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론강의 경화능과 인장 특성에 미치는C, Mo, Cr의 영향
Effects of C, Mo and Cr on Harden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ron-Bearing Steels 원문보기

열처리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heat treatment, v.26 no.5, 2013년, pp.241 - 247  

임현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정우연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황병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ardena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boron-bearing steels containing C, Mo and C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Using quench dilatometer, the steel specimens were cooled down to room temperature at different cooling rates to construct continuous cooling transformation diagrams and then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탄소강의 경화능과 기계적 특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C, Mo, Cr을 단독으로 또는 복합적으로 첨가한 보론강 시편을 제조한 후 냉각 속도에 따른 미세조직과 변태 온도의 변화로부터 경화능을 평가하고, 보론강의 경화능에 미치는 합금원소의 영향을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미니 시험법의 장단점은? 강의 경화능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조미니 시험법(Jominy test)으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서 열처리한 조미니 바를 시험 장치에 장착하고 아래 면에서 물을 분사시켜 시편을 냉각시킨 후 조미니 바의 경도를 측정하여 경화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조미니 시험법은 시험 방법이 간단하고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재현성이 부족하여 정량적인 경화능을 측정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또한 Grossman의 연구 결과[14]에 근거하여 강재의 화학 조성으로부터 경화능을 계산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지만, 오스테나이트화 온도 및 냉각 계수의 영향을 객관적으로 고려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화능의 실제적인 정량화에는 한계가 있다.
보론의 경화능 향상 효과가 발생하는 이유는? 보론(B)은 C, Mo, Cr 등의 다른 원소와 달리 수십 ppm 이하의 미량 첨가를 통해서도 오스테나이트에서 페라이트로의 확산 변태를 지연시켜 강의 경화능(hardenability)을 크게 향상시킨다. 이러한 B의 경화능 향상 효과는 오스테나이트 결정립계에 편석된 B 원자들이 결정립계 에너지를 낮추어 초석 페라이트의 생성을 억제시키기 때문으로 알려져 있다[1-5]. 그러나 B은 강 중 고용도가 낮기 때문에 열처리 조건에 따라 결정립계에서 석출물을 쉽게 형성하여 경화능 향상 효과가 저하되기도 하며, 다른 합금원소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경화능이 더욱 증가되기도 한다[4-12].
조미니 시험법이란? ASTM A255 표준 시험법[13]에 따르면 강의 경화능은 오스테나이트 온도로부터 급랭에 의하여 경화 될 수 있는 깊이의 척도로 규정되어 있다. 강의 경화능을 평가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조미니 시험법(Jominy test)으로 오스테나이트화 온도에서 열처리한 조미니 바를 시험 장치에 장착하고 아래 면에서 물을 분사시켜 시편을 냉각시킨 후 조미니 바의 경도를 측정하여 경화된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조미니 시험법은 시험 방법이 간단하고 빠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재현성이 부족하여 정량적인 경화능을 측정하기 곤란한 단점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K. Banerji and J. E. Morral : Proc. Int. Symp. Boron in Steels, TMS-AIME, PA (1979). 

  2. D. H. Werner : Boron and Boron Containing Steels, Verlag Stahleisen mbH, Dusseldorf (1995). 

  3. D. V. Doane and J. S. Kirkaldy : Hardenability Concepts with Application to Steel, TMS-AIME, Warrendale, PA (1978). 

  4. Ph. Maitrepierre, D. Thivellier and R. Tricot : Metall. Trans. A, 6 (1975) 287. 

  5. Front of Research on Behavior of Boron in Steels, Iron Steel Inst. Jpn. (2003). 

  6. M. Ueno and T. Inoue : Trans. Iron Steel Inst. Jpn., 13 (1973) 210. 

  7. H. Asahi : ISIJ Int., 42 (2002) 1150. 

  8. B. Hwang, D. -W. Suh and S. -J. Kim : Scr. Mater., 64 (2011) 1118. 

  9. L. Karlsson, H. Norden and H. Odelius : Acta Metall., 36 (1988) 1. 

  10. X. L. He, Y. Y. Chu and J. J. Jonas : Acta Metall., 37 (1989) 147. 

  11. S. Khare, K. Lee and H. K. D. H. Bhadeshia : Int. J. Mat. Res., 100 (2009) 11. 

  12. K. A. Taylor : Metall. Trans. A, 23 (1992) 107. 

  13. Standard Test Methods for Determining Hardenability of Steel, ASTM International, Designation: A 255-02 (2002). 

  14. G. Krauss, Principles of Heat Treatment of Steel, ASM Intl. (1989). 

  15. J. C. Ion and L. M. Anisdahl : J. Mat. Proc. Tech., 65 (1997) 261. 

  16. B. C. De Cooman, J. G. Speer, I. Y. Pyshmintsev and N. Yoshinaga : Materials Design - The Key to Modern Steel Products, GRIPS media GmbH (2007). 

  17. D. J. Mun, E. J. Shin, Y. W. Choi, J. S. Lee and Y. M. Koo : Mater. Sci. Eng. A, 545 (2012) 2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