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약물중독 자살환자에서 사망군과 생존군의 비교
A Study on the Patients Who Attempted Suicide with Drug Intoxication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4, 2013년, pp.1863 - 1870  

한종수 (전남대학교병원) ,  윤성우 (전남대학교병원) ,  최성수 (전남대학교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한 환자 중 생존군과 사망군을 분류하여 대상자의 내원 시 상태와 내원후 치료결과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환자 발생시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과 자살예방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2009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최근 2년간 광주광역시 C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약물 중독으로 내원한 환자 중 비의도적인 사고 환자를 제외한 자살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약물중독 자살환자에서 연령이 높고, 교육수준이 낮으며, 독거인 경우사망률이 높았고, 농약을 음독한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았다. 자살원인이 경제적문제와 우울증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았고, 내원시 의식이 혼미, 반혼수/혼수인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았다. 약물중독 자살환자의 위험군을 파악하여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에 도움이되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약물교육과 더불어 정신적인 지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 시키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n the cases will be found, used as a basic data for clinical severity prediction, and research on suicide prevention. By classifying the group of survival and death about the patients who visit the Emergency Medical Center by attempt suicide by drug addiction, identi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응급의료센터에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한 환자 중 생존군과 사망군을 분류하여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음독자살시도 관련특성, 음독자살 장소, 시간 관련변인, 응급의료센터 내원시 상태와 내원 후 치료결과를 파악함으로써 음독자살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2009년 6월부터 2011년 5월까지 최근 2년간 광주광역시 C 대학병원 응급의료센터에 약물중독으로 내원한 환자 중 비의도적인 사고 환자를 제외한 자살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 반면 국내에서는 이러한 중독관리센터도 운영되고 있지 않고, 중독자살에 초점이 맞춰진 기초 자료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통계조차 제대로 확보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한 환자중 사망군과 생존군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사망군의 고위험 요소를 파악하여 자살예방과 사망률을 낮추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음독자살원인이 경제적 문제와 우울증인 경우에 사망률이 높았고, 내원시 혼미, 반혼수/혼수 의식상태일 경우 예후가 좋지 않았다. 이에 약물중독 자살 환자의 위험군을 파악하여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에 도움이 되고, 이들에 대한 적절한 약물교육과 더불어 정신적인 지지가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지시키고자 한다.
  • 이에 응급의료센터에 약물중독으로 자살을 시도한 환자를 대상으로 사망군과 생존군으로 분류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약물음독 관련특성을 분석하여 위험인자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환자 발생 시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과 자살예방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약물중독 자살에 관한 선행 연구가 부족하고, 응급의료센터 의무기록의 자료만을 이용할 수밖에 없다는 한계로 인해, 자살 목적으로 음독을 하였으나 사고로 인한 것이라고 숨기려는 환자 및 가족들이 있으므로 실제 음독 자살률을 추정하는 데 있어서 충분히 과소평가 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지역적인 특성상 군, 읍, 면 지역에 거주하고 65세 이상의 노인 환자가 많아 전체 연령으로 일반화 시키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약물중독 자살환자의 고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응급의료센터 내원 시 임상적인 중증도 예측과 자살예방에 도움이 되고자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살을 시도하는 방법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자살을 시도하는 방법은 매우 다양하지만 통계청에서 조사한 자살방법에 따르면 크게 약물에 의한 자의의 중독 및 노출, 목맴, 압박 및 질식에 의한 의도적 자해, 높은 곳에서 뛰어내림에 의한 의도적 자해, 나머지 수단에 의한 자해로 구분되는데, 특히 두드러지는 특징 중 하나는 약물로 인한 자살이 두 번째를 차지해 자살 방법 중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4].
약물중독원인에서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무엇인가? 약물중독은 중독의 원인 및 중독물질의 종류에 따라 임상증상이 매우 다양하고, 일부에서는 치명적이며, 치료 후에도 심각한 합병증을 초래하고, 보호자 및 환자에게 커다란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안김으로써 의학적으로나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6]. 약물중독원인으로는 대부분이 경제적, 사회적 압박으로 인한 자살목적으로 음독을 선택하고, 그 중에서도 제초제 및 유기인제 등의 농약중독으로 인한 사망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7]. 최근의 보고에 의하면 지난 2002년부터 5년간 매년 평균 3,417명이 농약중독으로 사망했고, 유형별로는 음독자살이 3,068명으로 약 90% 수준이나 되었다[8].
2010년 OECD 조사에 따른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률과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편이며, 특히 최근 10년간 자살 사망률 증가속도는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3]. 2010년 OECD 조사에 따르면 OECD 회원국의 평균 자살률은 표준인구 10만명당 11.3명인데 반해 한국은 31.2명으로 평균 자살자 수의 2배가 넘으며, 2위인 24.4명의 일본, 3위인 21.5명의 헝가리와도 큰 차이를 보였다. 우리나라 2010년 자살자 수는 총 255,403명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지난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이며[4], 자살자수가 증가하는 이유로는 최근 유명인들의 자살이 한국사회 전체에 많은 파장을 불러 일으켰고, 일반시민들의 자살률에 영향을 주는 ‘베르테르효과’라고 할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D. Y. Jeong,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 to Death Caused by suicide in Gangwondo",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Vol. - , No. 37, pp. 441-479, December, 2009. 

  2. J. H. Shin, E. H. Choe, "Individual Differences in Causes and Methods of a Suicide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 31, pp. 165-190, December, 2009. 

  3. K. B. Kang, "A Study on the Trend, the Factor, and the Prevention of Suicide in Life Stages -Centering around the young, the middle-aged, and the elderly's suicide-",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seo University, 2010. 

  4. Statistics Korea, 2011 Statistical yearbook for cause of death, 2011. 

  5. J. O. Kim, D. S. Lee, "A Study on the Rate of Suicide and the Countermeasures of Policing Activity",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 Vol. 36, pp. 59-89, September, 2009. 

  6. H. E. Persson, et al., "Poisoning Severity Score: Grading of Acute Poisoning", journal of toxicology clinical toxicology, Vol. 36, No. 3, pp. 205-213. 1998. 

  7. D. Gunnell, et al., "Medical Management of Deliverate Drug Overdose: A Neglected Area for Suicide Prevention", Emergency Medical Journal, Vol. 21, No. 1. pp. 35-38. January, 2004. DOI: http://dx.doi.org/10.1136/emj.2003.000935 

  8. M. H. Jeong, et al., "Examination of Pesticide Poisoning Deaths Statistics in Korea and Precautionary Measures Against Pesticide-Poisoning", The Korean Journal of Pesticide Science, Vol. 12, No. 2, pp. 134-140, 2008 

  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8 Injury Surveillance, 2008. 

  10. Statistics Korea, 2006 Statistical yearbook for cause of death, 2006. 

  11. E. Y. Jung, "The Exploration of suicidal Behavior Related Variabl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2007. 

  12. J. H. Kim, "A Study on the Analysis of Recent Suicide Status and Preventive Measures", Korean Association of Public Safety and Criminal Justice, Vol. - , No. 17, pp. 131-164, 2004. 

  13. A. C. Bronstein, et al., "2008 Annual Report o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Poison Control Center's National Poison Data System(NPDS): 26th Annual Report" Clinical Toxicology, Vol. 47, No. 10. pp. 1556-3650, 2009. DOI: http://dx.doi.org/10.3109/15563650903438566 

  14. S. Y. Kim, H. S. Song, K. D. Kim, K. K. Lee, "A Study of Parients with Suicidal Attempt", The Korean Society of Emergency Medicine, Vol. 10, No. 4, pp. 560-567, 1999. 

  15. C. Iribarren, et al., "Hospitalization for Suicide Attempt and Completed Suicide: Epidemiological Features in a Managed Care Population". Soc Psychiatry & Psychiatric Epidemiol, Vol. 35, No. 7, pp. 288-296, 2000. DOI: http://dx.doi.org/10.1007/s001270050241 

  16. A. Erlangsen, U. Bille-Brahe, B. Jeune, "Differences in suicide between the old and the oldest old",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Vol. 58, No. 5, pp. 314-322. 2003. 

  17. Statistics Korea, 2010 Statistical yearbook for cause of death, 2010. 

  18. S. C. Park,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Suicidal Ideation of El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005. 

  19. R. L. Marquet, et al., "The Epidemiology of Suicide and Attempted Suicide in Dutch General Practice 1983-2003" BMC family practice, Vol. 6, pp. 45-47, 2005. DOI: http://dx.doi.org/10.1186/1471-2296-6-45 

  20. O. S. Kim, S. H. Baik, "The Relationships among Loneliness, social Support, and Family Function in Elderly Kore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 33, No. 3, June, 2003. 

  21. S. K. Lee, "Analysis of Poisoning Cases in Emergency Medical Center",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