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중생의 월경곤란증 시 대처방법과 영향요인
A Study on Coping Styles for Dysmenorrhea and Affecting Factors in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4 no.3, 2013년, pp.264 - 272  

김영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  이은희 (강릉원주대학교 간호학과) ,  전가을 (한국국제대학교 간호학과) ,  최숙자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oping styles for dysmenorrhea and explore factors related with their coping styles according to different health loci of control in middle schooler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572 students from three middl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여중생이 경험하는 월경곤란증 시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건강통제위를 포함한 제변수와 대처방법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각 대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여중생이 경험하는 월경곤란증 시 대처방법을 파악하고, 건강통제위를 포함한 제변수와 대처방법 간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효과적 대처전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경을 경험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여중생을 대상으로 월경곤란증 시 대처유형을 분석하고, 각 대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특히 여중생들을 대상으로 최근 새로이 이루어진 연구들은 거의 없으며, 월경곤란증에 대한 대처방법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건강통제위 유형을 포함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월경곤란증에 대한 대처유형을 파악하고, 관련있는 제 변수에 건강통제위 변수를 추가하여 여중생의 월경곤란증 대처유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의 여학생은 월경곤란증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가? 월경은 여성의 정상적인 생의 과정이지만, 그에 따른 불편감은 일상생활과 안녕감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친다(Morabia & Costanza, 1998). 특히 월경을 처음 경험하는 청소년기의 여학생은 이러한 월경곤란증에 대해 자각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처방을 받기보다 대부분 그냥 참거나 자가 투약(진통제 복용)을 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Jung & Kim, 2004; Kim, Jung, & Chung, 2001), 월경곤란증 및 월경통증을 완화하기 위한 방법으로 진통제나 경구피임제와 같은 약물요법이나 휴식, 보온과 지지, 운동, 전환요법 등의 비약물요법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Cha, 2008). 여러 방법 중 월경곤란증 시 아스피린이 가장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다른 진통제와 혼용하여 장기 투여할 때 약물에 대한 의존성을 보이므로 월경곤란증에 대한 올바른 대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Harel, 2008).
월경곤란증은 어느 연령에서 나타나는 건강문제이며, 관련 경험에 대해서 어떻게 보고되어 있나? 월경곤란증은 사춘기 여성을 포함해서 전체 가임기 연령층에서 나타나는 가장 흔한 여성 생식기 건강문제이다. 월경곤란증의 정확한 빈도와 발생률에 대해 60~70%의 여성이 월경곤란증을 경험하고, 이중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정상적인 학교생활이나 직장생활, 일상생활에까지 지장을 초래한다고 보고된바 있다(Jeong & Kim, 2004; Jun, 2003; Kim & Lee, 2010). 여중생을 대상으로 한 Lim 등(1994)의 연구에서 전체 대상자의 78%가 월경곤란증을 경험하였고, 이중 통증정도가 심해서 학교를 결석하거나 조퇴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6.
월경곤란증에 있어서 사람들은 건강통제위 중 외적 통제위인지, 내적 통제위인지에 따라 어떤 전략을 보이는가? 특히 심리적 관점에서 건강통제위는 월경곤란증 대처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외적 통제위인 사람은 행동 이탈(behavioral disengagement), 정서적 지지(emotional support) 및 자기-전환(selfdistraction)과 같은 수동적인 대처전략과 관계가 있고, 내적 통제위인 사람은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전략을 보인다고 하였다(Masters & Wallston, 2005). 또한 내적 건강통제위를 가진 사람이 외적 건강통제위를 가진 사람보다 독립적이고 자신의 판단에 의존하며 타인의 영향이나 통제에 민감하지 않고 건강정보를 더 적극적으로 찾고 학습하여 건강행위를 잘하는 경향이 있다는 연구도 있다(Lee, 199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hn, H. Y., Hyun, H. J., & Kim, H. W. (2005). Premenstrual discomforts and coping i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6 (3), 289-299. 

  2. Amann-Gainotti, M. (1986). Sexual socialization during early adolescence: The menarche. Adolescence, 21 (83), 703-710. 

  3. Barker, C., Pistrang, N., Shapiro, D. A., & Shaw, I. (1990). Coping and help seeking in the UK adult population. British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9 (3), 271-285. 

  4. Billings, A. G., & Moos, R. H. (1981). The role of coping responses and social resources in attenuating the stress of the life event.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 (2), 139-157. 

  5. Cha, N. H. (2008). The effects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abdominal pain and dysmenorrhea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19 (2), 280-289. 

  6. Chang, Y. T., & Chen, Y. C. (2008). Menstrual health care behavior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female elementary students in Hualien region. The Journal of Nursing Research, 16 (1), 8-16. 

  7. Fleishman, J. A. (1984).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coping patterns.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5 (2), 229-244. 

  8.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3), 219-239. 

  9. Ha, J. Y. (2010). Health locus of control, exercise self-efficacy, and exercise benefits/barriers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2), 116-125. 

  10. Harel, Z. (2008). Dysmenorrhea in adolescent.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Sciences, 1135 (1), 185-195. 

  11. Houston, A. M., Abraham, A., Huang, Z., & D'Angelo, L. J. (2006). Knowledge, attitudes, and consequences of menstrual health in urban adolescent females. Journal of Pediatric Adolescent Gynecology, 19 (4), 271-275. 

  12. Jeon, G. E., & Kim, Y. I. (2011). Factors influencing on dysmenorrhea of middle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chool Health, 24 (1), 99-109. 

  13. Jung, H. M., & Kim, Y. S. (2004). Factors affecting dysmenorrhea among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10 (2), 196-204. 

  14. Jun, E. M. (2003). A study on menstrual symptoms, coping and relief of symptoms in female college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9 (2), 161-169. 

  15. Kim, H. O., Lim, S. W., Woo, H. Y., & Kim, K. H. (2008).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Korean adolescent girl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51 (11), 1322-1329. 

  16. Kim, J. E. (1995). Analysis of menarche experience and raising of the need of menarche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 (2), 191-208. 

  17. Kim, M. H., & Yoo, I. Y. (2009). Knowledge of menstruation, emotional reaction to menarche, attitude toward menstruation and coping behavior among Korean primary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5 (1), 64-72. 

  18. Kim, M. Y., Jung, M. S., & Chung, K. A. (2001). Degree of dysmenorrhea and self-management of dysmenorrhea in the high-school girl stud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6 (3), 413-426. 

  19. Kim, S. O., & Cho, S. H. (2001). The effect of hand acupuncture therapy and moxibustion heat therapy on dysmenorrhea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7 (4), 610-621. 

  20. Kim, S. Y., & Lee, H. Y. (2010). Effect of th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on dysmenorrhea of Puberty girl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1), 20-28. 

  21. Kim, Y. H., & Cho, S. H. (2002). The effect of foot reflexology on premenstrual syndrome and dysmenorrhea in female college student.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8 (2), 212-221. 

  22. Koff, E., Rierdan, J., & Stubbs, M. L. (1990). Conception and misconceptions of the menstrual cycle. Women & Health, 16 (3), 119-136. 

  23. Lee, E. H. (1993). A study on the type of health locus of control on pregnant wom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other and Child Health Nursing, 3 (2), 102-113. 

  24. Lim, K. T., Kim, T. J., Lee, K. H., Hwang, J. H., Oh, K. S., Jun, J. Y., et al. (1994). A study on patterns of menarches and menstrual disorders in urban middle school girls. Kore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37 (4), 663-672. 

  25. Masters, K. S., & Wallston, K. A. (2005). Canonical correlation reveals important relations between health locus of control, coping, affect and value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0 (5), 719-731. 

  26. Morabia, A., & Costanza, M. C. (1998). International variability in ages at menarche, first live birth, and menopause.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48 (12), 1195-1205. 

  27. Oh, B. J. (1994). A Model for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stomach cance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8. Park, S. R. (2006). A study on middle school girls' menstrual symptoms, attitudes, and coping behaviors related menstru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29. Park, Y. S., & Hong, S. S. (2003). A study on middle and high school girl students' menstruation characteristics and their menstruation dysmenorrh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4, 97-115. 

  30. Wallston, B. S., Wallston, K. A., Kaplan, G. D., & Maides, S. A. (1976).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health locus of control(HLC)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4 (4), 580-5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