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별 고의적 자해에 의한 사망수준에 관한 연구
Regional Suicide Mortality Rate in Korea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7 no.3, 2013년, pp.287 - 296  

박상화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인구의학연구소) ,  김영배 (공주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임달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gional difference of death from intentional self-harm. The analysis was based on data of intentional self-harm deaths (31,450) from the 2010-2011 vital statistics of Korea. The suicide rate (per 100,000 population) was 46.2 in male and 22.3 in female. Gend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통계청 사망통계 자료(2010-11) 중 고의적 자해로 분류된 사망자 31,450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시도별 자살률 및 자살 방법에 관하여 분석을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자살통계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지역별 자살수준과 인구학적 특성별 자살수준 및 자살방법에 따른 지역별, 인구학적 특성별 제반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자살예방 관련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통계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의적 자해의 특징은? 고의적 자해는 생물학적, 심리·정신학적, 사회·경제적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복합적인 현상 중의 하나로 자살률은 국가별로 차이가 있으며, 또한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별로 자살수준이 다르게 나타난다[1]. 미국의 경우 지역별 자살률은 서부지역이 동부지역보다 높으며[2], 1955-2005년간 미국의 자살률은 10만명당 10.
자살 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자살 방법에서는 교수 점유율이 53.7%로 가장 높고, 그 다음이 살충제(16.8%), 추락(14.3%), 가스 중독(6.3%) 순이었다. 지역별(광역시, 시, 군)로 자살방법의 분포는 시지역(광역시 포함)은 교수 점유율이 53-58%, 추락은 13-17%, 살충제 중독은 7-18%였으며, 군지역은 살충제 중독(44%)이 점유율이 높고, 그 다음이 교수의 점유율이 26%였고, 추락의 점유율은 6%로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
자살률 분포는 지역별로 어떻게 나타났는가? 3%) 순이었다. 지역별(광역시, 시, 군)로 자살방법의 분포는 시지역(광역시 포함)은 교수 점유율이 53-58%, 추락은 13-17%, 살충제 중독은 7-18%였으며, 군지역은 살충제 중독(44%)이 점유율이 높고, 그 다음이 교수의 점유율이 26%였고, 추락의 점유율은 6%로 낮았고 통계적으로 유의 하였다(p<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H.K. Jagodic, M. Agius, P. Pregelj(2012), Inter-regional variations in suicide rates, Psychiatria Danubina, Vol.24;S82-S85. 

  2. C.A. Haws, D.D. Gray, D.A. Yurgelun-Todd, M. Moskos, L.J. Meyer, P.F. Renshaw(2009), The possible effect of altitude on regional variation in suicide rates, Medical Hypotheses, Vol.73;587-590. 

  3. M. Miller, D. Azrael, C. Barber(2012), Suicide mortality in the United States: the importance of attending to method in understanding population-level disparities in the burden of suicide,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Vol.33;393-408. 

  4. K.C. Wu, Y.Y. Chen, P.S. Yip(2012), Suicide methods in Asia: implications in suicide preven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Research and Public Health, Vol.9;1135-1158. 

  5. D. Lester(1988-1999), Correlates of regional suicide rates, Omega-Journal of Death and dying, Vol.38;99-102. 

  6. M.M. Bellanger, A. Jourdain, A. Batt-Moillo(2007), Might the decrease in the suicide rates in France be due to regional prevention programmes?, Social Science & Medicine, Vol.65;431-441. 

  7. B.C. Park, D. Lester(2012), Rural and urban suicide in South Korea, Psychological Reports Vol.111;495-497. 

  8. K.S. Cheong, M.H. Choi, B.M. Cho, T.H. Yoon, C.H. Kim, Y.M. Kim, I.K. Hwang(2012), Suicide rate differences by sex, age, and urbanicity, and related regional factors in Korea,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Vol.45;70-77. 

  9. C.R. Stark, V. Riordan, R.A. O'Connor(2011), conceptual model of suicide in rural areas, Rural and Remote Health Vol.11;1622. 

  10. Statistics Korea(2010-2011),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11. M. Alston(2012), Rural male suicide in Australia. Social Science & Medicine Vol.74;515-522. 

  12. F. Judd, A.M. Cooper, C. Fraser, J. Davis(2006), Rural suicide-people or place effect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Vol.40;208-216. 

  13. N.D. Kapusta, A. Zorman, E. Etzersdorfer, E. Ponocny-Seliger, E. Jandl-Jager, G. Sonneck(2008), Rural-urban differences in Austrian suicid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43;311-318. 

  14. A.J. Kposowa, J.P. McElvain(2006), Gender, place, and method of suicide,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ology, Vol.41;435-443. 

  15. R. Micciolo, P. Williams, C. Zimmermann-Tansella, M. Tansella(1991), Geographical and urban-rural variation in the seasonality of suicide: some further evidenc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21(1);39-43. 

  16. K.H. Chung, H.C. Lee, S. Kao, H.C. Lin(2008), Urbanicity and methods of suicide: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Journal of Urban Health, Vol.85;136-145. 

  17. P.M. Marzuk, A.C. Leon, K. Tardiff, E.B. Morgan, M. Stajic, J.J. Mann(1992), The effect of access to lethal methods of injury on suicide rates, Archives General of Psychiatry, Vol.49;451-488. 

  18. J.J. Lin, T.H. Lu(2006), Association between the accessibility to lethal methods and methodspecific suicide rates: An ecological study in Taiwan,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Vol.67;1074-1079. 

  19. D. Gunnell, M. Eddleston, M.R. Phillips, F. Konradsen(2007), The global distribution of fatal pesticide self-poisoning: Systematic review, BMC Public Health, Vol.7;357. 

  20. Y.J. Pan, S.C. Liao, M.B. Lee(2010), Suicide by charcoal burning in Taiwan, 1995-2006,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Vol.120;254-257. 

  21. S.S. Chang, J.A. Sterne, B.W. Wheeler, T.H. Lu, J.J. Lin, D. Gunnell(2011), Geography of suicide in Taiwan: spatial patterning and socioeconomic correlates, Health & Place, Vol.17;641-650. 

  22. S.S. Han, S.W. Kang, S.H. Jeong(2012), Experiences of Depressive Symptom and Suicidal Thinking between the Elderly Living Alone and the Elderly Couple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6(3):29-38. 

  23. G.G. Park, Y.R. Che, B.R. Kim(2013), The Analysis of Risk Factors Influencing Adolescent Suicidal Ide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1);155-165. 

  24. J.K. Hirsch(2006), A review of the literature on rural suicide: risk and protective factors, incidence, and prevention, Crisis, Vol.27;189-1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