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이용, 홍수 및 하천환경의 3개 수자원 정책 부문에서 수행한 사업성과를 지역별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수자원평가지수(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IWREI)를 개발하는 것이다. IWREI는 각 부문별 취약성을 나타내는 물이용취약지수(Water Use Vulnerability Index, WUVI),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하천환경취약지수(River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ex, REVI)를 통합하여 산정된다. 이들 지수들은 물이용, 홍수, 하천환경의 피해를 주는 압력지표(pressure indicators)와 이에 의한 피해 현상지표(state indicators) 및 피해의 대책지표(response indicators)에서 선정한 총 26개 지표로 구성된다, 산정된 지수는 Low, Medium Low, Medium, Medium High, 및 High의 5단계로 취약성 및 정책수행의 효과를 나타냈다. 우리나라 115개의 중권역에 대해 WUVI, FVI, REVI 및IWREI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초반에 비해 2000년대 초반의 지수가 개선되어 수자원 정책의 사업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지역간수자원의 취약지수와 평가지수는 수자원 정책목표의 설정과 사업이행의 우선지역을 선정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n 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IWREI) which can used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water resources projects in a regional perspective focusing on three major sectors including water use, flood, and river environment in water resources polic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수 사업의 수자원 확보량과 광역상수도 보급률, 치수사업의 하천개수율과 상습침수구역 해소 및 하천환경사업의 자연형 하천개수 등의 성과지표로 수자원 관련 정책의 이행성과를 평가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들 사업의 성과를 지수화하여 수자원 정책과 사업의 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통합수자원평가지수(IWREI)를 개발 하였다. IWREI는 물 이용의 취약정도를 평가하는 물 이용취약지수와 홍수 취약성을 평가하는 홍수취약지수 및 하천환경 취약정도를 평가 하는 하천환경취약지수로 구성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수자원 현황 및 수자원관리목표를 평가하고 수자원 관련 정책 수립 및 사업의 우선순위 평가에 유용한 도구로서 분야별(물이용, 치수, 하천환경)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수로 구성되는 수자원 통합지수를 개발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물 이용, 홍수 및 하천환경정책의 3개 부문별 성과를 통합평가하기 위한 통합수자원평가지수(Integrated Water Resource Evaluation Index, IWREI)의 개발이다. 이를 위한 각 부문별 정책 관리지표를 선정하였고 이들 지표를 이용하여 각 부문별 통합지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들 3개 지수를 다시 통합하여 최종적으로 통합 수자원평가지수를 개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지표란? 이러한 계획 및 정책이행 과정에서 의사결정자들은 물 관련 사업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취약한 부문을 확인하고 새로운 사업의 2001우선순위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indicator)와 지수(index)를 필요로 한다. 지표란 여러 부문의 관측값 중에서 현상을 가장 잘 기술해줄 수 있는 대표적인 값을 의미하며 대개는 비율 형태의 변수를 사용하며 시간과 공간적 비교가 가능한 실업률, 경제성장률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Matthew and Victoria, 2001). 또한 수자원과 관련해서는 상수도보급율, 하천개수율, 하수도보급율 등이 일반적이다.
통합수자원평가지수는 무엇을 통합하여 산정되는가? 본 연구의 목적은 물이용, 홍수 및 하천환경의 3개 수자원 정책 부문에서 수행한 사업성과를 지역별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수자원평가지수(Integrated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ex, IWREI)를 개발하는 것이다. IWREI는 각 부문별 취약성을 나타내는 물이용취약지수(Water Use Vulnerability Index, WUVI), 홍수취약성지수(Flood Vulnerability Index, FVI), 하천환경취약지수(River Environment Vulnerability Index, REVI)를 통합하여 산정된다. 이들 지수들은 물이용, 홍수, 하천환경의 피해를 주는 압력지표(pressure indicators)와 이에 의한 피해 현상지표(state indicators) 및 피해의 대책지표(response indicators)에서 선정한 총 26개 지표로 구성된다, 산정된 지수는 Low, Medium Low, Medium, Medium High, 및 High의 5단계로 취약성 및 정책수행의 효과를 나타냈다.
지수란? 또한 수자원과 관련해서는 상수도보급율, 하천개수율, 하수도보급율 등이 일반적이다. 지수(index)는 서로 다른 측정단위를 사용하거나 과학적인 연관성이 없는 둘 이상의 지표를 집계하여 하나의 지수로 정의하는 방법이다(Kim et al.,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hae, M.O., and Oh, Y.J. (2003). "A study on land suitability factors and their weights." Journal of Korean Geographical Society, KGS, Vol. 38, No. 5, pp. 725-740. 

  2. Choi, S.J., and Lee, D.R. (2005). "Indicators for Evaluation of Sustainable Water Resources Development and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KWRA, Vol. 38, No. 9, pp. 779-790. 

  3. Connor, R.F., and Hiroki, K. (2005). "Development of a method for assessing flood vulnerability." Water Science & Technology, Vol. 51, No. 5, pp. 61-67. 

  4. Han, P.H., and Kwon, O.H. (1995).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Urban Indicators and Their Application.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Local Administration. 

  5. Kim, H.S., Song, Y.I., Kim, L.J., and Lim, Y.S. (2007). Linking environmental assessment and sustainable development indicators. KEI-2007-RE-08, Korea Environment Institute. 

  6. Lee, C.H., Lee, S,M., and Yeo, C.G. (2006). Development of the Resional Safety Assessment Model in Seoul-Focusing on Flood-. SDI 2006-R-37, Seoul Development Institute. 

  7. Lee, D.K., and Yoon, S.W. (1998). "A study on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Sustainable City Development -The case of Coexistent Indicators between Men and N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KSEIA, Vol. 7, No. 1, pp. 93-107. 

  8.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 KSCE, Vol. 30, No. 1B, pp. 61-70. 

  9. Matthew S.W., and Victoria, A.V. (2001). Urban indicators for managing cities: Cities Data Book, Asian Development Bank. 

  10.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6).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06-2020). 

  11.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1). National water resources plan (2011-2020). 

  12.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7). The Study of Water Use Characteristic Evaluation. 

  13.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8). The Study of Flood Control Characteristic Evaluation. 

  14.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09). The Study of River Environment Characteristic Evaluation. 

  15. MLTM(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2010). The Study of Water Resources Evaluation Indicator Expansion. 

  16. Ohlsson, L. (1999). Environment, Scarcity and Conflict : A study ofMalthusian Concerns. Ph.D. dissertation, Dept. of Peace and Development Research, University Goteborg. 

  17. Sullivan, C.A. (2001). "The Potential for Calculating a M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 4, pp. 471-480. 

  18. Sullivan, C.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 7, pp. 1195-1210. http://epi.yale.edu/ 

  19. UNDP. (2007). Human Development Report 2007/2008. 

  20. Yun, H.Y. (199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nvironmental indicators of Incheon.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pp. 1-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