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본 연구는 감정상태와 음색특성의 관계를 확인하고, 추가로 cepstral 피쳐와 조합하여 감정인식을 진행하였다. Open quotient, harmonic-to-noise ratio, spectral tilt, spectral sharpness를 포함하는 특징들을 음색검출을 위해 적용하였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피치와 에너지를 기반한 운율피쳐를 적용하였다. ANOVA분석을 통해 각 특징벡터의 유효성을 살펴보고, sequential forward selection 방법을 적용하여 최종 감정인식 성능을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제안된 피쳐들으로부터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고, 특히 화남과 기쁨에 대하여 에러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음색관련 피쳐들이 cepstral 피쳐와 결합할 경우 역시 인식 성능이 향상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quality measurements and emotional states, in addition to conventional prosodic and cepstral features. Open quotient, harmonics-to-noise ratio, spectral tilt, spectral sharpness, and band energy were analyzed as voice quality features, and prosodic features related to fundamental frequency and energy are also examined. ANOVA tests and Sequential Forward Selection are used to evaluate significance and verify performance. Classification experiments show that using the proposed features increases overall accuracy, and in particular, errors between happy and angry decrease. Results also show that adding voice quality features to conventional cepstral features leads to increase in performa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This letter aims to expand upon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quality measurements and emotions. There are thre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The features used in previous studies are insufficient to classify the valence of emotions, though activation of emotion is easily classified.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the voice quality to overcome limitations of prosodic features.
This study presents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voice quality and emotions, and useful feature measurements. For voice quality features, open quotient, harmonics-to-noise ratio, spectral tilt, spectral sharpness, and band energy features are considered.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