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두리 해안사구에 자생하는 사구식물 내생진균의 다양성 분석
Endophytic Fung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Roots of Coastal Sand-dune Plants in the Sindu-ri Coastal Sand Dune, Korea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41 no.3, 2013년, pp.300 - 310  

유영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서영교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윤혁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현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예은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리나 할무라토바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임순옥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  김종국 (경북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98주의 내생진균은 신두리 해안사구에 자생하고 있는 해안사구식물의 뿌리로부터 분리하였다. 8종의 해안사구식물 샘플은 모래지치(Argusia sibirica), 갯메꽃(Calystegia soldanella), 갯그령(Elymus mollis), 반디지치(Lithospermum zollingeri), 갯무(Raphanus sativus), 솔장다리(Salsola collina), 왕잔디(Zoysia macrostachya) 및 갯잔디(Zoysia sinica)이며, 신두리 해안사구로부터 채집되었다. 그리고 분리된 내생진균들은 ITS1, 5.8S와 ITS2를 포함하는 ITS-rDNA 영역에 의해 분석되었다. 해안사구식물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에 대하여 다양한 지수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해안사구식물로부터 분리된 모든 내생진균은 Capnodiales (3.09%), Eurotiales (70.10%), Glomerellales (1.03%), Helotiales (3.09%), Hypocreales (9.28%), Mortierellales (2.06%), Onygenales (1.03%), Ophiostomatales (1.03%), Pleosporales (1.03%), Polyporales (1.03%), Russulales (1.03%), Saccharomycetales (2.06%), Xylariales (1.03%)로 13개 목과 분류체계가 명확하지 않은 Incertae sedis (3.09%)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8종의 식물로부터 내생진균을 분석한 결과 Eurotiales 목과 Hypocreales 목의 Penicillium 속(59.18%)과 Fusarium속 (5.10%)이 가장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갯메꽃으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이 다른 해안사구식물들로부터 분리된 내생진균의 다양성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oastal sand-dune plants of eight species; Argusia sibirica, Calystegia soldanella, Elymus mollis, Lithospermum zollingeri, Raphanus sativus, Salsola collina, Zoysia macrostachya, and Zoysia sinica were collected from the Shindu-ri coastal sand dune. Ninety-eight endophytic fungal strains were 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의 해안사구지역으로 알려진 신두리 해안사구에 자생하고 있는 8종의 해안사구식물과 공생 하는 내생진균을 분리 및 동정하였다. 그리고 신두리 해안사구 식물내생 진균류를 분류학적으로 분석하였고, 내생진균의 종 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6종류의 다양한 지수를 적용하여 종 풍부도(Species richness) 및 종 다양성 지수 (Species diversity index)를 분석하였다.
  • 그리고 갯잔디에서 분리된 내생진균은 Eurotiomycetes강에 속하는 Eurotiales목의 Penicillium속, Talaromyces속과 Sordariomycetes강에 속하는 Hypocreales 목에 속하는 Fusarium속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분리및 동정된 내생진균들의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통 수를 작성하여 확인하였다. 작성된 계통수는 가장 많은 비율을 나타내고 있는 자낭균문에 속하는 Eurotiomycetes강의 Eurotiales목과 그리고 Eurotiales목과 가까운 유연관계인 Onygenales목에 속하는 내생진균을 나타내었고(Fig.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최대의 해안사구로 알려진 신두리 해안사구에 자생하는 해안사구식물들의 내생진균에 대한 연구로서, 해안사구식물과 공생하고 있는 내생진균류를 분리 및 동정을 수행하여 분리된 내생진균들의 유연관계를 확인하기 위하여 계통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다양성 지수를 적용하여 사구식물 8종에 따른 내생진균의 다양성을 확인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안사구란? 3 km 정도이고, 면적은 2 km2로 알려져 있다[12]. 해안사구(Coastal sand dune)는 해류와 연안류 및 바람에 의해 모래가 퇴적작용으로 형성되어 해안선을 따라 쌓인 모래언덕을 말하며, 강한 바람, 강한 일조량, 물 부족, 염도 등의 열악한 환경조건을 가진다. 그리고 해안사구는 해양생태계와 육상생태계의 이행대(Ecotone)를 형성하고[3, 12, 21], 이러한 독특한 환경지형으로서 해안사구식물(Coastal sand dune plant)이 분포하고 자생하는 식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해안사구식물이 자생하는 해안사구지역이 점차 사라지는 이유는? 해안사구식물은 주로 우리나라 동해안의 고래불 해안사구와 서해안 태안반도에 위치한 신두리 해안사구 등에서 다양하고 많은 식물종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태적 자원과 관광자원으로서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해안사구지역의 훼손, 오염 및 난개발 등으로 인하여 수많은 사구지역이 사라져가고 있는 추세이고[21], 전세계적으로 환경보전 및 복원에 대하여 관심을 받고 있으며[1, 3], 생태학적으로 이행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특이한 생물종의 생태학적, 경제적·학문적 및 여러 측면에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21]. 최근에는 해안사구지역의 보존 및 복원을 위하여 해안사구식물의 발아, 개화 및 생장에 대한 연구와 식물과 미생물간의 상호관계에 대한 연구가 점차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5-8, 25], 해안사구식물과 공생하는 유용미생물의 gibberellin (GA), auxin (IAA) 같은 식물호르몬 연구[4, 7, 8, 25], 미생물에 의한 식물의 염스트레스 연구[20] 및 새로운 미생물자원의 개발 등으로 해안사구 식물의 생리가 해안사구환경의 보호를 위하여 중요하다는 것이 알려지고 있다[8, 21, 25].
신두리 해안사구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이유는? 신두리 해안사구는 충청남도 태안군 원북면에 위치하고 있 으며,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형으로 알려지게 되어서 2001년에 천연기념물 431호로 지정되었다. 신두리 해안사구의 규모는 해안을 따라 북서방향으로 약 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arter RWG. 1991. Near future sea level impacts on coastal dunes landscapes. Landscape. Ecol. 6: 29-39. 

  2. Fisher RA, Corbet AS, Williams CB. 1943.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species and the number of individuals in a random sample of an animal population. J. Anim. Ecol. 12: 42-58. 

  3. Garia-Mora MR, Gallego-Fernandez JB, Garcia-Novo F. 2000. Plant diversity as a suitable tool for coastal dune vulnerability assessment. J. Coastal Res. 16: 990-995. 

  4. Hasan HA. 2002. Gibberellin and auxin-production by plant root-fungi and their biosynthesis under salinity-calcium interaction. Acta Microbiol. Immunol. Hung. 49: 105-18. 

  5. Hwang JS, You YH, Bae JJ, Khan SA, Kim JG, Choo YS. 2011. Effects of endophytic fungal secondary metabolites on the growth and physiological response of Carex kobomugi Ohwi. J. Coastal. Res. 27: 544-548. 

  6. Khan SA, Hamayun M, Kim HY, Yoon HJ, Lee IJ, Kim JG. 2009. Gibberellin production and plant growth promotion by a newly isolated strain of Gliomastix murorum.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5: 829-833. 

  7. Khan SA, Hamayun M, Kim HY, Yoon HJ, Seo JC, Choo YS, et al. 2009. A new strain of Arthrinium phaeospermum isolated from Carex kobomugi Ohwi is capable of gibberellin production. Biotechnol. Lett. 31: 283-287. 

  8. Khan SA, Hamayun M, Yoon HJ, Kim HY, Suh SJ, Hwang SK, et al. 2008. Plant growth promotion and Penicillium citrinum. BMC Microbiol. 8: 231. 

  9. Kim BS, Oh HM, Kang H, Park S, Chun J. 2004. Remarkable bacterial diversity in the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Microb. Biotechnol. 14: 205-211. 

  10. Kil YJ, Eo JK, Eom AH. 2009. Molecular identification and diveristy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Pinus densiflora in Boeun, Korea. Korean J. Mycol. 37: 130-133. 

  11. Lambshead PJD, Platt HM, Shaw, KM. 1983. Detection of differences among assemblages of marine benthic species based on anssessment of dominance and diversity. J. Nat. Hist. 17: 859-874. 

  12. Lim DO, Chekar EK, Choi HW, Hwang IC. 2010. The specific plant species and naturalized plants in the area of Taeanhaean National Park, Korea. Korean J. Env. Eco. 24: 117-129. 

  1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14. Opelt K, Berg G. 2004. Diversity and antagonistic potential of bacteria associated with bryophytes from nutrient poor habitats of baltic sea coast. Appl. Microbiol. 70: 6569-6579. 

  15.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p 165. John Wiley, New York. 

  1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688. 

  17. Tao G, Liu ZY, Hyde KD, Liu XZ, Yu XN. 2008. Whole rDNA analysis reveals novel and endophytic fungi in Bletilla ochracea (Orchidaceae). Fungal. Divers. 33: 101-122. 

  18. Tamura K, Peterson D, Peterson N, Stecher G, Nei M, Kumar, S. 2011. MEGA5: molecular evolutionary genetics analysis using maximum likelihood, evolutionary distance, and maximum parsimony methods. Mol. Biol. Evol. 28: 2731-2739. 

  19. Vazquez MM, Cesar S, Azcon R, Barea JM. 2000. Interaction between arbuscular mycorrhizal fungi and other microbial inoculants (Azospirillum, Pseudomonas, Trichoderma) and their effects on microbial population and enzyme activities in the rhizosphere of maize plants. Appl. Soil. Ecol. 15: 261-272. 

  20. Waller F, Achatz B, Baltruscha TH, Fodor J, Becker K, Fischer M, et al. 2005. The endophytic fungus Piriformospora indica reprograms barley to saltstress tolerance, disease resistance, and higher yield. PNAS 102: 13386-13391. 

  21. Williams AT. 1998. Integrated management methods monitoring environmental changes in coastal dune ecosystem. pp. 642-653, In Baether KG, Barth H, Bohle-Carbonell M, Fragakis C, Lipiatou E, Martin P, Ollier G, Weydart M (eds.), Porc. 3rd European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Conference, Brusells, European Commission 2. 

  22. Whittaker RH. 1977. Evolution of species diversity in land communities. Evol. Biol. 10: 1-67. 

  23. Yamada A, Takeo O, Yosuke D, Masatake O. 2001. Isolation of Tricholoma matsutake and T. bakamatsutake cultures from field-collected ectomycorrhizas. Mycoscience 42: 43-50. 

  24. You YH, Yoon H, Lee GS, Woo JR, Shin JH, Lee IJ, et al. 2011. Diversity and plant growth/promotion of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roots of plants in Dokdo islands. Korean J. Life Sci. 21: 992-996. 

  25. You YH, Yoon H, Kang SM, Woo JR, Choo YS, Lee IJ, et al. 2012. Cadophora malorum Cs-8-1 as a new fungal strain producing gibberellins isolated from Calystegia soldanella. J. Basic Microbiol. 52: 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