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CR-DGGE를 이용한 친환경 농법 적용 고추경작지 내 진균의 군집 다양성 분석
PCR-DGGE Analysis of the Fungal Community of Red-pepper Fields Utilizing Eco-friendly Farming Method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3, 2013년, pp.292 - 299  

정병권 (영남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  김광섭 (영남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  송진하 (영남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  김상달 (영남대학교 미생물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DGGE를 사용하여 친환경 농법을 적용한 고추경작지에서 서식하는 진균의 군집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추출한 DNA는 DGGE 분석을 위해 진균의 universal primer인 ITS 1/4 primer set를 사용하여 nested-PCR을 수행하였으며, 증폭된 산물을 사용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 진균의 군집을 나타내는 band의 수는 고추 정식 전에는 3-4개에 불과했으나 고추를 정식한 후에는 전체 처리구에서 평균 15개로 조사되어 작물의 정식이 진균의 밀도 및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구 별로는 윤작과 컨소시엄 미생물제제를 동시에 적용한 고추 경작지에서 band 수가 18개로 나타나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에 연작지의 화학농약 처리구에서는 band의 수가 14개로 나타나 처리구 중에서 진균의 다양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주요 병원성 진균의 DNA를 marker로 사용하여 각 처리구 별로 패턴을 비교한 결과, 연작지에서 모잘록병을 일으키는 R. solani AG-1 (IB)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우점종을 조사한 결과, 고추 정식 전에는 Paraphaeosphaeria quadriseptata, 정식 후에는 Mortierella chlamydospora, Cucurbitaria berberidis 및 Chaetomium globosum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구 간의 유사성 분석에서는 연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와 윤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농약 처리구 역시 경작체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nges in fungal populations of red-pepper fields employing eco-friendly farming methods, such as microbial agents and crop rotation, by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s coupled with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Primer specific for fungi were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추의 경작지를 대상으로하여 식물 생장촉진근권세균(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균주인 auxin, siderophore 및 bbb-glucanase를 생산하는 Bacillus licheniformis K11 [28], auxin, siderophore, celluase를 생산하는 Bacillus subtilis AH18 [8], 그리고 2,4-diacetylphloroglucinol (2,4-DAPG)와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deaminase (ACC deaminase)를 생산하는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11-13]가 혼합된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 및 콩과작물인 강낭콩을 정식하여 윤작체계를 적용한 후, 근권토양으로부터 DNA를 추출하여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DGGE 기법을 통해 진균의 군집다양성 변화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기법인 PCR-DGGE를 사용 하여 친환경 농법을 적용한 고추경작지에서 서식하는 진균의 군집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토양으로부터 추출한 DNA는 DGGE 분석을 위해 진균의 universal primer인 ITS 1/4 primer set를 사용하여 nested-PCR을 수행하였으며, 증폭된 산물을 사용하여 DGGE를 수행한 결과 진균의 군집을 나타내는 band의 수는 고추 정식 전에는 3-4개에 불과했으나 고추를 정식한 후에는 전체 처리구에서 평균 15개로 조사되어 작물의 정식이 진균의 밀도 및 다양성을 증가 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가로스 겔 전기영동 법에 비해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의 장점은? 때문에 최근에는 fingerprinting의 일종인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DGGE)와 같은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진균의 군집을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DGGE는 의학적으로 유전자돌연변이를 동정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사용되었으며[1], Muyzer 등[18]에 의해 PCR-DGGE를 사용하여 미생물 군집을 분석하는 연구가 시작되었다[18]. 일반적인 agarose gel 전기영동법과 다르게 DGGE는 polyacrylamide gel에 urea, formamide와 같은 화학적 변성자(denaturants)를 첨가하고 polyacrylamide의 농도구배와 높은 온도를 사용함으로 인하여 이중가닥의 DNA 의 guanine과 cytosine 함량에 따라 단일가닥으로 분리되는 정도가 달라지며, gel 상에서 이동하는 거리가 달라지게 됨으로 PCR에 의해 증폭된 같은 길이의 특정 DNA를 다양한 패턴으로 분리할 수 있어 환경에 서식하는 미생물의 군집상을 분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 6, 14].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최근에는 옥수수, 밀 등과 같은 식물의 근권에 서식하는 진균 및 세균의 군집을 경시적으로 분석하는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17, 20, 21].
진균 군집 다양성을 분석하는 데 배양방법에 의존한 기술의 단점은? 과거에는 희석도말법과 같이 배양방법을 통한 colony 계수측정에 의해 토양에 존재하는 진균의 군집다양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배양방법에 의존한 기술로는 담자균(Basidiomycetes)이나 내생균근균(Endomycorrhizae)와 같은 몇몇 진균을 배양하기 힘들뿐더러 진균의 군집다양성을 분석하기에는 제한적이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며, 단일 균주를 순수하게 분리할 수 있을지라도 극히 작은 수의 균주만을 탐색할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존재한다[3, 25].
친환경 농법을 적용한 고추경작지에서 고추 정식 전과 후의 진균 우점종은 무엇입니까? solani AG-1 (IB)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우점종을 조사한 결과, 고추 정식 전에는 Paraphaeosphaeria quadriseptata, 정식 후에는 Mortierella chlamydospora, Cucurbitaria berberidis 및 Chaetomium globosum 종이 우점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처리구 간의 유사성 분석에서는 연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와 윤작지의 컨소시엄 미생물제제 처리구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학농약 처리구 역시 경작체계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orresen AL, Hovig E, Brogger A. 1988. Detection of base mutations in genomic DNA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electrophoresis (DGGE) followed by transfer and hybridization with gene-specific probes. Mutat. Res. 202: 77-83. 

  2. Bridge P, Spooner B. 2001. Soil fungi: diversity and detection. Plant Soil. 232: 147-154. 

  3. De Ley FAAM, Lynch JM. 1997. Functional diversity of the rhizosphere, In: Ogoshi A, Kobayashi K, Homma Y, Kadoma F, Kondo N, Akino S. (ed.), Plant growth-promoting rhizobacteria.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Workshop on plant-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ECD, Paris, France. pp. 38-43. 

  4. Eeva JV, Jarkko H. 2000. Direct analysis of ood-inhabiting fungi using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of amplified ribosomal DNA. Mycol. Res. 104: 927-936. 

  5. Esitken A, Ercisli S, Karlidag H, Sahin F. 2005. Potential use of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PGPR) in organic apricot production. Proc. Int. Sci. Conf., pp. 90-97. 

  6. Hovig E, Smithsorensen B, Brogger A, Borresen AL. 1991. Constant denaturant gel-electrophoresis, a modification of denaturing gradient gel-electrophoresis, in mutation detection. Mutat. Res. 262: 63-71. 

  7. Ian CA, Colin DC, James IP. 2003. Potential bias of fungal 18S rDNA and internal transcribed spacer polymerase chain reaction primers for estimating fungal biodiversity in soil. Environ. Microbiol. 5: 36-47. 

  8.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2006. An auxin producing 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um bacillus subtilis ah18 which has siderophore-producing biocontol activity.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4: 94-100. 

  9. Jung HK, Kim JR, Woo SM, Kim SD. 2007. Selection of the auxin, siderophore and cellulase- producing PGPR, Bacillus licheniformis K11 and its plant growth promoting mechanism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0: 23-28. 

  10. Kirk PM, Cannon PF, Minter DW, Stalpers JA. 2008. Dictionary of the Fungi (10th ed.). Wallingford, UK: CABI. pp. 131. 

  11. Lee ET, Kim SD. 2000. Selection and actifungal activity of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sp. 2112 against redpepper rotting Phytophthora capsic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8: 334-340. 

  12. Lee ET, Kim SD. 2001. An antifungal substance, 2,4- Diacetylphloroglucinol, produced from antagonistic bacterium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against phytophthora capsici. Korean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9: 37-42. 

  13. Lee ET, Lim SK, Nam DH, Khang YH, Kim SD. 2003. Pyoverdin2112 of Pseudomonas fluorescens 2112 inhibits Phytophthora capsici, a red-pepper blight-causing fungus. J. Microbiol. Biotechnol. 13: 415-421. 

  14. Lessa EP, Applebaum G. 1993. Screening techniques for detecting allelic variation in DNA sequences. Mol. Ecol. 2: 119-129. 

  15. Lumsden RD. 1981. Ecology of mycoparasitism. In: Wicklow DT, Carroll GC. (ed.), The fungal community. Marcel Dekker, Inc., New York, N.Y., pp. 295-328. 

  16. Marschner P, Crowley DE, Lieberei R. 2001. Arbuscular mycorrhizal infection changes the bacterial 16S rDNA community composition in the rhizosphere of maize. Mycorrhiza 11: 297-302. 

  17. May LA, Smiley B, Schmidt MG. 2001. Comparative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fung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whole plant corn silage. Can. J. Microbiol. 47: 829-841. 

  18. Muyzer G, de Waal EC, Uitterlinden AG. 1993. Profiling of complex microbial populations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nalysis of polymerase chain reaction-amplifi ed genes coding for 16S rRNA. Appl. Environ. Microbiol. 59: 695-700. 

  19. Paranagama PA, Wijeratne EM, Gunatilaka AA. 2007. Uncovering biosynthetic potential of plant-associated fungi: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on metabolite production by Paraphaeosphaeria quadriseptata and Chaetomium chiversii. J. Nat. Prod. 70: 1939-1945. 

  20. Smalla K, Wieland G, Buchner A, Zock A, Parzy J, Kaiser S, et al. 2001. Bulk and rhizosphere soil bacterial communities studi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lantdependent enrichment and seasonal shifts revealed. Appl. Environ. Microbiol. 67: 4742-4751. 

  21. Smit E, Leeflang P, Glandorf B, Dirk van Elsas J, Wernars K. 1999. Analysis of fungal diversity in the wheat rhizosphere by sequencing of cloned PCR-amplified genes encoding 18S rRNA and temperature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Appl. Environ. Microbiol. 65: 2614-2621. 

  22. Soderberg KH, Olsson PA, Baath E. 2002. Structure and activity of the bacterial community in the rhizosphere of different plant species and the effect of arbuscular mycorrhizal colonisation. FEMS Microbiol. Ecol. 40: 223-231. 

  23. Tao G, Liu ZY, Hyde KD, Liu XZ, Yu ZN. 2008. Whole rDNA analysis reveals novel and endophytic fungi in Bletilla ochracea (Orchidaceae). Fungal Diver. 33: 101-122. 

  24. Thorn G. 1997. The fungi in soil. In: van Elsas JD, Wellington EMH, Trevors JT. (Eds.), Mod. Soil Microbiol., Marcel Dekker, New York, pp. 63-127. 

  25. Thorn RG, Reddy CA, Harris D, Paul EA. 1996. Isolation of saprophytic basidiomycetes from soil. Appl. Environ. Microbiol. 62: 4288-4292. 

  26. Tunlid A, Hoitink HAJ, Low C, White DC. 1989. Characterization of bacteria that suppress Rhizoctonia damping-off in bark compost media by analysis of fatty acid biomarkers. Appl. Environ. Microbiol. 55: 1368-1374. 

  27. Watanabe T. 1990. Zygospore induction in Mortierella chlamydospora by the soaking-plain-water-agarculture method. Mycologia, 278-282. 

  28. Woo SM, Kim SD. 2007. Confirmation of non-siderophore antifugal substance and cellulase from Bacillus licheniformis K11 containing antagonistic ability and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J. Life Sci. 17: 983-98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