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국의 제네릭 의약품 활성화 정책 고찰과 시사점
Lessons from Generic Promotion Policies in Other Countries 원문보기

Health policy and management = 보건행정학회지, v.23 no.3, 2013년, pp.210 - 223  

김동숙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실) ,  배승진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  장선미 (인제대학교 약학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s: Escalating pharmaceutical expenditure has threatened the sustainability of National Health Insurance system in Korea. Generic medicines allow patients to access safe, effective, high-quality medicines at low cost, thus insurers could achieve significant financial savings by promotion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보고서와 International Marketing Surveillance 보고서 등을 주요 자료로 활용하여 주요국의 제네릭 가격정책(약가결정, 사후 조정기전)과 제네릭 사용 권장정책을 고찰하였다[3,7-18]. 그리고 국내의 제네릭 가격결정 및 사후 조정기전, 사용 권장정책과 비교 검토함으로써 제네릭 의약품을 활성화하는 데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 따라서 이미 등재된 의약품을 대상으로 제네릭 간 경쟁 상황이 약가에 반영되는, 지속적인 약가조정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약가 관리제도 부분에서 개선해야 할 주요한 과제로 남아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미 인구고령화를 경험한 서구 주요국을 대상으로 등재된 의약품에 대한 사후 약가조정방안과 저가 제네릭 사용 권장정책을 고찰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이 때문에 오리지널 의약품과 제네릭 의약품의 약가 차이가 큰 국가일수록 공적 건강보장 영역에서 더 적극적으로 제네릭 사용을 장려하는 정책을 실시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제네릭 사용 장려정책은 오리지널과 제네릭 약가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먼저 제네릭 의약품의 가격정책(약가결정, 사후 조정기 전)을 고찰하고 제네릭 의약품 사용 권장정책에 대해 살펴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제네릭 의약품이란 무엇인가? 제네릭 의약품이란 오리지널 의약품과 성분, 함량, 제형은 물론 효능 · 효과, 용법 · 용량 등이 동일한 의약품으로, 신약과 동등함을 입증하여 허가된 의약품을 말한다[1]. 제네릭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이미 허가받은 신약의 유효성, 안전성을 검증하는 재심사기간(6년)이 끝난 후에 허가되며[1], 오리지널 의약품과 비교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자료나 비교임상시험자료를 제출해서 허가를 받으면 제네릭 의약품이 생산, 시판되게 된다[2].
제네릭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언제 허가되는가? 제네릭 의약품이란 오리지널 의약품과 성분, 함량, 제형은 물론 효능 · 효과, 용법 · 용량 등이 동일한 의약품으로, 신약과 동등함을 입증하여 허가된 의약품을 말한다[1]. 제네릭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이미 허가받은 신약의 유효성, 안전성을 검증하는 재심사기간(6년)이 끝난 후에 허가되며[1], 오리지널 의약품과 비교한 생물학적 동등성 시험자료나 비교임상시험자료를 제출해서 허가를 받으면 제네릭 의약품이 생산, 시판되게 된다[2]. 제네릭 의약품(generic drug)이란 명칭은 유럽과 미국 등에서 조제할 때 의약품의 오 · 투약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명(generic name)으로 주로 처방한 데서 유래한 것으로서 국내에서는 복제약, 일본에서는 후발의약품으로 불리기도 한다.
약제비를 줄인 의료기관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는 무엇인가? 이전에는 약제적정성 평가지표에 ‘고가약 처방률’이 포함되어 있어서 동료 의사와 자신의 고가약 선호 경향을 비교함으로써 의료기관 스스로 고가약 사용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했으나 동일 성분 동일가 재편정책 이후 2012년 4월부터는 고가약 처방률을 약제적정성평가지표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2010년 10월부터 의원 외래를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는 ‘처방요양급여비용 가산지급제도’도 제네릭 사용 권장정책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전년도와 비교해서 약제비를 줄인 의료기관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이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Center for Drug Evaluation and Research. Generic drugs [Internet]. San Clemente (CA): MedicineNet Inc. [cited 2013 Aug 19]. Available from: http//www.medterms.com. 

  2. Shin JY, Choi SE. The volume and the price of generic drug consumption in Korea prescription drug market.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08; 14(1):103-125. 

  3. Simoens S, de Coster S. Sustaining generic medicines markets in Europe.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6. 

  4. Kim DS, Byun JO, Kim SK, Lee BL, Jang SM, Park CS, et al. The review of prescribing pattern analysis: focused on prescribing indicator.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5. Mo H. Pricing policy revision. News Report. 2011 Aug 22. 

  6.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health data.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9. 

  7. European Generic Medicines Association. How to increase patient access to generic medicines in European healthcare systems. Brussels: European Generic Medicines Association; 2009. 

  8. IMS Health. Pharmaceutical pricing & reimbursement. Cambridge: IMS Health; 2008. 

  9.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policy in Germany.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8. 

  10.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policy in Sweden. Paris: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2007. 

  11.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Austria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2.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Belgium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3.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Denmark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4.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Finland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7. 

  15.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France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6.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Germany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7.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Italy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7. 

  18.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Project (PPRI): Norway pharma profile. Vienna: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Information; 2008. 

  19. Choi YJ, Choi SE. The review of pharmaceutical reimbursement policy.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20. Bae SJ, Lim JH, Bae EY. The review of pharmaceutical pricing policy: focused on re-evaluation of other countries.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9. 

  21. Dylst P, Vulto A, Simoens S. Reference pricing systems in Europe: characteristics and consequences. GaBI Journal [Internet]. 2012;1(3-4):127-131 [cited 2013 Aug 19]. Available from: http://gabi-journal.net/reference-pricing-systems-in-europe-characteristics-and-consequences.html. 

  22. Aaserud M, Dahlgren AT, Kosters JP, Oxman AD, Ramsay C. Pharmaceutical policies: effects of reference pricing, other pricing, and purchasing policies. Oxford: The Cochrane Library; 2009. 

  23. Vogler S. The impact of pharmaceutical pricing and reimbursement policies on generics uptake: implementation of policy options on generics in 29 European countries-an overview. GaBi J 2012;1(2):93-100. 

  24. Vogler S, Zimmermann N, Leopold C, de Joncheere K. Pharmaceutical policies in European countries in respons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South Med Rev 2011;4(2):69-79. 

  25. Schwermann T, Greiner W, v d Schulenburg JM. Using disease manage ment and market reforms to address the adverse economic effects of drug budgets and price and reimbursement regulations in Germany. Value Health 2003;6 Suppl 1:S20-S30. 

  26. Towse A. The efficient use of pharmaceuticals: does Europe have any lessons for a Medicare drug benefit? Health Aff (Millwood) 2003;22(3):42-45. 

  27. Lee SM, Jang SY, Jang SM. The review of pharmaceutical volume control policy.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10. 

  28. Austvoll-Dahlgren A, Aaserud M, Vist G, Ramsay C, Oxman AD, Sturm H, et al. Pharmaceutical policies: effects of cap and co-payment on rational drug use.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1):CD007017. 

  29. Penna P. Three-tier copay systems and consumer-centric care. J Manag Care Pharm 2000;6(5):351-353. 

  30.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Health insurance statistics. Seoul: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2001-2010. 

  31. Barros PP. Pharmaceutical policies in European countries. Adv Health Econ Health Serv Res 2010;22:3-27. 

  32. Godman B, Shrank W, Andersen M, Berg C, Bishop I, Burkhardt T, et al. Comparing policies to enhance prescribing efficiency in Europe through increasing generic utilization: changes seen and global implications. Expert Rev Pharmacoecon Outcomes Res 2010;10(6):707-722. 

  33. Vogler S, Zimmermann N. The potential of generics policies: more room for exploitation: PPRI conference report. GaBI Journal 2012;1(3-4):146-149. 

  34. Boston Consulting Group. Ensuring cost-effective access to innovative pharmaceutical: do market interventions work? Boston (MA): The Boston Consulting Group; 1999. 

  35. Kim SK, Kwon SM, Jung Y, Heo JH. International comparison of generic medicine price. Korean J Health Econ Policy 2010;16(3):41-6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