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자 홀로그래피 및 초 다시점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Supermultiview and Electro-Holographic 3-D Imaging Display 원문보기

한국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v.24 no.5, 2013년, pp.237 - 244  

손정영 (건양대학교 의공학과) ,  이형 (연세대학교 전기전자공학과) ,  성창경 (건양대학교 의공학과) ,  김정 (건양대학교 의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 다시점 및 전자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는 향후 기대가 되는 연속시차를 주는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나, 아직 가용한 디스플레이의 부재로 초기 개발 단계에 있다. 초 다시점의 구현은 다시점 영상의 수 보다는 화소셀/요소 영상내의 화소 수와 화소 사이즈에 의존하며, 전자 홀로그래피도 전체 패널내의 화소 수와 화소 사이즈에 의존하므로 이들의 구현을 위한 요구 사항에는 차이가 없다. 그러나 구현 영상자체는 전자 홀로그래피의 경우는 공간 부양 영상이므로 초 다시점의 패널을 앞뒤로 한 깊이감의 표시보다 시각적인 효과가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permultiview and electro-holographic displays are promising displays for the future because they provide continuous parallaxes as their depth cue. But they are still in the early development stage due to the lack of supporting technologies. Achieving the continuous parallax in the supermultiview 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3차원 영상기술 발전 흐름의 분석을 통하여, 향후 초 다시점 및 전자 홀로그래피의 전망을 기술했다.
  • 이미 언급한 것과 같이 초 다시점 영상에 의한 표시영상보다는 시각적인 효과가 훨씬 뛰어난 공간 부양영상을 홀로그램에 의해 표시 가능하므로, 홀로그램을 표시화면에 표시하는 전자적인 표시장치의 하나인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를 구현하자는 것이다. 홀로그램의 전자적인 표시를 위해서는 이차원 간섭무늬로 주어지는 홀로그램에 포함된 대량의 데이터 양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매질이 필요하다.

가설 설정

  • 이들 방식의 구현을 위해서는 우선 화소 사이즈가 줄어들고, 단위 길이당 화소 수는 증대되는 고 밀도 패널의 개발이 필요하다. 두 방식 공히 요구하는 화소의 집적도는 유사하리라 예상되나, 전자 홀로그래피의 구현 영상의 시역각은 초 다시점에 비해 더 적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시점 영상에 LCD를 이용하여 생기는 문제점 중 다시점 영상의 상용화를 지연시키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아직LCD는 고 화질의 다시점 영상을 표시하기에는 그 해상도가 부족하다. 이에 더하여 이들 판의 사용은 표시패널과의 중첩에 의한 모아레(Moire)의 생성을 야기시키는 것은 물론 영상의 밝기 저하, 이들 판의 구조 투영 등 여러 가지의 화질 저하 요인을 발생시켜, 이것이 다시점 영상의 상용화를 지연시키는 가장 큰 이유이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시역형성용 광학판을 사용하지 않는 새로운 다시점 3차원 영상방식으로 점 광원배열(Point Light Source Array)을 LCD 백라이트(Back Light) 대신에 사용한 점 광원 기반 3차원 영상방식이 개발되었으나[11], 이 방식은 이상적인 점 광원에 근접하는 점 광원배열의 부재로 또한 개발이 지연되고 있다.
다시점 영상이란? 그리고 20세기 초에 개발된 시차장벽판(Parallax Barrier)과 렌티큘라(Lenticular)는 안경을 대신하여 표시장치의 전면공간에 시역(Viewing Zone)을 형성시켜 주는 시역형성용 광학판(Viewing Zone Forming Optics)으로 무안경식 입체영상 및 다시점 영상기술을 탄생시켰다. 다시점 영상은 좌우 눈에 대응하는 두 개의 영상, 즉 입체영상 쌍(Pair)만 표시하여 양안시차(Binocular Parallax)만 발생시키는 입체영상과 달리 표시 영상의 수를 두 개 이상으로 늘림에 의해 운동시차(Motion Parallax)도 동시에 주는 방식이다. 이렇게 함에 의해 입체영상에서 주어지는 시청자의 시청위치 이동에 따른 인식영상에 있어 왜곡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IP는 어떤 기술들의 모태가 되었는가? 1990년 이후에는 시차장벽(Parallax Barrier)판과 렌티큘라(Lenticular)판은 물론 홀로그래픽 2차원 회절격자 배열판(Holographic 2 dimensional Diffraction Grating Array), 홀로그래픽 스크린(Holographic Screen) 등의 새로운 시역형성용 광학판이 소개되어 이들을 이용한 또 다른 다시점 영상기술인 다시점 영상(MV: Multiview Imaging)이란 이름의 3차원 영상기술이 개발되어 집적영상과 더불어 현재 초 다시점 영상으로 개발이 진행 중이다. IP는 지금까지 개발된 모든 다시점 영상기술, 즉 MV, FLA, 다중 영상(Multiple Image) 그리고 제브라(Zebra) 홀로그램의 모태가 되며, 이들 다시점 영상 기술과 관련한 광학적인 구조가 평행 또는 방사형이라는 차이는 있으나, IP의 그것과 동일하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undamental of 3-D Imaging Techniques (Japanese Edition), T. Izumi (Supervisor), (NHK Science and Technology Lab., Ohmsa, Tokyo, Japan, 1995). 

  2. J.-Y. Son, V. I. Bobrinev, and K.-T. Kim, "Depth resolution and displayable depth of a scene in 3 dimensional images," J. Opt. Soc. Am. A 22, 1739-1745 (2005). 

  3. J.-Y. Son, O. Chernyshov, C.-H. Lee, and S. Yano, "Depth resolution in 3-D images," JOSA A 30, 1030-1038 (2013). 

  4. J.-Y. Son, B. Javidi, S. Yano, and K.-H. Choi, "Recent developments in 3-d imaging technologies," IEEE/OSA 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V6, 394-403 (2010). 

  5. J.-Y. Son, Principle and Application of Holography (Bong-myung Publishing Company, Seoul, Korea, 2004). 

  6. J. Y. Son and B. Javidi, "3-dimensional imaging systems based on multiview images," IEEE/OSA J. of Display Technology V1, 125-140 (2005). 

  7. J.-Y. Son, B. Javidi, and K.-D. Kwack, "Methods for displaying 3 dimensional images," Proc. IEEE, Special Issue on: 3-D Technologies for Imaging & Display 94, 502-523 (2006). 

  8. E. Parker and P. R. Wallis, "Three-dimensional cathod-ray tube displays," J. of IEE 95, Part III, 371-390 (1948). 

  9. J.-Y. Son, W.-H. Son, S.-K. Kim, K.-H. Lee, and B. Javidi, "3-D imaging for creating real world like environments," Proc. IEEE 101, 190-205 (2013) 

  10. J. Harrold, D. J. Wilkes, and G. J. Woodgate, "Switchable 2D/3D display-solid phase liquid crystal microlens array," in Proc. IDW'04, the 11 th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Japan, 2004), pp. 1495-1496. 

  11. J. D. Lewis, C. M. Verber, and R. B. McGhee, "A true three-dimensional display,"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 ED-18, 724-732 (1971). 

  12. J. S. Kollin, S. A. Benton, and M. I. Jepsen, "Real-time display of 3-D computed hologram by scanning the image of acousto-optic modulator," Proc. SPIE 1136 (G. M. Morris ed.), 1136-60 (1989). 

  13. N. Peyghambarian, S. Tay, P.-A. Blanche, R. Norwood, and M. Yamamoto, "Rewritable holographic 3D display," Optics and Photonics News 19 (7/8), July/August (2008). 

  14. Zebra Imaging Inc., M. A. Klug, C. Newawanger, Q. Huang, and M.e. Holzbach, "Active digital hologram displays," U.S. Patent 7,227,674, June (2007). 

  15. Y. Kajiki, H. Yoshikawa, and T. Honda, "Ocular accommodation by super multi-view stereogram and 45-view stereoscopic display," in Proc. IDW'96, the 11 th International Display Workshops (1996), pp. 489-492. 

  16. B.-R. Lee and J.-Y. Son, "Characteristics of composite images in MV and IP," Appl. Opt. 51, 5236-5243 (2012). 

  17. W.-H. Son, J. Kim, J.-Y. Son, B.-R. Lee, and M.-C. Park, "The basic image cell in contact-type multiview 3-D imaging systems," will be published in October issue of Optical Engineering. 

  18. B. Javidi and F. Okano eds, Three-Dimensional Television, Video, and Display Technology (Springer, New York, USA, 2002). 

  19. P. St.-Hilaire, M. Lucente, J. D. Sutter, R. Pappu. C. D. Sparrell, and S. A. Benton, "Scaling up the MIT holographic video system," Proc. SPIE 2333, 374-380 (1994). 

  20. J. Y. Son, S. Shestak, S. K. Kim, and V. Epikhan, "A multichannel AOM for real time electroholography," Appl. Opt. 38, 3101-3104 (1999). 

  21. D. E. Smalley, Q. Y. J. Smithwick, V. M. Bove Jr, J. Barabas, and S. Jolly, "Anistropic leaky-mode modulator for holographic video displays," Nature 498, 313-317 (2013). 

  22. J.-Y. Son, H. Lee, M.-C. Park, and B.-R. Lee, "Perspective of holographic display based on display chips," Korea Society Broadcast Engineers Magazine 18, 27-39 (2013). 

  23. T. Senoh, T. Mishina, K. Yamamoto, O. Ryutaro, and T. Kurita, "Viewing-zone-angle-expanded color electronic holography system using ultra-high-definition liquid-crystal displays with undesirable light elimination," Journal of Display Technology V7, 382-390 (2011). 

  24. J.-Y. Son, B.-R. Lee, O. O. Chernyshov, K.-A. Moon, and H. Lee, "Holographic display based on a spatial DMD array," Opt. Lett. 38, 3173-3176 (2013). 

  25. K. Yamamoto, Y. Ichihashi, T. Senoh, R. Oi, and T. Kurita, "3D objects enlargement technique using an optical system and multiple SLMs for electronic holography," Opt. Express 20, 21137-21144 (2012). 

  26. J.-Y. Son, C.-H. Lee, O. Chernyshov, and B.-R. Lee, "A floating type holographic display," Opt. Express 21, 20441-2045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