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영재의 인지특성 및 성격변인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Cognitive Ability and Personality as Predictors of Academic Performance: Science Gifted Student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3 no.4, 2013년, pp.523 - 535  

이영주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채유정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영재의 학업성취도와 인지적 특성, 성격적 특성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인지적 성격적 변인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학생 125명의 학업성적, 학습능력검사(인지능력 변인)와 성격검사(NEO 성격변인)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와 인지 및 성격요인들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는 집중력, 실행력, 학습동기와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서는 성취도가 '상'인 그룹의 영재들은 성실성(r=.439, p<.01)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중'인 그룹의 영재들은 실행력(r=.380, p<.01)과 학습동기(r=.376, p<.01)가 높을수록, 그리고 외향성(r=-.248, p<.01)이 낮을수록 학업성취가 높았다. 그리고 학업성취도가 '하'인 그룹에서는 집중력(r=.367, p<.01)이 낮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영재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는 인지능력의 실행력과 성격요인의 외향성이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서는 학업성취도가 '상'인 그룹의 경우 성실성, '중'인 그룹은 실행력과 학습동기, 그리고 '하'인 그룹은 집중력이 학업성취도를 예측하는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academic achievements among gifted students' intellectu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s, 125 science gifted students' learning ability test and NEO personality test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l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과학영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영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개인의 타고난 인지능력도 중요하지만, 인지적 능력과 더불어 학습적 특성, 성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계발시켜 주어야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일 수 있다고 한다(Bloom, 1985; Ziegler & Heller,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특성 및 성격적 특성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학생을 대상으로 과학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과학영재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과학영재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에서의 학업성취도, 인지적 특성변인으로서 학습능력검사, 성격변인으로 NEO 청소년 성격검사 결과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에는 무엇이 있는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요인으로는 인지능력, 건강, 스트레스 수준, 완벽성, 낙관성, 자아존중감 등과 같은 신체적, 정서적 요소들이 있다(Bradley & Corwyn, 2002; 하종덕, 송경애, 2004). 인지능력은 학업성취를 가장 잘 예측하는 변인으로, 국내에서 1980~1988년 사이에 출판된 학업성취관련 석 · 박사학위 논문 163편을 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학업성취와 관련된 다양한 변인(가정, 학습풍토, 교사, 지능, 창의력, 인지양식, 자아개념, 불안, 학습 습관, 성취동기, 인성) 중 지능이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구병두, 1989; 박아청, 1992에서 재인용).
영재 청소년들에게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이게 하려면 어떤 능력을 계발시켜야 하는가? 어떤 학생들은 뛰어난 성취를 보이기도 하지만 어떤 학생들은 타고난 능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고 평균이하의 성취에 머무르는 경우도 있다. 영재를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들에 의하면 개인의 타고난 인지능력도 중요하지만, 인지적 능력과 더불어 학습적 특성, 성격적 요인 등이 상호작용하여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을 계발시켜 주어야 우수한 학업 성취를 보일 수 있다고 한다(Bloom, 1985; Ziegler & Heller, 200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과학영재의 인지적 특성과 성격적 특성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라 과학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인지적 특성 및 성격적 특성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청소년기는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기는 신체적 · 정서적 · 사회적인 측면에서 급격하고 동시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시기로 이 시기의 학업성취는 중요한 발달과업 중의 하나이다. 특히, 과학영재학교 학생들의 경우 대부분의 학생들이 우수한 지능과 타고난 재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더 치열한 경쟁과 더 우수한 성취를 요구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김현주, 이병훈 (2007). 자녀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가족배경, 사회자본 및 문화자본의 영향. 한국인구학, 30(1), 125-148. 

  2. 김경식 (2006). 교사기대 형성과 변화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중등교육연구, 54(2), 99-121. 

  3. 김아영, 조영미 (2001). 학업성취도에 대한 지능과 동기변인들의 상대적 예측력. 교육심리연구, 15(4), 121-138. 

  4. 민병모 (1998). Big 5 모델을 중심으로 본 기업조직 고수행 관리자들의 성격 특성 연구. 한국산업 및 조직심리학회 추계학술대회발표집. 19-28. 

  5. 박병관 (2000). 학습능력검사. 서울: ASSESTA. 

  6. 박아청 (1992). 현대의 교육심리학. 서울: 학문사. 

  7. 신종호, 신태섭 (2006). 고등학생의 학업성취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지각된 교사기대, 가정 환경요인 간의 관계 연구. 아동교육, 15(1), 5-23. 

  8. 안현의, 김동일, 안창규 (2005). 청소년용 NEO 성격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9. 유태용 (1998). 성격의 5요인과 학업수행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98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263-276. 

  10. 유태용, 민병모 (2001). 다양한 장면에서 수행을 예측하기 위한 5요인 성격모델의 사용가능성과 한계: 국내 연구결과의 통합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4(2), 115-134. 

  11. 유태용, 이동형 (1997). 다양한 직군에서의 성격의 5요인과 직무수행간의 관계. 기업경영연구, 5, 69-94. 

  12. 이숙정 (2006). 중고생의 교사신뢰와 자아존중감, 학습동기, 학업성취 및 학급 풍토간의 관계모형 검증. 교육심리연구, 20(1), 197-218. 

  13. 조석희, 안도희, 한석실 (2004). 영재의 후기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아동기 특성 및 환경요인. 교육심리연구, 18(2), 123-141. 

  14. 하종덕, 송경애 (2004). 과학영재의 스트레스, 완벽성, 낙관성과 학업성취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영재교육연구, 14(1), 47-64. 

  15. Ackerman, P. L., & Lohmna, D. F. (2003). Education and g. In H. Nyborg (Ed.), The scientific study of general intelligence: Tribute to Arthur R. Jensen (pp. 275-292). N.Y.: Pergamon. 

  16. Andersson, E. A., & Keith, T. Z. (1997). A longitudinal test of a model of academic success for at-risk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0(5). 259-268. 

  17. Atkinson, J. W., & Feather, N. T. (1964). A theory of achievement motivation. New York: Wiley. 

  18. Barrick, M. R., & Mount, M. K. (1991). The big f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job performance: A meta-analysis. Personnel Psychology, 44, 1-26. 

  19. Binet, A. (1903). Experimental study of intelligence. Paris: Schleicher. 

  20.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Y.: McGraw-Hill. 

  21. Boekaerts, M. (1996). Personality and the psychology of learning.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0, 377-404. 

  22. Boekaerts, M., & Simons, R. J. (1995). Learning and instruction. Psychology of the pupil and the learning process. Assen: Van Gorcum. 

  23. Bradley, R. H., & Corwyn, R. F. (2002). Socioeconomic status and child developmen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3, 371-399. 

  24. Busato, V. V., Prins, F. J., Elshout, J. J., & Hamaker, C. (2000). Intellectual ability, learning styles, personality,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success of psychology students in higher education.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9, 1057-1068. 

  25. Chamorro-Premuzic, T., & Furnham, A. (2003). Personality traits and academic examination performanc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7, 237-250. 

  26. Costa, P. T. Jr., & McCrae, R. R. (1992).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Professional Manual. Florida: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27. Deci, E. L., & Ryan, R. M. (1985). Intrinsic motivation and self-determination in human behavior. N.Y.: Plenum. 

  28. De Raad, B., & Schouwenburg, H. C. (1996). Personality in learning and education: A review.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10, 303-336. 

  29. Digman, J. M., & Takemoto-Chock, N. K. (1981). Factors in the natural language of personality: Re-analysis, comparison, and interpretation of six major studies.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16, 149-170. 

  30. Eamon, M. K. (2002). Effects of poverty on mathematics and reading achievement of young adolescents. Journal of early adolescent, 22(1), 49-74. 

  31. Eysenck, H. J. (1970). The structure of human personality(3rd ed.). London: Methuen. 

  32. Guo, G., & Harris, K. M. (2000). The mechanisms mediating the effects of poverty on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Demography, 37(4), 431-447. 

  33. Harris, D. (1940). Factors affecting college grad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1930-1937. Psychological Bulletin, 37, 125-166. 

  34. Hogan, R., Hogan, J., & Roberts, B. W. (1996). Personality measurement and employment decision. American Psychologist, 51, 469-477. 

  35. Lounsbury, J. W., Sundstrom, E., Loveland, J. M., & Gibson, L. W. (2003). Intelligenc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work drive as predictors of course gra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231-1239. 

  36. Salgado, J. F. (1997). The five factor model of personality and job performance in the European communit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2, 30-43. 

  37. Sternberg, R. J., Grigorenko, E. L., & Bundy, D. A. (2001). The predictive value of IQ. Merrill-Palmer Quarterly, 47, 1-41. 

  38. Sternberg, R. J., & Kaufman, J. C. (1998). Human abilities,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479-502. 

  39. Yeung, W. J., Linver, M. R., & Brooks-Guun, J. (2002). How money matters for young children's development: Parental investment and family processes. Child Development, 73(6), 1861-187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