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기법을 이용한 대뇌의 집행기능 평가
The Evaluation of Cerebral Executive Function Using Functional MRI 원문보기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Radiology, v.7 no.5, 2013년, pp.305 - 311  

은성종 (한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국진선 (한려대학교 방사선학과) ,  김정재 (한려대학교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집행기능은 뇌손상환자의 회복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그 손상 기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을 이용하여 집행기능 수행에 관여하는 대뇌 활성화 영역을 파악하고자 실시하였다. 10명의 정상성인(남자 4, 여자 6)이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모두 폐쇄공포증이 없고 금속을 삽입한 수술의 경험이 없는 평균 나이 24.5 세였다.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실험을 위한 과제는 단어-색체 검사 과제를 30초간의 자극제시 시간에 맞게 수정하여 제시한 후, SPM 9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영상 재정렬(realignment), 표준화(nomalization)를 실시한 후 시간 순서대로 격자화하고, 각 영상 픽셀의 신호강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휴지기와 활성기로 나누어 독립표본 t-검정(p<.05)을 실시하여 활성화 영상을 생성시켰다. 이를 표준 해부학적 영상에 중첩시켜 유의수준 95%에서 뇌 활성화 영상을 얻었다.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결과 집행기능과 관련 있는 내측 전전두엽, 전 대상회, 두정엽, 시각 전두영역, 측두엽 등에서 활성화 우위를 보였다. 집행기능을 수행하는 뇌 활성화 영역을 확인하면 뇌가소성을 증진시키는 효과적인 인지 치료방법을 개발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olves an experiment using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fMRI) to delineate brain activation for execution functional performance. Participates to this experiment of the normal adult (man 4, woman 6) of 10 people, is not inserts the metal all closed phobia and 24.5 year-old av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기 위해서는 집행기능의 감퇴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며, 또한 혈관성 치매환자에게 집행기능은 작업치료 과정에서 회복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따라서 그 손상 기전에 대한 이해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자기공명 영상 기법(fMRI) 을 이용하여 집행기능 수행에 동반되는 뇌 활성화 영역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집행기능 수행에 동반된 뇌 활성화 영역을 파악하고자 단어-색채검사의 집행 능력 중 억제능력을 평가하였다. 억제(inhibition)는 부적절하고 산만한 자극의 처리를 억제하는 능력(인지적 억제)과 행동을 억제하는 능력(반응 억제)이 있다.
  • 39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부학적 영역과 브로드만 영역 Brodmann's area)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활성화 영역 중 가장 높은 신호 값을 가지는 좌표를 대표 좌료로 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행기능이란 무엇인가? 집행기능(executive function)이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일련의 행동을 유지해 나가는 능력으로 계획(planning), 행동의 결정(decision making), 목표설정(self-directed goal selection),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행동의 지속적인 관찰과 변화(monitoring and altering ongoing behavior to achieve goal) 등의 특수한 행동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 해부학적으로는 뇌의 전두엽(frontal lobe) 및 전두엽-피질하 신경망회로(frontal-subcortical circuit)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3].
집행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집행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는 stroop test(Korean Color Word Stroop Test), trail making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등이 있다[7]. 이중 스트룹 단어-색채 검사(stroop test)의 경우, 집행 능력 중 억제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이다.
집행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 중 집행 능력 중 억제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는 무엇인가? 집행 기능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는 stroop test(Korean Color Word Stroop Test), trail making test, Wisconsin Card Sorting Test 등이 있다[7]. 이중 스트룹 단어-색채 검사(stroop test)의 경우, 집행 능력 중 억제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Pennington BF, Ozonoff S Executive function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J Child Psychol Psychiatry 37(1), 51-87.1996 

  2. Miller BL, Cummings JL. The human frontal lobe : function and disorders.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999 

  3. Welsh MC, Pennington BF. Assessing frontal lobe functioning in children : Views from developmental psychology. Developmental Neuropsychology 4, 199-230. 1988 

  4. 이상신, 유병국, 김양태, 김희숙. 안와전두피질의 기능. 생물치료정신의학, 13(1), 36. 2007 

  5. Braaten AJ, Parsons TD, McCue R, Sellers A, Burns WJ. Neurocognitive differential diagnosis of dementing diseases: Alzheimer;s Dementia, Vascular Dementia, Frontotemporal Dementia and Major Depressive Disorder. Int J Neurosci, 116(11), 1271-93. 2006 

  6. Graham NL, Emery T, Hodges JR. Distinctive cognitive profiles in Alzheimer;s Dementia, subcortical Vascular Dementia, J Neurol Nuerosurg Psychiatry, 75(1), 61-71. 2004 

  7. 최성혜. 혈관성 치매에서의 간단한 인지기능 평가 방법. 대한뇌졸중학회지, 2(2), 126-128. 2000 

  8. Looi JCL, Sachdev PS. Differentiation of vascular dementia from AD on neuropsychological tests. Neurology, 53, 670-678. 1999 

  9. Almkvist O. Neuropsychological deficits in vascular dementia in relation to Alzheimer's disease : reviewing the evidence for functional similarity or divergence. Dementia, 5, 203-209. 1994 

  10. Denkla MB. Executive function, the overlapzone betwee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learning disabilities. International Pediatrics, 4, 155-160.1989 

  11. Erkinjuntti T, Hachinski VC. Vascular dementia : a construct in evolution. Cerebrovasc Dis, 3, 3-23.1993 

  12. Erkinjuntti T. Vascular dementia; challenge of clinical diagnosis. Int Psychogeriatr, 9, 51-58.1997 

  13. Mungas D, Jagust WJ, Reed BR, Kramer JH, Weiner MW, Schuff N, Norman D, Mack WJ, Willis L, Chui HC. MRI preditors of cognition in subcortical ischemic vascular disease and Alzheimer;s disease, Neurology, 57(12), 229-35.2001 

  14. O'Sullivan M, Morris RG, Markus HS. Brief cognitive assessment for patients with cerebral small vessel diseas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76(8), 1140-5.2005 

  15. 이정애, 신동균, 이창욱, 이민수 정신과 환자 집단의 실행 기능 연구. 신경정신의학, 41(2), 322-334. 2002 

  16. Villardita C Alzheimer;s disease compared with cerebrovascular dementia. Neuropsychological similartities and differences. Acta Neurol Scand, 87(4), 299-308.19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