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학생의 학교따돌림 피해경험과 건강상태, 스트레스 대처행동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Health Status and Stress Coping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30 no.3, 2013년, pp.25 - 34  

최미경 (관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influencing school bullying victimiz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relation to social support, self-esteem, stress coping behavior, and health status. Methods: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on a convenience sample of 44...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현재까지 따돌림 피해학생의 특성과 관련한 연구를 보면,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회・인구학적, 환경적, 사회・심리적 요인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대부분이며 스트레스 대처나 건강상태를 함께 포함하여 그 관련성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따돌림 피해경험 정도를 알아보고, 피해군의 특성을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대처행동, 그리고 기존의 연구에서 비교적 일관되게 유의한 관련성을 보였던 사회적 지지, 자존감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파악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현장에서 행해지고 있는 따돌림 예방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따돌림을 포함한 학교폭력 발생률이 가장 높은 곳은? 중학교에서 따돌림 발생률이 높게 보고되고 있는 가운데(Takatoku, 1999), 최근의 우리나라 실태조사에서도 따돌림을 포함한 학교폭력 발생률이 중학교에서 가장 높은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그런데, 중학생의 학교따돌림 피해경험은 그 시기가 인생주기의 발달단계에 있는 만큼 그 후의 그들의 사회적응 과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매우 크다.
학교따돌림 현상을 ‘또래에 의한 학대’라고 표현하는 것은 무엇을 시사하는가? 따돌림 피해경험은 외상성 장애의 하나인 외상후 스트레스장애(PTSD)를 일으키게 되는데(Herman, 1992), 노르웨이의 Olweus는 따돌림의 3가지 기준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학교따돌림 현상을 ‘또래에 의한 학대’라는 표현을 사용한 바 있다(Ikejima, 2009). 이는 따돌림 피해경험이 단지 급성 일과성 스트레스 장애가 아닌, 학대경험과 같이 장기적이고 반복적인 외상성 장애 수준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자아정체성과 성격형성의 발달단계에 있는 초기청소년기 대상자의 경우 이러한 학대 수준의 경험에 의한 후유증은 장기적 경향을 띠게 되어 그 후의 따돌림을 당하지 않는 시기에도 지속적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대부분의 이들 피해 대상자들은 지속적인 자존감 저하를 나타내게 되고 불안과 분노, 우울증 등과 같은 정신적 문제를 갖게 된다(Egan & Perry, 1998; Rigby & Cox, 1996; Schafer et al.
bullying의 정의는? 따돌림의 용어와 관련하여 일반적으로 집단따돌림, 집단괴롭힘, 학교폭력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 ‘bullying’이라는 용어는 ‘한 명 혹은 그 이상의 학생들에 의해 반복적이고 지속적으로 행해지는 공격적, 고의적 행동이며, 힘의 불균형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대인관계에서 일어나는 행위’라고 한 Olweus (1994)의 정의가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런데 따돌림 현상에 있어서는 따돌림당하는 사람의 주관적 고통이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에서 최근에는 이와 같은 정의에 더하여 상대방의 고통을 포함한 정의가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Bender, D., & Losel, F. (2011). Bullying at school as a predictor of delinquency, violence and other anti-social behavior in adulthood.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21, 99-106. 

  2. Cheek, J. M., & Buss, A. H. (1981). Shyness and sociabilit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1, 330-339. 

  3. Choi, M. K. (2001). A study on the bullying in primary school. Kwandong MedicalJournal, 5, 57-65. 

  4. Choi, M. K., Kim, K. I., Park, Y. C., Lee, D. G., & Koh, B. J. (200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ho were bullied among Chinese, Korean and Korean-Chinese juveniles. Kwandong Medical Journal, 8(2), 13-22. 

  5. Egan, S. K., & Perry, D. G. (1998). Does low self-regard invite victimization? Developmental Psychology, 34, 299-309. 

  6. Han, M. H. (1996). A study on stress, perceived social supports, and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7. Herman, J. L. (1992). Truma and recovery. New York, NY: Basic Books. 

  8. Ikejima, T. H. (2009). A study on the problem of bullying from the viewpoint of school educational clinical supports. Bulletin of School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ducation, 1, 2-37. 

  9. Jang, M. H., & Seong, H. G. (2007). The relationships between bullying, social identity and social support. The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21(1), 77-87. 

  10. Jeon, Y. Y. (2006). The relationships among bullying behavior, social skill,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Changwon, Korea. 

  11. Ji, E. S. (2002). A Comparative study of health state and school adaptation between divorced family's children and normal childre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Korea. 

  12. Jung, H. K., & Kim, K. H. (2000). The perception of teenagers on the bul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0(1), 137-147. 

  13. Jung, H. W., & Park, S. H. (2010). The changed of victimization and the predictors in the early adolescence. Korean Criminological Reviews, 21(1), 149-173. 

  14. Kim, K. H., & Wang, S. J. (2000). The par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bullying and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rejected children. Journal of Student Guidance, 27, 85-107. 

  15. Kim, K. S. (2001). Factors affec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 health state in fishing community (Unpublished master's thesis). Kwandong University, Gangneung, Korea. 

  16. Konishi, C., & Hymel, S. (2009). Bullying and stress in early adolescence: The role of coping and social support. The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9(3), 333-356. 

  17. Koo, B. Y. (2007).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on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8(2), 707-718. 

  18. Kwak, K. J. (2000). The negative role of peer relationships: New paradigm for adolescent's social and emotional behavior pattenr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3(3), 77-89. 

  19. Lee, C. J., & Kwak, K. J. (2000). Self-concept & social support according to bullying types. The Korean Journal of Development Psychology, 13(1), 65-80. 

  20. Lee, S. K. (1998). Influencing factors on bullying at scho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21.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2). A plan for comprehensive countermeasure of school violence. Seoul, Korea: Author. 

  22. Min, H. Y., & Yoo, A. J. (1998). Development of daily hassles coping scale for children. Journal of the Korean Home Economics Association. 36(7), 83-96. 

  23. Oh, G. S., & Han, J. S. (1990). A Study on the grief and coping pattern of mothers who have a chronically III child. The Korean Nurse, 29(4), 73-87. 

  24. Okayasu, T., & Takayama, I. (2000). Psychological stress of victims and bullies in junior high school. The Japane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48(4), 410-421. 

  25. Olweus, D. (1993). Bullying at school: What we know and what we can do. Cambridge, United Kingdom: Blackwell. 

  26. Olweus, D. (1994). Annotation: Bullying at school: Basic facts and effects of a school based intervention program.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35, 1171-1190. 

  27. Olweus, D. (2011). Bullying at school and later criminality: Findings from three Swedish community samples of males. Criminal Behaviour and Mental Health, 21, 151-156. 

  28. Park, J. A. (2001). Relationship between coping with stress in school-aged children and their behavior probl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ensei University, Seoul, Korea. 

  29. Perry, D. G., Kusel, S. J., & Perry, C. L. (1988). Victims of peer aggression. Developmental Psychology, 24, 807-814. 

  30. Rigby, K., & Cox, I. (1996). The contribution of bullying at school and low self-esteem to acts of delinquency among Australian teenagers. Personality & Individual Differences, 21, 609-612. 

  31. Sakai, R. (2005). A consideration about a group of bullying at school. Aichigakuin University bulletin of the faculty of psychological & physicla sciences, 1, 41-49. 

  32. Schafer, M., Korn, S., Smith, P. K., Hunter, S. C., Mora-Merchan, J. A., Singer, M. M., & Meulen, K. V. (2004). Lonely in the crowd: Recollections of bullying. The British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22(3), 379-394. 

  33. Shin, H. S. (1996). A study of stress and coping strategies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6(4), 809-819. 

  34. Suzuki, N. (1998). A study of conflict resolution in anti-bullying. Hukusima University bulletin of the Faculty of Education, 64, 21-40. 

  35. Takatoku, S. (1999). Ijime mondai. Tokyo, Japan: Tsugeshobosinsha 

  36. Takekawa, I. (1993). Sociology of bullying and school refusal. Kyoto, Japan: Horitsubunkasha. 

  37. Tolbin, R. L., Schwartz, D., Gorman, A. H., & Abou-Ezzeddine, T. (2005). Social-cognitive and behavioral attributes of aggressive victims of bullying.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 Psychology, 26, 329-346. 

  38. Yoo, A. J., & Lee, J. S. (1999). Individual risk and social risk as interacting determinants of peer victim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0(3), 107-1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