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반침하 발생지역에서의 절리군의 방향성과 침하발생 위치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Orientation of Joint Sets and Location of Subsidence Zone in Subsidence Area 원문보기

터널과 지하공간: 한국암반공학회지 = Tunnel and underground space, v.23 no.5, 2013년, pp.392 - 400  

김병렬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대학원) ,  이승중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대학원) ,  최성웅 (강원대학교 에너지.자원공학과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채굴적에 의한 지표에서의 지반침하발생 위치를 추정함에 있어, 절리군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하는 요소 중의 하나인 바, 각 절리군의 역학적 특성과 이들이 채굴적 상부 암반에 분포하는 양상은 지반침하발생을 가속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침하발생 범위의 추정에 관한 선행연구의 근거자료로 이용된 자료 중 절리군의 방향성에 대한 조사정보의 신뢰성이 비교적 양호한 자료들을 선별하여 절리군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지반침하 발생위치와의 상관관계를 재검토하였으며, 추정각과 침하 지역에 분포하는 주절리군 $J_1$경사각을 비교하여 주절리군 $J_1$이 침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Joint sets should be considered as an influence factor, when location of subsidence zone by stopes is predicted. And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patterns of joint set above stopes may be affecting subsidence occurrenc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orientation of joint sets is rean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지반안정성 보고서상에 기재되어있는 절리군에 대한 조사는 지표면상의 노두 또는 암반사면에 국한되어 조사된 자료들이 대부분이고, 지침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부 조사항목들만이 조사되었기 때문에 전체 보고서에 대한 일관성 있는 자료 취득이 어려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형평성을 고려하여 대다수의 보고서상에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는 절리군의 방향성만을 고려하여 지반침하발생 위치에 절리군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 이 침하발생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분포양상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상관성 분석을 통해 각 Case에 해당하는 각 침하지의 주절리군 J1의 경사각과 침하발생 위치를 나타내는 추정각과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으며, 광체의 경사각에 따른 영향도 함께 분석하였다.
  • 3과 같이 채굴적에서 직상부까지 연결되는 수직선을 기준으로 침하지가 위치한 방향에 따라 α1과 α3으로 구분하여 측정된다(김병렬외, 2013). 본 연구에서는 절리 및 광체의 경사각과 추정각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각도의 측정기준을 통일하고자, 추정각을 수평선을 기준으로 각도를 변환 하였다. 변환된 추정각은 90°-α로 계산되어지며, Cα (Converted alpha)로 정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주절리군 J1이 침하발생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판단하기 위해, 주절리군 J1의 경사각과 변환 추정각의 비율(J1a/Cα)로 그 영향 정도를 수치적으로 표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침하발생 위치와 절리군의 방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침하발생 위치를 기준으로 세 가지 Case로 분류하였으며 침하지 단면상의 절리군에 대한 경사보정을 수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침하발생 위치와 절리군의 방향성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절리군에 대한 조사정보가 뚜렷한 지반안정성 보고서 11개의 침하지 75개소를조사하였으며, 침하지 단면상의 침하발생 위치를 기준으로 세 가지 Case로 분류하였다. 이를 이용하여 주절리군 J1과 광체의 경사방향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침하 발생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판단하기 위한 J1a/Cα를 Case-1과 Case-3의 J1a, θ와 비교 및 분석하였다.
  •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지반안정성 보고서 상의 한정된 자료만으로 침하발생 위치와 주절리군 J1의 방향성의 상관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분석된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듯이 J1a와 α는 밀접한 관련이 있 으며, Case-1에서는 지질학적 구조상 급경사의 J1a가 상부암반에서 절리의 분리거동에 유리하게 작용하며 침하를 유도하였다.
  • 채굴적에서 지표 침하지까지의 연장선으로부터 산정 되는 추정각(α)과 침하지역을 대표하는 주절리군 J1의 경사각(J1a)의 상관관계를 분석함으로써, 침하발생 위치에 주절리군 J1의 경사각(J1a)이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절리군의 경사에 대한 보정은 침하지 단면을 중심으로 수행되었으며, 보고서상에 기록된 절리군의 진경사를 위경사로 변환하였다. 또한 채굴적 상부에 존재하는 단일 절리군이 지표에서 연장되어 채굴적을 관통하는 형상일 때 침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모든 채굴적 상부의 절리군이 채굴적을 관통하는 형상인 것으로 가정함으로써 분석상의 오차범위를 최소화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원민족주의가 대두된 이후 발생한 변화는 무엇인가? 최근 지하자원의 가치가 중요시되고 있고 일부 국가 들의 자원민족주의가 대두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광물자원의 자주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해외자원개발, 국내 폐광산의 재개광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휴․폐광산이 증가하는 추세인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국내 광산들의 광물의 보유량 감소 및 해외의대규모 기업형 광산의 출현으로 인한 광산개발의 경제성 저하로 인하여 휴․폐광산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휴ㆍ폐광산들은 휴·폐광 이후 미흡한 광산복원과 관리감독의 소홀 등으로 인하여, 광산지역에 심각한 지반침하를 야기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rady, B. H. G. and Brown, E. T., 1985, Rock mechanics for underground mining, George Allen & Unwin., 527. 

  2. Choi, S. O., Jeon, Y. S., Park, E. S., Jung, Y. B. and Chun, D. S., 2005a, 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on program, Tunnel & Underground Space, 15, 3, 195-212. 

  3. Choi, S. O., Shin, H. S. and Deb D., 2005b, Possibility analysis of sinkhole occurrences over abandoned mine area using fuzzy reasoning techniques, Symposium of ground subsidence survey, design and construction,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113-125. 

  4. Choi, S. O., Kim, J. D. and Choi, G. S., 2009, Application of fuzzy reasoning method for prediction of subsidence occurrences in abandoned mine area, Tunnel & Underground Space, 19, 5, 463-472. 

  5. Deb, D., Choi, S. O. and Shin, H. S., 2004, Analysis of sinkhole formation over abandoned mine using active-passive-active finite elements, Tunnel & Underground Space, 14, 6, 411-422. 

  6. Han, K. C., Cheon, D. S., Ryu, D. W. and Park, S. G., 2007, Analysis of ground subsidence on Gyochon residential region of Muan city, Tunnel & Underground Space, 17, 1, 66-74. 

  7. ISRM, 1978, Commission on Standardization of Laboratory and Field Tests. Suggested methods for the quantitative description of discontinuities in rock masses, Int. J. of Rock Mech. and Min. Sci., 15, 6, 319-368 

  8. Jung, Y. B., Song, W. K. and Kang, S. S., 2008, Development of subsidence hazard estimation method based on the depth of gangway,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4, 272-279. 

  9. Kim, B. R., Lee, S. J. and Choi, S. O., 2013, A study on the prediction of surface subsidence zone through the case studies on mined-out area, Tunnel & Underground Space, 23, 1, 33-41 

  10. Kim, J. W., Jeon, S. W. and Suh, Y. H., 2004, A study on the effect of underground openings on the stability of surface structures using scaled model tests, Tunnel & Underground Space, 14, 1, 43-53. 

  11. Lee, H. J., Jung, Y. B. and Choi, S. O., 2008,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bulking factor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1, 33-43. 

  12. Lee, S. J., Jung, Y. B. and Choi, S. O., 2008, A study on the volumetric expansion ratio of rock mass for subsidence behavior analysis II, Tunnel & Underground Space, 18, 6, 436-446. 

  13. MIRECO, 1998,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Gangneung region. 

  14. MIRECO, 2000,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Sinseong region. 

  15. MIRECO, 2005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Oeeo and Jaesan region. 

  16. MIRECO, 2005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Wangsan region. 

  17. MIRECO, 2006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Hongsan region of Buyeo district. 

  18. MIRECO, 2006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Ungcheon region of Boryeong city. 

  19. MIRECO, 2007a,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oryeong mine. 

  20. MIRECO, 2007b,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Bukpyeong regoin of Jeongseon district. 

  21. MIRECO, 2007c,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Gangdong region of Gangneung city. 

  22. MIRECO, 2007d, Basic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Deoksang region of Danyang district. 

  23. MIRECO, 2009, Detailed survey report of ground stability on Cheongseong region. 

  24. National Coal Board, 1975, Subsidence Engineer's Handbook, National Coal Board Mining Department, London, 111. 

  25. Piggott, R. T. and Eynon, P., 1977, Ground movement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shallow abandoned mine workings, In Large Ground Movements & Structures, Pentech, 749-780. 

  26. Ryu, D. W., Synn, J. H., Song, W. K., Kim, T. K. and Park, J. Y., 2007, A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of subsidence hazard by a diffusion equation and its application, Tunnel & Underground Space, 17, 5, 372-3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