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중 피복온실의 관류열전달계수 산정
Estimation of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for Single Layer Covering in Greenhouse 원문보기

시설원예ㆍ식물공장 =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v.22 no.2, 2013년, pp.108 - 115  

황영윤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이종원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  이현우 (경북대학교 농업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에 대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검증하여 다양한 온실조건 및 환경조건에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온실내부 및 외부온도와 피복재 표면온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주간 및 야간 온도를 모두 고려하였을 때보다 야간온도만을 고려하였을 경우가 상관성이 훨씬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의 표면온도가 온실의 외부온도보다는 내부온도와 상관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데 사용된 5가지 종류의 대류 및 복사열전달계수 산정식을 비교한 결과 Kittas가 제안한 대류 및 복사열전달계수 산정식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 표면온도의 측정값과 계산 값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직선의 기울기는 1.009이고 절편은 0.001이며 결정계수가 0.98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관류열전달계수 산정모델이 신뢰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실내부로부터 피복재 내부표면으로 전달되는 열흐름량의 경우 모든 풍속구간에 대해 대류열전달량이 복사열전달량보다 더 컸으며 풍속이 증가할수록 그 차이가 증가하였다. 외부표면에서 손실되는 열흐름량의 경우 풍속이 낮을 때에는 대류열전달량에 비해 복사열전달량이 더 컸으나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그 차이는 점점 줄어들어 풍속이 높을 때에는 대류열전달량이 더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복재 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량은 내부표면의 대류열전달량에 직선적으로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관류열전달계수는 증가하고 피복재의 표면 온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변화추세를 보면 관류열전달계수는 거듭제곱함수와 그리고 표면온도는 로그함수와 잘 일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uggest a model to calculate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single layer covering for various greenhouse conditions. There was a strong correlation between cover surface temperature and inside air temperature of greenhouse. The equations to calculate the conv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에 대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검증하여 다양한 온실조건 및 환경조건에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중피복온실의 피복재에 대하여 우리나라 환경에 적합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는 방법을 찾아내고 검증하여 다양한 온실조건 및 환경조건에서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가설 설정

  • 식(7)에 Table 1의 값을 대입하여 온실 내외부 온도차를 최대 308K로 가정하고 피복재 내외부표면의 온도차를 계산하면, 유리는 최대 0.74K, 플라스틱 필름은 최대 0.15K로 낮게 나타났기 때문에 피복재 내외부 표면의 온도가 같다고 가정하고 관류열전달계수를 산정하였다. Papadakis 등(1992)도 플라스틱 피복재의 내외부표면의 온도를 같다고 가정하고 열전달량을 산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하였고, Baille 등(2006)의 실험결과에서도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피복재의 내부표면온도와 외부표면온도가 같다고 가정하였으며, 피복재 온도산정은 식(1) 및 (4)로부터 다음 식과 같이 구하여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관류열전달계수는 무엇으로 구성되는가? 관류열손실량은 일반적으로 관류열전달계수와 온실 내외부 온도차의 곱으로 구해지고, 관류열전달계수는 외부기온, 풍속 및 천공상태 등의 기상조건, 피복재의 표면상태, 피복재 내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 방식, 장파복사 열교환량, 틈새환기량, 피복면적, 온실형태, 온실바닥면적, 보온커튼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 값은 열전도계수, 피복재 내외부의 대류열전달계수 및 장파복사열전달 계수의 항으로 구성된다(Papadakis 등, 2000). 이와 같이 관류열전달계수는 다양한 온실조건 및 환경조건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동일한 종류의 피복재에 대해서도 연구자에 따라 다른 값을 제시하고 있는 실정이다(Abdel-Ghany와 Kozai, 2006; Papadakis 등, 2000; Seginer 등,
관류열전달계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무엇인가? 관류열손실량은 일반적으로 관류열전달계수와 온실 내외부 온도차의 곱으로 구해지고, 관류열전달계수는 외부기온, 풍속 및 천공상태 등의 기상조건, 피복재의 표면상태, 피복재 내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 방식, 장파복사 열교환량, 틈새환기량, 피복면적, 온실형태, 온실바닥면적, 보온커튼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 값은 열전도계수, 피복재 내외부의 대류열전달계수 및 장파복사열전달 계수의 항으로 구성된다(Papadakis 등, 2000).
관류열손실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관류열손실량은 일반적으로 관류열전달계수와 온실 내외부 온도차의 곱으로 구해지고, 관류열전달계수는 외부기온, 풍속 및 천공상태 등의 기상조건, 피복재의 표면상태, 피복재 내외부 표면의 대류열전달 방식, 장파복사 열교환량, 틈새환기량, 피복면적, 온실형태, 온실바닥면적, 보온커튼의 유무 등에 따라 달라지며. 이 값은 열전도계수, 피복재 내외부의 대류열전달계수 및 장파복사열전달 계수의 항으로 구성된다(Papadakis 등,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bdel-Ghany, A.M. and T. Kozai. 2006. On the determination of the overall heat transmission coefficient and soil heat flux for a cooled, naturally ventilated greenhouse: Analysis of radiation and convection heat transfer. Energy Conversion and Management 47:2612-2628. 

  2. ASABE. 2008. Heating, ventilating and cooling greenhouses. ASABE Standards. 

  3. Bailey, B.J. and Z.S. Chalabi. 1994. Improving the cost effectiveness of greenhouse climate control.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10:203-214. 

  4. Baille, A., J.C. Lopez, S. Bonachela, M.M. Gonzalez-Real, J.I. Montero. 2006. Night energy balance in a heated low-cost plastic greenhouse.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37:107-118. 

  5. Duffie JA, Beckman WA (1981) Solar engineering of thermal processes. Wiley Interscience Publication, New York, USA. p. 122-123. 

  6. Garzoli, K.V. and J. Blackwell. 1981. An analysis of the nocturnal heat loss from a single skin plastic greenhouse. J. Agric. Engng Res. 26:203-214. 

  7. Lee, H.W., S. Diop, and Y.S. Kim. 2011. Variation of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plastic greenhouse covering material.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72-77 (in Korean). 

  8. Hanan, J.J. 1998. Greenhouses-Advanced technology for protected horticulture. CRC Press, Boca Raton, FL, USA. p. 

  9. Japan Protected Horticulture Association. 1994. Handbook of protected horticulture. Japan Protected Horticulture Association. p. 170-173 (in Japanese). 

  10. Kim, M.G., S.W. Nam, W.M. Suh, Y.C. Yoon, S.G. Lee, and H.W. Lee. 2000. Agricultural structural engineering. Hyangmunsa, Seoul, Korea. p. 87 (in Korean). 

  11. Kimball, B.A. 1973. Simulation of the energy balance of a greenhouse. J.Agr. Met. 11: 243-260. 

  12. Kittas, C. 1986. Greenhouse cover conductances. Boundary- Layer Meteorol. 36:213-225. 

  13. Kittas, C. 1994.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a greenhouse cover.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69:205- 221 (in French). 

  14. Lee, H.W., S. Diop, and Y.S. Kim. 2011. Variation of the overall heat transfer coefficient of plastic greenhouse covering material.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20(2):72-77(in Korean). 

  15. Minagawa, H. and K. Tachibana. 1982. The overall heat transfer of greenhouses covered with PE and PVC single layer - The heat insulation efficiency of greenhouses and their covering materials (1). J. Agr. Met. 38(1):15-22 (in Japanese). 

  16. Mistry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MIFAFF). 2011. Status of vegetable production in South Korea (in Korean). 

  17. Nijskens, J., J. Deltour, S. Coutisse, and A. Nissen. 1984. Heat transfer through covering materials of greenhous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3:193-214. 

  18. Papadakis, G., D. Briassoulis, G.S. Mugnozza, G. Vox, P. Feuilloley, and J.A. Stoffers. 2000. Radiometric and thermal properties of, and testing methods for, greenhouse covering materials. J. Agric. Engng Res. 77(1):7-38. 

  19. Papadakis, G., A. Frangoudakis, and S. Kyritsis. 1992. Mixed, forced and free convection heat transfer at the greenhouse cover. J. Agric. Engng Res. 51:191-205. 

  20. Seginer, I., D. Kantz, U.M. Peiper, and N. Levav. 1988. Transfer coefficients of several polyethlene greenhouse covers. J. Agric. Engng Res. 39:19-37. 

  21. Swinbank, W. 1963. Long-wave radiation from clear skies. Quarterly Journal of Royal Meteorological Society 89:339-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