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 사용한 QRD(Quadratic Residue Diffusor) 마이크로파는 일반적인 마이크로파와 달리 파장의 위상차를 변화시켜 균일한 살균을 유도할 수 있어 저전력으로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기술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친환경적이고 에너지 소비가 적은 QRD 마이크로파를 이용하여 식물공장에 이용되고 있는 배지를 멸균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기초적인 연구를 수행하여 얻은 결과는 아래와 같다.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에 따른 배지의 외적변형은 배지 내의 수분의 함유량과 마이크로파 출력을 2~8kW까지에서 우레탄스폰지와 암면은 외적변형이 전혀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PDA고체배지는 2kW 출력에 60초와 180초에서는 배지가 녹지 않았고, 그 외 처리에서는 전부 배지가 녹았다.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에서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과 처리시간에 따른 균주 표면 온도는 차이가 나타났다. 마이크로파의 조사 출력과 처리시간에 따른 균주 멸균 실험은 마이크로파의 출력 2kW에서 시간과 관계없이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모두 자라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마이크로파의 출력 6kW에서는 Burkholderia sp.의 60초 처리를 제외한 모든 실험구에서 멸균되었으며, Bacillus sp.는 모든 실험구에서 사멸되었다. 마이크로파의 출력 8kW에서 시간과 관계없이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모두 멸균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균주를 각각의 배지에 오염시킨 후 마이크로파를 처리한 배지 내의 온도는 처리시간 60초 지난 뒤에는 우레탄스폰지와 암면배지에서의 온도가 $100^{\circ}C$ 이상으로 유지되어 대체로 60초 부터 멸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따라서 식물공장내에 가장 문제가 되고 있는 Bacillus sp.와 Burkholderia sp.는 본 실험에서 사용된 QRD 마이크로파로 충분히 멸균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nlike general microwave, QRD (Quadratic Residue Diffusor) Microwave used in this study is known as a new technology that enhances the sterilization effect with low power becaus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average sterilization by changing wavelength phase difference. Therefore, basic research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able 5. An investigation of sterilization of strains according to microwave irradiation level and processing time.
  • 본 연구에서는 식물공장용 배지의 세균을 멸균할 수 있는 멸균기의 개발에 앞서 Chamber 내부에 9kW용 QRD 마이크로파를 제작하여 조사출력과 수분조건에 따른 멸균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기술로써 균일분산이 가능하도록 개발된 QRD(Quadratic Residue Diffusor) 기술을 활용하여 식물공장용 배지의 세균을 멸균시키는데 적용하고자 하였다. QRD 기술은 X-ray 회절현상에서 착안된 마이크로파의 파장분산 기술이며 이것은 각기 다른 위상차를 갖는 마이크로파가 피가열물에 작용하여 가열시킴으로서 Mode effect를 최소화시켜 열전도가 아주 낮은 피가열물도 골고루 가열하는 특성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공장 등과 같은 인위적인 환경 조건에서 엽채류와 같은 식물을 생산하는 곳에서 확실한 멸균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최근 식물공장 등과 같은 인위적인 환경조건에서 엽채류와 같은 식물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가 최근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인공적인 환경의 배지나 시설물에 유해세균이 침입하여 오염되면 순식간에 시설 전체로 확산되어 회복 불가능한 위험이 있으므로 보다 확실한 멸균 기술이 필요하다(Lee et al., 2006).
마이크로파를 이용할 때 불필요한 열에너지 소모가 적은 이유는? 또한 식물공장에 필요한 배지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를 줄이고, 에너지도 30~50% 절약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마이크로파는 피가열물에 직접 가열·건조하기 때문에 내부의 유전체만 발열되므로 불필요한 열에너지 소모가 거의 없다. 마이크로파를 목재에 조사하였을 때, 휨강도는 다소 약해지나 유의성은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반면에 압축강도는 강해지고 굽음, 갈라짐, 재색변화 등의 품질변화도 없는 것으로 나타나 마이크로파를 통한 목재의 유해충 멸균이 매우 효과적인 방법(Suh와 Lee, 2011)으로 보고되었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저온멸균 방식이 주목받는 배경은? , 2006). 이러한 배지나 시설물의 멸균은 실제로 고온 살균하거나(Wilson, 1988), 마이크로필터, 광촉매를 주로 이용하기 때문에 가격이 매우 비싸고(Lee, 1999; Lee, 2007; Miyama 등, 2002; Chung 등, 2010; Chung 등, 2013), 브롬화메탄(CHBr) 및 메틸브로마이드(CH3Br) 같은 화학적인 훈증소독도 있으나 2015년부터 전면 사용금지할 계획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Chung, S.W., Y.S. Ha, J.W. Lee, J.M. Park, S.H. Kwon, and K.M. Lee. 2010. Development of a hydroponic recycle system using the visible light-reactive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 for sterilization of nutrient solution (I) - Determination of factors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35(6):420- 425 (in Korean). 

  2. Chung, S.W., Y.S. Ha, K.M. Lee, J.S. Kim, J.M. Park, S.G. Kwon, W.S. Choi, S.H. Kwon, M. Mitsuoka, E. Inoue, and T. Okayasu. 2013. Sterilization in hydroponic recycling system using visible lightreactive titanium dioxide photocatalysts. Journal of the Faculty of Agriculture, Kyushu University 58(1):93-98. 

  3. Kim, D.C., J.H. Hyun, J.J. Byun, D.W. Lee, and K.H. Mun. 1998. Microwave drying of food waste. Korean J. Sanitation. 13(3):133-140 (in Korean). 

  4. Kim, S.S., H.J. Kim, and S.Y. Kim. 1999. Microwave vacuum drying of brown rice koji as an enzymic health fo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3):625-630 (in Korean). 

  5. Kim, Y.H. 1999. Industrial Microwave Power Engineering. GiJeon Publishing Company. Seoul (in Korean). 

  6. Lee, I.H. 1999. Development of equipment for recycling of nutrient solution in green house by utilizing of UV-photocatalytic disinfection. Final report of the research project, Ministry Agticulture & Forestry, Gwacheon, Republic of Korea. 

  7. Lee, K.M., J.T. Lee, S.W. Chung, and H.Y. Lee. 2006. Development of a hydroponic recycling system using the visible light-reactive titanium oxide photo catalist fo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of nutrient solution (I) -determination of factors-. Proceedings of the KSAM 2006 Summer Conference 11(2):221-226 (in Korean). 

  8. Lee, K.M. 2007. Development of a Hydroponic Recycle System using the Visible Light-reactive Titanium Oxide Photocatalyst for Sterilization and Purification of Nutrient Solution. Final report of the research project, Ministry Agticulture & Forestry, Gwacheon, Republic of Korea (in Korean). 

  9. Miyama, Y., K. Sunada, and K. Hashimoto. 2002. Photocatalytic water treatment of tomato hydroponic culture system using solar ligh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photochemical conversion and storage of solar energy W2-P-34. 

  10. Park, H.D. 2005a. Radio Frequency and Microwave Electronics Illustrated. HongRung Publishing Company. Seoul (in Korean). 

  11. Park, H.D. 2005b. Microwave Technology. HongRung Publishing Company. Seoul (in Korean). 

  12. Suh, S.J. and Y.H. Lee. 2011. Development of microwave processing on wood packing materials for export goods. Plant and Fisheries Quarantine and Inspection Agency. The report of the Project for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by Animal (in Korean). 

  13. Wilson G.C.S. 1988. The effect of various treatments on the yield of tomatoes in reused perlite. Acta Horticulturae 221: 379-38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