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의료기관의 소독과 멸균 관리 실태
Actu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ntrol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4, 2014년, pp.392 - 402  

정선영 (건양대학교 간호학과) ,  최정화 (건국대학교병원 감염관리실) ,  김은경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감염관리팀) ,  김수미 (인하대병원 감염관리실) ,  손희정 (이화여대목동병원 감염관리실) ,  조난형 (강남세브란스병원 감염관리실) ,  최지연 (중앙대병원 감염관리실) ,  박은숙 (세브란스병원 감염관리실) ,  박진희 (우석대학교 간호학과) ,  이지영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감염관리실) ,  최순임 (계명대학교 동산병원 감염관리팀) ,  우진하 (건국대학교병원 수술실) ,  김옥선 (상지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Method: A survey of 193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was conducted from February 8 to March 7, 2013.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hi}^2$ test, Fish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 다양한 규모의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소독과 멸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하였다. 소독과 멸균 관리체계는 300병상 미만 규모에서 지침 구비, 직원교육, 의사결정을 위한 회의체 구축, 멸균 적절성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과 멸균 과정에 문제 발생 시 회수 절차 등과 같은 관리체계를 구축하지 않은 의료기관이 많았다.
  •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소독과 멸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의 소독과 멸균지침 개발을 위한 질병관리본부의 연구용역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기초자료로서 다양한 규모와 지역을 포함한 국내 의료기관의 소독과 멸균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기굴들은 인체와 접촉 부위에 따라 어떻게 분류하는가?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기구들은 인체와 접촉 부위에 따라 고위험기구, 준위험기구, 비위험기구로 분류하며, 이 분류에 따라 멸균과 소독 수준을 구분한다[3]. 인체의 무균 조직에 접촉하는 시술 기구들은 고위험기구로 분류한다.
결핵 병실의 환경 소독은 일반병실 환경 소독 수준에서 실시하도록 권장하는 이유는? 결핵균은 대표적인 공기매개 감염균[15]으로 병실 환경 표면을 통한 전파보다 공기를 통한 감염 전파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결핵 병실의 환경 소독은 일반병실 환경 소독 수준에서 실시하도록 권장한다[14,23].
의료기구의 안전한 멸균을 위하여 필요한 것은? 의료기구의 안전한 멸균을 위하여 적합한 멸균법을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멸균기가 제대로 작용하여 멸균이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확인, 멸균기록일지 작성, 멸균과정에 문제 발생 시 회수절차와 직원 교육이 필요하다. 의료기관에서 기계적, 화학적, 생물학적 지표를 이용한 멸균 확인 과정과 멸균기록일지 작성과 보관이 적절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과 홍보를 강화하고, 의료기관평가 항목[18]에 포함된 멸균기 관리와 멸균 확인 부분 평가를 보다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eoane-Vazquez E, Rodriguez-Monguio R, Visaria J, Carlson A. Exogenous endoscopy-related infections, pseudo-infections, and toxic reactions: Clinical and economic burden.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2006;22(10):2007-2021. http://dx.doi.org/10.1185/030079906X121048 

  2. Yoon YK, Sim HS, Kim JY, Park DW, Sohn JW, Roh KH, et al. Epidemiology and control of an outbreak of 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in the intensive care units. Yonsei Medical Journal. 2009;50(5):637-643. http://dx.doi.org/10.3349/ymj.2009.50.5.637 

  3. Rutala WA, Weber DJ.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An overview. American Journal of Infection Control. 2013;41(5):S2-S5. http://dx.doi.org/10.1016/j.ajic.2012.11.005 

  4. Baxter RL, Baxter HC, Campbell GA, Grant K, Jones A, Richardson P,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residual protein contamination on reprocessed surgical instrum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6;63(4):439-444. 

  5. Dancer SJ, Stewart M, Coulombe C, Gregori A, Virdi M. Surgical site infections linked to contaminated surgical instrument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2;81(4):231-238. http://dx.doi.org/10.1016/j.jhin.2012.04.023 

  6. Tosh PK, Disbot M, Duffy JM, Boom ML, Heseltine G, Srinivasan A, et al. Outbreak of Pseudomonas aeruginosa surgical site infections after arthroscopic procedures: Texas, 2009. Infection Control and Hospital Epidemiology. 2011;32(12):1179-1186. 

  7. Kovaleva J, Peters FTM, van der Mei HC, Degener JE. Transmission of infection by flexible gastrointestinal endoscopy and bronchoscopy. Clinical Microbiology Reviews. 2013;26(2):231-254. http://dx.doi.org/10.1128/CMR.00085-12 

  8. Kim KM. Descriptive study on the current usage of disinfectants in Korea. Paper presented at: 14th Korean Association of Infection Control Nurses Summer Conference; 2009 August 28-29; Spacastle. Ducksan. 

  9. Park ES, Kim OS, Kim KM, Kim YS, Jeong SY, Yoon SW. Descriptive study for status of usage of disinfect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1;6(1):17-32. 

  10. Park ES, Jeong JS, Kim KM, Kim OS, Jeong SY, Jang SY, et al. Descriptive study on the current usage of disinfecta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06;11(1):42-49. 

  11. Woo JH, Seo YK, Kim MS, Kim HS, Park SS, Park SA, et al. A survey for the standardization of sterilization management on operation room. Sterilization Evaluation Report. Seoul: Korean Association of Operating Room Nurses; 2010, June. 

  12. Oh, YH. National Health Medicine Survey in 2011. Health Evaluation Repor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December. Report No.: 11-1352000-000524-13. 

  13. Maltby J. Introduction to statistics for nurse. Tack YR, Kang KA, Kim JW, Kim TK, Kim HO, Song JH, et al., translator. Seoul: Fornurse; 2009. 

  14. Park E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Jeong SY, Choi JY, Kim KM, Kim OS, Kim EK, Park ES, et al., editors. Text of infection control. Seoul: Hyunmoonsa; 2012. p.135-161. 

  15. Park ES.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Kim EJ, Kim HB, Kim SI, Kim OS, Eom JS, Yoo SY, et al., editors.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4th ed. Seoul: Hanmibook; 2011. p63-94. 

  16. Rutala WA, Weber DJ,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Guideline for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2008 [Internet]. Atlant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9 [cited 2014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cdc.gov/hicpac/ Disinfection_Sterilization/acknowledg.html. 

  17. Korean Association of Central Supply Department Nurses. Korean sterilization assurance standard [Internet]. Seoul: Korean Association of Central Supply Department Nurses; 2000 [cited 2014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a-lahm.com/3m/standard1.pdf. 

  18.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ealthcare accreditation survey guide [Internet].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07 [cited 2014 July 30]. Available from: http://www.koiha.or.kr/home/data/data/doList.act?boardtype05. 

  19. Chang CL, Su LH, Lu CM, Tai FT, Huang YC, Chang KK. Outbreak of ertapenem-resistant Enterobacter cloacae urinary tract infections due to a contaminated ureteroscop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3;85(2):118-124. http://dx.doi.org/10.1016/j.jhin.2013.06.010 

  20. Brullet E, Ramirez-Armengol JA, Campo R, Board of the Spanish Association for Digestive Endoscopy. Cleaning and disinfection practices in digestive endoscopy in Spain: Results of a national survey. Endoscopy. 2001;33(10): 864-868. 

  21. Fratila O, Tantau M. Cleaning and disinfection in gastrointestinal endoscopy: Current status in Romania. Journal of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2006;15(1):89-93. 

  22. Korea Society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Disinfection Committee. Cleaning and disinfection guide of gastrointestinal endoscope. Seoul: Medbook; 2012. 

  23.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Guideline for environmental infection control in health-care facilities: Recommendations of CDC and the Healthcare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HICPAC). Mortality Morbidity Weekly Report. 2003;52(No. RR-10):1-42. 

  24. Hong KB, Oh HS, Song JS, Lim JH, Kang DK, Son IS, et al. Investigation and control of an outbreak of imipenem-resistant Acinetobacter baumannii infection in a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Pediatric Infectious Disease Journal. 2012;31(7):685-690. http://dx.doi.org/10.1097/INF.0b013e318256f3e6 

  25. Squeri R, Grillo OC, La Fauci V. Surveillance and evidence of contamination in hospital environment from methicillin and vancomycin-resistant microbial ag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Hygiene. 2012;53(3):143-1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