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배합 및 양생조건이 3성분계 포졸란재를 이용한 RPC의 강도발현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ixtures and Curing Conditions on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Reactive Powder Concrete Using Ternary Pozzolanic Materials 원문보기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25 no.4, 2013년, pp.457 - 465  

장칩도르지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  최승훈 (서남대학교 환경화학공학과) ,  소형석 (서남대학교 건축공학과) ,  서기석 (한국원자력연구원 핵주기시스템공학부) ,  소승영 (전북대학교 건축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RPC)는 월등히 뛰어난 기계적 성능을 바탕으로 최근의 건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건설재료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유럽에서 개발된 RPC는 단위시멘트량이 매우 높거나 반응성 분체로서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실리카퓸(silica fume)을 다량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실용적인 RPC의 개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RPC의 성능 범위 내에서 단위시멘트량의 감소와 실리카퓸의 대체재로서 고로슬래그분말이나 플라이애쉬의 사용 등을 검토하기 위하여 다양한 양생방법에 따른 3성분계 포졸란재(고로슬래그, 플라이애쉬, 실리카퓸) 혼입 RPC의 강도발현 및 미세구조 특성을 분석 평가하였다. 시험 결과는 3성분계 포졸란재의 적절한 혼합사용과 최적 양생방법의 적용이 RPC의 강도발현 및 미세구조 개선에 매우 효과적임을 잘 보여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iscussed the influence of mixtures and curing conditions on the development of strength and microstructure of RPC using ternary pozzolanic materials. Through pilot experiment, various RPC was manufactured by adding single or mixed ternary pozzolanic materials such as silica fume, blast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의 일부를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로 치환하여 기존 RPC의 단위시멘트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한편 실리카퓸과의 혼합사용으로 포졸란반응을 더욱 활성화시켜 RPC의 미세구조 및 각종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동시에 양생온도 및 조건이 3성분계 포졸란재 혼입 RPC의 강도발현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생산되지 않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다른 포졸란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실리카퓸의 대체재로서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분말의 사용성도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경제적이며 실용성 및 활용성이 높은 RPC 개발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시멘트의 일부를 플라이애쉬와 고로슬래그미분말로 치환하여 기존 RPC의 단위시멘트량을 크게 감소시키는 한편 실리카퓸과의 혼합사용으로 포졸란반응을 더욱 활성화시켜 RPC의 미세구조 및 각종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였고, 동시에 양생온도 및 조건이 3성분계 포졸란재 혼입 RPC의 강도발현 및 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특히 한국에서는 생산되지 않고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다른 포졸란 재료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가인 실리카퓸의 대체재로서 플라이애쉬 및 고로슬래그분말의 사용성도 검토하여 국내 실정에 맞는 경제적이며 실용성 및 활용성이 높은 RPC 개발에 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의 특징은 무엇인가?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RPC)는 월등히 뛰어난 기계적 성능을 바탕으로 최근의 건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건설재료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유럽에서 개발된 RPC는 단위시멘트량이 매우 높거나 반응성 분체로서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실리카퓸(silica fume)을 다량 사용하고 있다.
국내의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는 무엇을 사용하는가? 반응성 분체 콘크리트(RPC)는 월등히 뛰어난 기계적 성능을 바탕으로 최근의 건설 환경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차세대 건설재료로서 기대를 모으고 있지만, 이에 대한 국내에서의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유럽에서 개발된 RPC는 단위시멘트량이 매우 높거나 반응성 분체로서 국내에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고가의 실리카퓸(silica fume)을 다량 사용하고 있다. 때문에 국내 실정에 맞는 실용적인 RPC의 개발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Reactive Powder Concrete라고 불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1990년대 초 Richard 등은 초고강도 콘크리트에 금속섬유를 혼입하여 고인성(high ductility)을 부여한 압축강도 800 MPa급의 초고강도 · 고인성 재료에 대해 보고하였으며, 이것은 포졸란 반응성 분체를 이용한 점으로부터 Reactive Powder Concrete(반응성 분체 콘크리트, 이하 RPC라 함)라 명명되었다.1) RPC는 종래의 보통콘크리트와는 달리 굵은 골재 대신 미세석영(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Richard, P. and Cheyrezy, M. H., "Reactive Powder Concretes with High Ductility and 200-800MPa Compressive Strength," ACI Spring Convention, San Francisco, SP. 144-24, 1994, pp. 507-517. 

  2. Richard, P. and Cheyrezy, M. H., "Composition of Reactive Powder Concretes,"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25, No.7, 1995, pp. 1501-1511. 

  3. Cheyrezy, M., "Structural Applications of RPC," Concrete, Vol. 33, No. 1, 1999, pp. 20-23. 

  4. Collepardi, S., Coppola, L., Troli, R., and Collepardi, M., "Mechanical Properties of Modified Reactive Powder Concrete," In: V. M. Malhotra Ed. Proceedings Fifth CANMET/AC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perplasticizers and Other Chemical Admixtures in Concrete, Rome, Italy, Farmington Hills, MI: ACI Publication SP-173, 1997, pp. 1-21. 

  5. Abouzar, S., "Development of a Light Weight Reactive Powder Concrete,"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Vol. 2, No. 3, 2004, pp. 409-417. 

  6. Halit, Y., Mert, Y. Y., Serdar, A., and Anil, S. K., "Mechanical Properties of Reactive Powder Concrete Containing High Volumes of Ground Granulated Blast Furnace Slag,"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Vol. 23, No. 3, 2009, pp. 1223-1231. 

  7. Langan, B. W., Weng, K., and Ward, M. A., "Effect of Silica Fume and Fly Ash on Heat of Hydration of Portland Cement,"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2, No. 7, 2002, pp. 1045-1051. 

  8. So, S. Y., Lee, J. B., Kanchivdorj, K., and So, H. S., "Strength Development and Microstructure of Reactive Powder Concrete Containing Meta-kaoli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7, No. 12, 2011, pp. 147-154. 

  9. So, S. Y. and So, H. 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trength Development of Ultra-High Strength Steel Fiber Reinforced Cementitious Composite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 25, No. 7, 2009, pp. 63-70. 

  10. Jo, B. W., Yoon, K. W., Park, J. H., and Kim, H., "An Experimental Study on Mechanical Properties of Ultra-High Strength Powder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3, 2010, pp. 287-295. (doi: http://dx.doi.org/10.4334/JKCI.2010.22.3.28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