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산업재해판정자에 대한 현황 분석
The Trends and Statu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under Korean Worker's Compensation System 원문보기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22 no.2, 2013년, pp.102 - 111  

김경하 (근로복지공단 산재보험연구센터) ,  황라일 (수원여자대학교 간호과) ,  석민현 (차의과학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MSD) and the factors for approving MSD by the parts of the body. Methods: The analysis was done using the data which were drawn from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that is ope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산업재해자 전수를 대상으로 산업재해 발생 추이와 신체 부위별 산재 승인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5%를 차지하고 있어(Pyo, 2011), 이에 대한 효율적 관리방안의 모색이 절실하다. 본 연구는 근골격계질환의 산재 현황과 신체부위별 근골격격계질환 승인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의 예방책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의 산재 추이 및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승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근골격계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 보험 요양급여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산재 발생 추이와 신체 부위별 산재 승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의 산재 추이 및 신체 부위별 근골격계질환 승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근골격계질환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근로복지공단의 산업재해 보험 요양급여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수행되었다.
  • 􀁹 신체 부위별 업무상 근골격계질환 승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발생 양상은 어떻게 되는가?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발생 양상은 1960년대 경제개발 이후 산업의 고도화, 생산설비의 자동화 및 대형화 등으로 인해서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골격계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목, 어깨, 허리, 상하지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산업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OEL], 2012).
업무상 근골격계 질환자의 수는 어떻게 되는가? 특히, 근골격계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목, 어깨, 허리, 상하지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산업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OEL], 2012).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 요양신청은 2006년 4,130건에서 2009년 5,497건으로 33.1% 증가하였고, 업무상 질병으로 판정받은 근골격계질환자 수(단, 순수 사고성 요통 제외)도 2006년 전체 업무상 질병 10,235건 중 26.6%인 2,721건에서 2009년 전체 업무상 질병 8,721건 중 33.4%인 2,915건으로 점차 증가하고 있다(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2011). 미국 노동부 산하 노동통계청 에서도 업무상 근골격계 질환자의 수와 그로 인한 의료비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산업재해 중 근골격계질환이 차지하는 비중이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고 보고한 바 있다(Halpern, 2007).
근골격계질환은 어디에 나타나는 질환인가? 우리나라의 산업재해 발생 양상은 1960년대 경제개발 이후 산업의 고도화, 생산설비의 자동화 및 대형화 등으로 인해서 다양화되는 추세에 있다. 특히, 근골격계질환은 반복적인 동작, 부적절한 자세, 무리한 힘의 사용, 날카로운 면과의 신체접촉, 진동 및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해서 목, 어깨, 허리, 상하지의 신경, 근육 및 그 주변 신체조직 등에 나타나는 질환으로, 산업발달과 더불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MOEL], 2012). 업무상 근골격계질환으로 인한 산업재해 요양신청은 2006년 4,130건에서 2009년 5,497건으로 3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hoi, J. W., Yum, Y. T., Song, D. B., Park, J. T., Jang, S. H., & Choi, J. A. (1996). Musculoskeletal diseases of upper extremities among the electronic assembly workers and telecommunication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Medicine, 8 (2), 301-319. 

  2. Cimmino, M. A., Ferrone, C., & Cutolo, M. (2011). Epidemiology of chronic musculoskeletal pain. Best Practice & Research Clinical Rheumatology, 25(2), 173-83. 

  3. Costa, B. R., & Vieira, E. R.. (2010). Risk factors for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 systematic review of recent longitudinal studies. American Journal of Industrial Medicine, 53 (3), 85-323. 

  4. Halpern, M. (2007). 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Rom WN, Markowitz SB, (Eds). Environmental and occupational medicine. 4th ed.: Chapter 57. Ergonomics and occupational biomechanics.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 Jun, H. K., Kim, G. S., & Kim, D. S. (2012). Care characteristic and related factor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s.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5, 421-427. 

  6. Jung, B. Y. (2010). Ergonomics'. role for preventing musculoskeletal disorde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9 (4), 393-404. 

  7. Kim, B. K., Park, C. Y., Yim, B. K., Koo, J. W., & Lee, K. S. (2005). Selection of a high risk group and the effectiveness of an exercise program on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 and medium sized enterprises. The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17 (1), 10-15. 

  8. Kim, C. H., Lee, M. H., & Moon, M. K. (2009).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various occupations and industry-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Proceedings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11, 20-27. 

  9. Kim, H. H., Park, H. J., Kim, W., Yoo, C. Y., Kim, J. H., & Park, J. S. (2009). An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risk factors.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8 (3), 17-25. 

  10. Kim, K. S., Hong, C. W., Lee, D. K., & Jeong, B. Y. (2009). Factors affecting musculoskeletal symptoms of manufacturing worke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19 (4), 390-402. 

  11. Kim, E. S. (2010). An ergonomic evaluation of workload in imbalanced lower limbs postur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Busan. 

  12. Lee, E. N. (2005). Insurance cost estimation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using workers' compensation insurance data.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3. Korea Occupational Safety & Health Agency. (2008, November, 3).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and injury prevention system in America. Retrieved November 13, 2012, from http://www.kosha.or.kr/board?tcRetrieveBoardViewCmd&boardTypeA&contentId175260&pageNum&tabId&urlCodeT1|Y|1573|6|6|71|1553|1573|/board 

  14. Korea workers' compensation & welfare. (2011). Status of industrial accident in Korea. Korea. Unpublished raw data. 

  15. Ministry of Employment & Labor. (2012). Rules on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standards. 

  16. Oh, Y. S. (2008). A study on improvement and investigation of MSD for Construction work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 Technology, Seoul. 

  17. Park, S. G., Chae, H. J., Shin, J. Y., Jung, D. Y., Kim, Y. K., Jung, T. J., et al. (2006). Relationship of burdened work and musculoskeletal symptoms in small-to-medium-sized enterpri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ine, 18 (1), 59-66. 

  18. Park, K. H., & Jung, B. Y. (2009). Characteristics and cause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for employees aged 50 years or older.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 of Korea, 28 (4), 139-145. 

  19. Pyo, Y. J. (2011). Low back pain in workplace - Prevention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this(2011, April, 24). Newis 

  20. Seo, G. S. (2010). A study on the approval criteria of occupational accident against musculo-skeletal disord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Vieira, E. R., Albuquerque-Oliveira, P. R., & Barbosa-Branco, A. (2011). Work disability benefits due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Brazilian private sector workers. BMJ Open, 14(1), e000003. 

  22. Yim, S. H., Lee, S. J., Kwon, Y. J., Kim, Y. G., Lee, Y. G., & Yoon, G. W. (2008). Study on the degree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body burden of work. Seoul: Wonjin Institute for Occupational&Environmental Health.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