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관리 제도의 의의와 향후 과제
Significance and Future Direction for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s 원문보기

Journal of forest science, v.29 no.3, 2013년, pp.237 - 248  

김석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전근우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김경남 (강원발전연구원) ,  김민식 ((특)사방협회) ,  김민석 (산림조합중앙회 엔지니어링사업본부) ,  이상호 ((특)사방협회) ,  서정일 (강원대학교 산림자원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legal basis for the systematic prevention and response to landslide hazards, and the rehabilitation of landslide-hit areas, was established through the amendment of the Forest Protection Act in August 2012. The most noticeable amendment to the Act is the inclusion of clauses associated with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개정된 산림보호법의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ㆍ관리 제도를 소개하고, 국내의 토사재해 관련 제도 추진현황과의 비교ㆍ분석 및 사방행정에 있어서 구조물 대책 추진의 한계성을 검토하여 그 중요성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또한,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및 지정ㆍ관리지침(Korea Forest Service 2012a)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현행 추진체계의 개선점에 대하여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이 논문에서는 개정된 산림보호법의 산사태 취약지역 지정ㆍ관리 제도를 소개하고, 국내의 토사재해 관련 제도 추진현황과의 비교ㆍ분석 및 사방행정에 있어서 구조물 대책 추진의 한계성을 검토하여 그 중요성과 의의를 고찰하였다. 또한, 산사태취약지역 실태조사 및 지정ㆍ관리지침(Korea Forest Service 2012a)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현행 추진체계의 개선점에 대하여 검토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시 우면산과 강원도 춘천시 마적산에서 발생한 피해가 사회적으로 큰 충격이었던 이유는? 2011년 7월 26일-27일의 이틀에 걸쳐 중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서울을 비롯한 경기 북부, 강원도 춘천 등지에서 산사태와 토석류로 인한 대규모의 인명ㆍ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서울시 우면산과 강원도 춘천시 마적산 일대에서 각각 사망 18명ㆍ부상 21명 및 사망 13명ㆍ부상 26명의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는데, 그 동안 “마을 뒷산”으로만 여겨져 왔던 도심 또는 주변 산지에서의 대규모 인명 피해였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안겨 주었다.
서울시 우면산과 강원도 춘천시 마적산 일대 관리의 실태는? 도시ㆍ생활권 지역에서는 토지이용의 극대화를 위한 산지의 개발과정에서 주택 및 사회기반시설 등이 산록부에 입지하게 되면서 토사재해의 근원지인 산지유역에 인접하게 되므로 피해 감수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서울시 우면산은 인구가 밀집한 서초구 일대에 위치하여 산복부까지 주택이 입지하고 있었고, 강원도 춘천시 마적산의 경우에도 산록부에 주택, 펜션 등의 건축시설이 입지하고 있었지만, 이들 지역 모두 산사태 위험등급 1-2등급지가 분포하였음에도 최소한의 예방사방시설은 전무하고, 아울러 제도적 장치에 의해 도심지 내의 산사태 위험지로서 적절히 관리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2011년 7월 26일-27일의 이틀에 걸쳐 중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어떤 피해가 발생했는가? 2011년 7월 26일-27일의 이틀에 걸쳐 중부지방을 강타한 집중호우의 영향으로 서울을 비롯한 경기 북부, 강원도 춘천 등지에서 산사태와 토석류로 인한 대규모의 인명ㆍ재산피해가 발생하였다. 특히 서울시 우면산과 강원도 춘천시 마적산 일대에서 각각 사망 18명ㆍ부상 21명 및 사망 13명ㆍ부상 26명의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는데, 그 동안 “마을 뒷산”으로만 여겨져 왔던 도심 또는 주변 산지에서의 대규모 인명 피해였다는 점에서 사회적으로 큰 충격을 안겨 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hoi K. 1986. Landslides occurrence and its prediction in Korea. PhD dissertation. Kangwon National University, Korea. 

  2. Japan Sabo Association. 2012. Sabo in Japan: Facing the challenge of national land conserve, pp 35. 

  3. Jin SB. 2009.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in domestic steep slope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Technology, Korea. 

  4. Kim JY. 2009. A study on the policy and situation of sediment check dams: case of Gangwon Province, Korea. J Korean Geomorph Assoc 16: 131-144. 

  5. Kim KN. 2011. A basic studyon the development of the guidelines on setting debris flow hazards. Research report of Research Institue for Gangwon 11-34, pp 170. 

  6. Kim SW, Chun KW, Kim JH, Kim MS, Kim MS. 2012. Characteristics of heavy rainfall for landslide-triggering in 2011. J Korean For Soc 101: 28-35. 

  7. Kim WY, Chae BG. 2009. Characteristics of rainfall, geology and failure geometry of the landslide areas on natural terrains, Korea. Korean J Eng Geol 19: 331-344. 

  8. Korea Forest Service. 2004. A study on the causes of landslides and its preventive measures. R&D report of Korea Forest Service, pp 563. 

  9. Korea Forest Service. 2008. Provisions for feasibility evaluation of erosion control works. Notice of Korea Forest Service No. 2008-37. 

  10. Korea Forest Service. 2012a. Guidelines for field survey, designation and management of landslide-prone zone, pp 34. 

  11. Korea Forest Service. 2012b. The statistical yearbook of forestry, pp 488. 

  12. Korea Forest Service. 2013a. Introduction of landslide information system. http://sansatai.forest.go.kr. Accessed 21 Mar 2013. 

  13. Korea Forest Service. 2013b. Landslide-prone zone. http://sansatai.forest.go.kr. Accessed 21 Mar 2013. 

  14. Korea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2012. Summary plan on promotion project of ubiquitous-based public service (project name: demonstration construction of u-IT-based integ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teep slopes), pp 58. 

  15.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2. Statistical yearbook of MLTM 2012 vol. 1, pp 541. 

  16. Korean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3. The damage reduction strategy for the types of landslide and debris flow. Land transport and maritime R&D Report, pp 263. 

  17. Lee MS. 2012. Current status of landslide prevention countermeasures. Proceedings of the 35th annual meeting on landslide prevention, pp 5-18. 

  18. Lee YN. 1991. Geotechnical engineering and natural disasters (II): landslid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Geotechnical Engineers 7: 105-113. 

  19. Shin SB. 2012. Government auditing materials on Korea Forest Service and National Forestry Cooperative Federation, pp 23. 

  20. Statistics Korea. 2013. Population density. http://www.kosis.kr. Accessed 21 Mar 2013. 

  21. Yoo JY, Kim TW, Choi HI. 2012a. Evaluating impact of disaster pattern change on disaster risk sector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p 376-380. 

  22. Yoo NJ, Yoon DH, Um JK, Kim DG, Park BS. 2012b. Analysis of rainfall characteristics and landslides at the west side area of Gangwon Province. J Korean Geo-Environ Soc 13: 75-82. 

  23. Yu HM. 2012. Landslide prevention countermeasures in Seoul. Proceedings of the 35th annual meeting on landslide prevention, pp 37-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