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심지역의 지반침하(싱크홀)의 원인과 관리적 대책에 대한 제언
Causes and suggestions on administrative measures of Subsidence (sink holes) in Urban areas 원문보기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 science, v.18 no.4, 2016년, pp.1 - 9  

김춘수 (건축사무소 다다그룹) ,  강경식 (명지대학교 산업경영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years, urban areas occurred several times a sinkhole. In Korea, this limestone area where the sink hole sink holes occur based on not much was seen as a very rare phenomenon. However, the occurrence of accidents in recent Subsidence and urban areas is occurring in the limestone sinkhole m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각 유관기관에서 발표한 싱크홀, 지반침하의 사례와 발표된 통계자료, 그리고 해외의 대응사례를 살펴보고 최근에 발표된 지반침하의 원인과 대책에 대한 기존의 연구자료들을 분석하여 도심지역 지반침하에 대한 대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형태의 지반침하를 중심으로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찾기 위한 목적이 있다. 특히, 주된 원인인 지하수위의 이동에 대해 집중하고 그 관리적 대책을 찾기 위해 관련 통계 자료, 기관별 원인분석을 기준으로 발표된 연구들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재해예방 대책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 지반침하에 대한 원인과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시민의 불안감에 대한 인식여부도 중요한 내용이다. 여기서는 경기개발연구원 주관으로 실시된 주민조사의 결과 중에 몇가지를 인용하여 지반침하 사고가 주민들에게 어떻게 인식되는지를 살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도심지역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형태의 지반침하를 중심으로 그 원인을 분석하고 대책을 찾기 위한 목적이 있다. 특히, 주된 원인인 지하수위의 이동에 대해 집중하고 그 관리적 대책을 찾기 위해 관련 통계 자료, 기관별 원인분석을 기준으로 발표된 연구들를 분석하여 구체적인 재해예방 대책에 관해 제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위적인 지반침하의 예방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인위적인 지반침하의 예방을 위해서는 현재 도심지역의 노후화된 상하수도관의 관리를 위한 세부적인 조사가 선행되어야 하며 지질정보, 지하수 관측망등의 DB에 대한 확보를 통해 올바른 재해예방 매뉴얼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그 외에도 다양한 시각적 접근을 통해 관리적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도심지반침하에 대해 기관들이 최근까지 원인규명한 내용은 무엇인가? 도심지반침하에 대해 많은 기관들이 원인규명과 대처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중에 있으며 최근까지 밝혀진 주요 원인은 굴착공사등으로 인한 지하수 교란, 상하수도의 노후 및 손상으로 인한 누수 등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ung O. Choi, Yang-Soo Jeon, Eu-Sup Park, Yong-Bok Jung, Dae-Sung Chun, (2005), "Analysis of Subsidence Mechanism and Development of Evaluatiion Program", Tunnel & Underground Spac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Rock Mechanics, 15(3):195-212. 

  2. Lee Ki Young, (2014), "Sinkhole, swallowing causes and countermeasures for cities", Gyonggi Research Institute, Issue & Analysis, (156). 

  3.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5)"Subsidence Safety Management Manual ", 8. 

  4. Choi, Byoung Il Park, Won Joo Park, Kyung Han Kwon, Eun Keum Shin, Cheol Shik, (2016), "Deduction of Ground Subsidence Occurrence Condition by Technic Materials",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5. Choi, Byoung-il Kim, Hong-Kyoon Kim, Yong-soo Kwon, Eun-Keum Kang, Bo-Rim, (2016),"Analysis of Water Pipeline Leakage to Connect Ground Subsidence in Urban Area",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6. Kang, Bo-Rim Kwon, Eun-Keum Choi, Byoung-Il Kim, Hong-Kyoon Kim, Yong-Soo, (2015)"Analysis of the Maintenance System on Water and Sewage Pipeline for Ground Subsidence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36(19-2). 

  7. Han, Yu Shik Yoon, Tae-Gook Yoo, Ki Cheong Ko, Min Ho, (2016), "A Study on the Method for Hazard Assessment of Land Subsidenc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8. Kim, Hong Kyoon Kim, Yong Soo Lee, Jong Gun Suk, Jae Wook Gwun, Eun Keum, (2016),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Safety Evaluation Factors of Underground Lifelines against the Ground Subsidence", Korea Institute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9.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14), " Seokchon underpass and road pupil causes depressions special control measures". 

  10. Science for a changing world, http://water.usgs.gov/ 

  11. Helicom Property Restoration http://www.heliconfoundationrepair.co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