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자원의 지속가능성 평가 지수 개발과 구성 요소의 중요도 평가
Development of Assessment Index for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and Weights Evaluation of It's Components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39 no.1 = no.162, 2006년, pp.59 - 68  

강민구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가능한 수자원 이용과 관리를 위해서는 유역 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수자원과 관련된 활동들이 지속가능한 개발의 개념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유역의 수자원 이용과 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수문, 수질, 사회, 경제 및 환경 요인을 고려한 평가지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들을 통합한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WRSI)를 개발하였다. WRSI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중요도(Weight)는 계층적 분석기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세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WRSI를 경제적 효율성, 사회적 공평성, 환경적 보전성, 유지관리능력 등 4개 세부기준으로 구분하였다. 세부지수의 구성 지표는 유역조사, 사회 및 경제 통계, 여론조사 및 관련된 선행 연구결과를 분석하고 적합성을 평가한 후 선정하였다. WRSI 구성요소들의 중요도는 127명의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결정하였다. 세부지수와 구성 지표의 중요도 분석결과는 수자원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위해서 수자원 이용의 효율성과 공평성 증대, 하천 수질을 향상시켜 친수 기능의 복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또한, 수자원 분야에 지속적으로 적정 재원의 투입이 필요하며, 수자원 정책 결정에 대한 주민들의 참여가 필요하다는 것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the 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many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by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developed in other countries. However, in the previous studies, some of indicators were unsuitable for assessing the sustainability of water use and management in K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여론조사는 수자원에 대한 일반 국민 및 수자원 관련 전문가들의 수자원에 대한 의식과 요구 사항을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3년 10월에 일반국민 1,000명과 수자원 관련 전문가 106명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물이용 실태와 수자원 이용의 문제점, 개선점 등을 조사 . 분석한 자료를 이용하여 향후 수자원 이용 및 관리의 발전방향을 고찰하였다(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 하천유지유량 달성률 지표가 높은 중요도를 나타낸 것은 수자원과 관련된 환경문제가 대두됨에 따라 하천의 친수기능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주민이 거주하는 유역의 지리적인 위치에 따라 하천유지유량 달성율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이 지표가 수자원 이용의 사회적 형평성을 평가하는데 주요 지표가 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이용과 관리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들을 선정하고 이들로 구성된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WRSI)를 개발하였으며, 세부지수들과 구성 지 표들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WRSI를 구성하는 지표들은 유역조사, 사회 .
  • 본 연구에서는 수자원 지속가능성 지수(Water Resources Sustainability Index, WRSI)을 개발하고, 구성지표들의 중요도를 계층적 분석기법(AHP)를 사용하여 산정하였다. 또한, 지표들 간의 중요도 산정 결과를 고찰하여 수자원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였다.
  • 정부에서 정기적으로 발행하는 사회, 경 제 분야 통계자료는 인구, 경제활동, 산업활동, 국토이 용, 분야별 세입 및 지출 재해 피해 및 복구, 교육 등에 관련된 것이 있다. 유역조사는 유역의 지형 및 지리적 특성, 인문 및 경제활동, 수자원 양, 수자원 이용 상태, 수질, 하천유황, 하천 관리상태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 하여 분석하기 위하여 시행된다. 유역의 지형 및 지리적 특성은 유역의 물리적 특성에 관련된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되며, 인문 및 경제활동은 유역 내 사회 경제활 동에 관련된 자료들을 이용하여 분석된다.
  • ESI는 국가가 감당할 수 없을 정도의 환경파괴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경제성장을 이룰 수 있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수이다. 이 지수는 다양한 지표 들을 수질, 대기, 종다양성, 토지 등과 관련된 환경 시스템 (Environmental Systems), 환경영향 요인 저감 (Reducing Stresses), 인류 보건에 대한 취약성 저감 (Reducing Human Vulnerability), 사회 및 제도적 능력 (Social and Institutional Capacity), 국제사회 기여도 (Global Stewardship) 로 구분하여 환경의 지속가능성을 평가한다. SWSI는 수자원에 대한 사회적 적응력을 평 가하는 지수로서 WSKWater Stress Index) 를 HDKHuman Development Index)로 나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2005). 전국유역조사-한강, 낙동강유역 

  2. 건설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2003). 물에 관한 국민 여론조사 

  3. 국토개발연구원 (2003). 지속가능한 국토개발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4. 국토개발연구원 (2002). SOC 투자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AHP 기법을 통한 투자지표 설정방향을 중심으로. 

  5. 김대일, 이종호, 박희경, 이동률 (2002). 유역통합수질관리를 위한 지속가능개발 지표의 개발-통계적 기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상하수도학회지, 16(3), pp.322-332 

  6. 김휘린, 이동률, 최시중 (2003). 사회적 적응능력 지표에 의한 지역별 수자원 평가. 2003년도 대한토목학회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2011-2014 

  7. 박태선 (2002). 계층화 분석법을 이용한 하천의 중요도 평가 비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5(6).pp. 685-692 

  8. 이상일, 김병찬 (2003). 계층분석 과정을 이용한 지적지분석, 한국지하수 토양환경학회지, 8(4), 36-44 

  9. 이상일, 이상신 (2004). 지표수-지하수 연계 운영을 위한 적지분석 시스템 개발, 2004년 한국수자원 학술발표회 논문집 

  10. 이현재, 심명필 (2002). 계층분석과정에 의한 가뭄시 용수배분 우선순위 의사결정, 2002년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35(6), pp. 703-714 

  11. 서현교 (1998). 환경압력지수개발 및 그 적용에 연구-서울과 전국의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대 도시계획과 석사학위 논문 

  12. 심성보, 김병찬, 이상일 (2004). AHP를 이용한 강 과수 개발지역 선정, 2004년 한국수자원학회 발표회 논문집 

  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4). 유역통합 물수지 분석 및 수자원 계획기술의 개발 

  14. ASCE Task Committee on Sustainability Criteria(1998). Sustain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 systems. Am. Soc. of Civ. Eng., Reston, Va 

  15. Cai X.,M. and Lasdon L. S. (2002). A framework for sustainability analysi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 and application to the Syr Darya Basin, Water Resour. Res. Vol. 39, No.8, pp. 1085-1098 

  16. European Environment Agency (1999). Environmental indicators: Typology and overview, Copenhagen, Denmark 

  17. Fowler H. J., Kilsby, C. G., and OConnell P. E. (2003). Modeling the impacts of climatic change and variability on the reliability, resilience, and vulnerability of a water resource system. Water Resour. Res., Vol. 39, No.8, pp. 1222-1232 

  18. Heathcote, I. W. (1998). Integrated Watershed Management,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 Huang, S., Wong J., and Chen, T. (1998). A framework of indicator system for measuring Taipei's urban sustainabi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Vol. 42, pp.15-27 

  20. Kranjnc, D. and Glavic, P. (2004). A model for integrated assess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 Resources, Conservation and Recycling, No. 43, pp. 189-208 

  21. Loucks, D. P. and Gladwell, J S. (1999). Sustainability Criteria for Water Resources System, Cambridge University Press 

  22. OECD (1998). Towards Sustainable Development: Environmental Indicators 

  23. Sullivan C. A. (2002). Calculating a Water Poverty Index, World Development, Vol. 30, No.7, pp. 1195-1210 

  24. Sullivan, C. A. (2001). The Potential for Calculating a Meaningful Water Poverty Index. Water International, Vol. 26, No.4, pp.471-480 

  25. UN Commiss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UNCSD) (2001). Indicators qf sustainable development framework and methodologies, United Nations, New York, U.S 

  26. UNEP (1988). Training Guidance for the Integrated Environmental Evaluation of Water Resources Development Projects, UNESCO 

  27. World Economic Forum (2002). 2002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de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