. V. K. WG and L. DH, Eyelied dermatitis from nickel contaminated cosmetics. Contact Dermatitis, 7(4), 217 (1981). 

  3. L. Robert, F. Joseph, Fisher's Contact Dermatitis, Williams & Wilkins (1995). 

  4. Y. S. Kim, H. j. Jeong, and I. S. Chang, Heavy metals and cosmetics, J. Soc. Cosmet. Scientist Korea, 28, 39 (2002). 

  5. H. J. Lee, J. S. Yoon, and J. Y. Lee,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color painting cosmetics, J. Kor. Soc. Cosm., 12(1), 57 (2006). 

  6. G. Lockitch, Perspectives on lead toxicity, Clin-Biochem., 26(5), 371 (1993). 

  7. Sa Liu, S. Katharine Hammond, and Ann Rojas-Cheatham, Concentrations and potential health risks of metals in lip products, Environ. Health Perspect, 10, 1289 (2013). 

  8. H. Lee, Y. J. Yoo, M. H. Park, J. H. Kim, Y. H. Lee, C. S. Moon, Y. S. Hwang, and D. H. Moon, A study on heavy metal concentration of cosmetics on the market, J. Prev. Med. Public Health, 31(4), 666 (1998). 

  9. D. K. Kim, M. S. Kang, and D. W. Moon,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marketing low price cosmetics, J. Kor. Data Anal. Soc., 13(5), 2367 (2011). 

  10. I. Tsankov, I. Iordanova, D. Lolova, S. Uzunova, and S. Dinoeva, Hygienic evaluation of the content of heavy metals (lead and copper) in cosmetic products, Probl. Khig., 7, 127 (1982). 

  11. C. Patry and J. K. Eaten, A lead-hazardous eye make-up from third world to the first world,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 94, 121 (1991). 

  12. M. R. Zavon and C. D. Meadoves, Vascular sepuellae to cadmium fume exposure, Am. Ind. Hyg. Assoc. J., 31, 180 (1970). 

  13. H. Ullah, S. Noreen, and A. Rehman, Comparative study of heavy metals content in cosmetic products of different countries marketed in Khyber Pakhtunkhwa, Arabian Journal of Chemistry, 10, 1016 (2013). 

  14. C. Reilly, Metal contamination of food, Blackwell Science, Oxford, UK (2002). 

  15. K. M. Lee, A study on addiction of chrome compound, Kor. Ind. Med. J., 17(3), 60 (1978). 

  16. J. H. Lee, D. H. Moon, and J. T. Lee, A study on concentration of heavy metal of lower Nakdong river, Inje Medical Journal, 13(1), 43 (1992). 

  17. D. Burrows, Chromium and the skin, Br. J. Dermatol., 99, 587 (1978). 

  18. B. Pringle, D. Hissong, and E. Katz, Trace metal accumulation by estuarine mollusks, Proceeding Society Swaiting England Division, 6, 455 (1968). 

  19. Y. H. Lee and M. H. Jung, Metal and people, 167, 380, Shin-kwang Publishing Company, Seoul (1993). 

  20. K. S. Park, Heavy metal concentration in the whole blood of healthy person in Pusan area, Inje Medical Journal, 10(2), 187 (1989). 

  21. J. A. Jeung and J. M. Kim, A study on concentration of the airbrone copper and biological exposure index in the workplace manipulating the copper, J. Korean Soc. Occup. Environ. Hyg., 3(1), 78 (1993). 

  22. S. Alexander, Allergy and the skin, Practitioner, 227(1382), 1271 (1983). 

  23. E. A. Emmett, T. H. Risby, L. Jiang, and F. Susan, 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nickel biovailability from consumer products and provocation threshold, J. Am. Acad. Dermatol., 19, 314 (19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