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orallococcus와 Myxococcus 속 점액세균 균주들에 의한 항균 물질의 생산
Production of Antimicrobial Substances by Strains of Myxobacteria Corallococcus and Myxococcu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1, 2013년, pp.44 - 51  

신혜진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점액세균은행) ,  윤진권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점액세균은행) ,  안동주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점액세균은행) ,  조경연 (호서대학교 생명공학과 점액세균은행)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내 토양시료에서 분리한 174 Corallococcus 속 균주와 207 Myxococcus 속 균주들의 배양추출물을 제조하고 Candida albicans, Pseudomonas aeruginosa,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활성을 비교하였다. 항진균 활성을 보이는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7.5%(174균주 중 13균주)로 51.7%(207균주 중 107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낮았다. 하지만, 항세균 활성을 보인 균주의 비율은 Corallococcus가 12.1%(21균주)로 1%(2균주)를 보인 Myxococcus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았다. Corallococcus 균주 중 P. aeruginosa, S. aureus에 모두 활성을 보이는 6 C. coralloides 균주들은 자실체 형성에서는 차이를 보였지만 항세균 활성을 나타내는 배양추출물의 HPLC 크로마토그램은 유사하였는데, 이들이 생산하는 항세균 물질의 생산은 CYS 배지에서 6일 이상 배양할 때 가장 높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prepared culture extracts of 174 Corallococcus and 207 Myxococcus strains isolated in Korea, and compared their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Candida albicans, Pseudomonas aeruginosa,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percentage of strains showing antifungal activity was lower in Corallococcus (7.5...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Corallopyronin만이 Corallococcus 균주에서 최초로 발견된 물질이다[10].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분리한 Corallococcus와 Myxococcus 속 균주들을 대상으로 배양추출물을 제조하여 항균 활성을 비교 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와 Pseudomonas aeroginosa 에 항세균 활성을 보인 C. coralloides 균주들의 항세균 물질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orallococcus 속 균주들이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리물질은 무엇이 있는가? Myxococcus 속 균주들이 생산하는 생리활성물질은 16종 이상이 알려져 있다[16]. Corallococcus 속 균주들이 생산 하는 것으로 알려진 생리활성물질들로는 corallopyronin, pyrrolnitrin, myxothiazol, myxovalargin이 있는데[16], 이중 myxothiazol[4]과 myxovalargin[11]은 Myxococcus 속에서 최초 발견된 물질이며, Pseudomonas pyrrocinia에서 최초로 발견된 물질인 pyrrolnitrin도 점액세균 중에서는 Myxococcus 속에서 처음 발견되었다[6]. Corallopyronin만이 Corallococcus 균주에서 최초로 발견된 물질이다[10].
점액세균은 분류상 무엇인가? 그람음성 토양세균인 점액세균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이들로부터 100종류의 기본구조를 갖는 500여 물질들이 탐색되었다[5, 13, 19]. 현재 3아목, 7과, 22속 47종이 알려져 있는데[2, 15], Corallococcus, Myxococcus, Nannocystis, Sorangium 속에 속한 균주들이 다른 종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가 분리되었다[5].
점액세균은 현재 계통 분류상 몇 가지가 알려져 있으며 어떤 속에 있는 균주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리되었는가? 그람음성 토양세균인 점액세균은 다양한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여 이들로부터 100종류의 기본구조를 갖는 500여 물질들이 탐색되었다[5, 13, 19]. 현재 3아목, 7과, 22속 47종이 알려져 있는데[2, 15], Corallococcus, Myxococcus, Nannocystis, Sorangium 속에 속한 균주들이 다른 종류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수가 분리되었다[5]. 점액세균에서 발견된 대부분의 생리활성물질은 Sorangium과 Myxococcus 속 균주들에서 분리되었으며, Corallococcus와 Nannocystis 속 균주들에서는 극소수의 물질들만이 발견되었다[5, 2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elogurov, G. A., M. N. Vassylyeva, A. Sevostyanova, J. R. Appleman, A. X. Xiang, R. Lira, S. E. Webber, S. Klyuyev, E. Nudler, I. Artsimovitch, and D. G. Vassylyev. 2009. Transcription inactivation through local refolding of the RNA polymerase structure. Nature 457: 332-335. 

  2. Dawind, W. 2000. Biology and global distribution of myxobacteria in soil. FEMS Microbiol. Rev. 24: 403-427. 

  3. Garcia, R., K. Gerth, M. Stadler, I. J. Jr. Dogma, and R. Muller. 2010. Expanded phylogeny of myxobacteria and evidence for cultivation of the 'unculturables'. Mol. Phylogenet. Evol. 57: 878-887. 

  4. Gerth, K., H. Irschik, H. Reichenbach, and W. Trowitzsch. 1980. Myxothiazol, an antibiotic from Myxococcus fulvus (Myxobacterales). I. Cultivation, isolati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 33: 1474-1479. 

  5. Gerth, K., S. Pradella, O. Perlova, S. Beyer, and R. Muller. 2003. Myxobacteria: proficient producers of novel natural products with carious biological activities-past and future biotechnological aspects with the focus on the genus Sorangium. J. Biotechnol. 106: 233-253. 

  6. Gerth, K., W. Trowitzsch, V. Wray, G. Hofle, H. Irschik, and H. Reichenbach. 1982. Pyrrolnitrin from Myxococcus fulvus (Myxobacterales). J. Antibiot. 35: 1101-1103. 

  7. Hagen, D. C., A. P. Bretscher, and D. Kaiser. 1978. Synergism between morphogenetic mutants of Myxococcus xanthus. Dev. Biol. 64: 284-296. 

  8. Huntley, S., Y. Zhang, A. Treuner-Lange, S. Kneip, C. W. Sensen, and L. Søgaard-Andersen. 201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fruiting myxobacterium Corallococcus coralloides DSM 2259. J. Bacteriol. 194: 3012-3013. 

  9. Hyun, H., J. Chung, H. Lee, J. Youn, C. Lee, D. Kim, and K. Cho. 2009. Isolation of cellulose-degrading myxobacteria Sorangium cellulosum. Korean J. Microbiol. 45: 48-53. 

  10. Irschik, H. and H. Reichenbach. 1985. The mechanism of action of myxovalargin A, a peptide antibiotic from Myxococcus fulvus. J. Antibiot. 38: 1237-1245. 

  11. Irschik, H., K. Gerth, T. Kemmer, H. Steinmetz, and H. Reichenbach. 1983. The myxovalargins, new peptide antibiotics from Myxococcus fulvus (Myxobacterales). I. Cultivation, isolation, and some 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J. Antibiot. 36: 6-12. 

  12. Irschik, H., R. Jansen, G. Hofle, K. Gerth, and H. Reichenbach. 1985. The corallopyronins, new inhibitors of bacterial RNA synthesis from myxobacteria. J. Antibiot. 38: 145-152. 

  13. Kim, Y. S., W. C. Bae, and S. J. Back. 2003. Bioactive substances from myxo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1-12. 

  14. Park, S., B. Lee, J. Kim, C. Lee, E. Jang, and K. Cho. 2004.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acteriolytic wild myxo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2: 218-223. 

  15. Reichenbach, H. 2005. Myxococcales. pp. 1059-1144. In Brenner, D. J., N. R. Krieg, J. T. Staley, and G. M. Garrity (ed.),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 2nd ed. Bergey's Manual Trust, East Lansing, MI, USA. 

  16. Reichenbach, H. and G. Hofle. 1999. Myxobacteria as producers of secondary metabolites. pp. 149-179. In Grabley S. and R. Thiericke (ed.), Drug Discovery from Nature, Springer Verlag, Berlin, Germany. 

  17. Reichenbach, H. and M. Dworkin. 1992. The myxobacteria, pp. 3416-3487. In Balows, A., H. G. Trper, M. Dworkin, W. Harder, and K.-H. Schleifer (ed.), The Prokaryotes, 2nd ed., vol. IV, Springer Verlag, New York, USA. 

  18. Thierbach, G. and H. Reichenbach. 1981. Myxothiazol, a new antibiotic interfering with respiratio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 504-507. 

  19. Weissman, K. J. and R. Muller. 2009. A brief tour of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ism. Bioorg. Med. Chem. 17: 2121- 2136. 

  20. Weissman, K. J. and R. Muller. 2010.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ites: bioactivities and modes-of-action. Nat. Prod. Rep. 27: 1276-1295. 

  21. Wenzel, S. C. and R. Muller. 2009. The impact of genomics on the exploitation of the myxobacterial secondary metabolome. Nat. Prod. Rep. 26: 1385-14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