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열린사슬운동과 닫힌사슬운동이 정상성인의 하지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and Closed Chain Exercise on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in Adults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7 no.2, 2012년, pp.173 - 182  

권유정 (대구대학교 대학원 물리치료전공) ,  박수진 (선린대학 물리치료과) ,  김경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lower extremity muscle activity during open kinetic chain exercise (OKC) and closed kinetic exercise (CKC) in normal young adults. Methods : The participants were consisted of forty-one. All subjec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open k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약화된 근육은 운동을 통하여 근 활성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 개인의 적합한 운동량을 측정하여 근력강화 운동으로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을 실시하여 근력 증진을 위해 시기별 적절한 치료적 운동 프로그램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을 이용하여 각 개인에 맞는 저항량과 횟수로 각 근육과 시기에 맞는 운동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이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포항에 소재한 S대학에 재학 중인 정상 성인을 대상으로 주3회 6주간 실시하였다. MES9000을 이용하여 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운동 기간 6주 동안 운동전, 운동 2주 후, 운동 4주 후, 운동 6주 후 총 4회 반복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열린사슬 운동그룹과 닫힌사슬운동그룹이 근활성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 41명을 대상으로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이 하지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운동기간에 따른 근활성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내측광근, 외측광근, 내측 슬괵근, 외측 슬괵근, 전경골근, 내측 비복근, 외측 비복근의 활성도를 측정 비교분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항운동이란? 저항운동은 근육이 빈약한 성인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Peterson 등, 2010), 자기체중을 이용한 운동방법과 중량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저항운동은 신체정렬에 따라 크게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저항운동은 신체 정렬에 따라 어떻게 분류할 수 있나? 저항운동은 근육이 빈약한 성인의 근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안정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으로(Peterson 등, 2010), 자기체중을 이용한 운동방법과 중량기구를 이용한 운동방법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저항운동은 신체정렬에 따라 크게 열린 사슬 운동과 닫힌 사슬 운동으로 나눌 수 있다.
저항운동 방법 중 열린 사슬 운동이란 무엇인가? 열린 사슬 운동은 사지의 원위부에서는 자유롭게 움직이고 근위부에서는 고정된 상태에서 운동을 시행하는 방법으로, 관절가동범위가 제한된 환자의 근력 강화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김연주, 2007;장재원, 2004). 또한, 열린 사슬운동은 구심성 근 수축이 우세할 뿐만 아니라, 더 많은 견인력과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안정성이 외부 수단에 의해 제공되는 운동이다(권순복과 이현옥, 2005). 또한, 가속도 증가, 저항력 감소, 신연력과 회전력 감소, 관절과 근육의 기계적 수용기의 변형 증가, 구심성 가속력과 원심성 감속력의 증가, 기능적 활동의 촉진과 같은 특징이 있다(Prince, 199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권순복, 이현옥. 십자인대 재건술 후 닫힌 사슬운동과 열린 사슬운동의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5;17(3):297-310. 

  2. 김연주. 닫힌 사슬운동이 전십자인대 재건술 환자의 슬관절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7. 

  3. 김유신, 김은정. 하지 근력강화 트레이닝을 통한 편마비 환자의 보행형태 및 등속성 근력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5;13(3):67-82 

  4. 박래준, 강화순. 전기 자극과 치료적 운동에 의한 슬관절 신전근의 근력 증가 효과.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8;10(2):33-40 

  5. 배성수 저. 물리치료학개론. 대학서림. 2006. 

  6. 배성수. 저항운동치료 처방 프로그램 개발. 특수교육 재활과학 테크노파크 사업단. 1998. 

  7. 배성수, 김태숙, 김은주. 저항운동치료 처방에 관한 연구.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999;11(1): 149-56. 

  8. 양회송, 이강우. 만성 요통환자와 정상인의 균형반응 비교.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2;9(2):1-17. 

  9. 우영근, 박지원, 최종덕 등. 정상성인에서 정적 균형제어시 다양한 조건에 따른 하퇴 근육 활성도의 특성.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2):35-45. 

  10. 장재원. 개방역학운동과 폐쇄역학운동 시 대퇴사두근의 근활성도 변화.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11. 정낙수 역. 임상운동학. 영문출판사. 2009:115-6. 

  12. 조정희. 등장성 운동을 통한 폐쇄역학운동과 개방역 학운동의 근활성도 분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13. 최상준. 코칭(훈련)의 New Paradigm-통합기능훈련. 코칭능력개발지. 2008;10(3):66-78. 

  14. 한상완. 단일관절운동과 복합관절운동시 슬관절 각도에 따른 대퇴사두근의 표면근전도 비교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2004;16(3):192-204. 

  15. Enoka RM. Muscle strength and its development. New perspectives. Sports Med. 1988;6(3):146-68. 

  16. Hakkinen K, Pakarinen A, Kraemer WJ. Selective muscle hypertrophy, change in EMG and force, and serum hormones during strength training in old women. J Appl Physiol. 2001;91(2):569-80. 

  17. Iwasaki T, Shiba N, Matsuse H et al. Improvement in knee extension strength through training by means of combined electrical stimulation and voluntary muscle contraction. Tohoku J Exp. Med. 2006;209(1):33-40. 

  18. Jankowska E A, Wegrzynowska K, Superlak M et al. The 12-week progressive quadriceps resistance training improves muscle strength,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heart failure. Int J Cardiol. 2008;130(1):36-43. 

  19. Kurugant U, Parker P, Rickards J et al. Strength and muscle coactivation in older adults after lower limb strength trai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2006;36(9):761-6. 

  20. McDonagh MJN, Davis CTM. Adaptive response of mammalian skeletal muscle to exercise with high loads. Eur j Appl Physiol. 1984;52(2):139-55. 

  21. Peterson MD, Rhea MR, Sen A et al. Resistance exercise for muscular strength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Ageing Res Rev. 2010;9(3):226-37. 

  22. Prince WE. Rehabilitation technique in sports medicine. 3rd ed. USA. McGraw-Hill. 1999. 

  23. Tagesson S, Oberg B, Good L et al. A Comprehensive rehabilitation program with quadriceps strengthening in closed versus open kinetic chain exercise in patients with anterior cruciate ligament deficiency. Am J Sports Med. 2008;36(2):298-307. 

  24. Tanimoto M, Ishii N. Effects of low-intensity resistance exercise with slow movement and tonic force generation on muscular function in young men. J Appl Physiol. 2006;100(4):1150-7. 

  25. Tracy LB, Byrnes CW, Roger ME. Strength training reduces force fluctuations during anisometric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femoris muscles in old adults. J Appl Physiol. 2004;96(4):1530-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