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국여성의 한류 인지도 차이가 한국 화장품에 대한 품질인식과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Difference in Korean Wave Awareness among Chinese Women on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ing Behavior of Korean Cosmetic Produc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4 no.10, 2013년, pp.5097 - 5104  

이정숙 (서경대학교 미용예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중국여성들의 한류(韓流)에 대한 인식도를 기준으로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나누어 한국 화장품에 대한 품질인식과 구매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중국내 마케팅 전략수립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중국 광저우시에 거주하는 중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k-평균 군집분석, 독립표본 T 검정, 요인분석 등의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한류가 품질에 대한 인식과 브랜드이미지 제고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저집단보다 '고집단'에게 훨씬 더 강력하였고, 사용 후 만족도와 구매 추천 의향으로까지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집단 간 품질 인식과 구매행동 등에 있어 큰 차이를 보여, 지역별 계층별 한류 인지도의 차이에 따라 마케팅 전략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두 집단 모두에게 저렴한 가격이 가장 중요한 구매 동기로 나타나, 한류의 확산과 함께 한국 화장품의 품질과 브랜드의 고급 이미지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절실하게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rive implication for marketing strategy for Korean cosmetic products in China, an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difference in quality perception and purchase behavior between two groups of Chinese women classified by their awareness of Korean Wave. Analytical methods including k-means cluster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중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한류에 대한 인지도 차이에 따른 국내 화장품 품질의 인식과 구매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한국 화장품의 중국 내 마케팅 및 발전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중국의 대도시 여성들을 한류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에 따라 인지도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나누어 한류가 이 두 그룹의 한국화장품 구매행동과 품질 인식 등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했다.
  • 본 연구는 중국 여성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한류에 대한 인지도 차이에 따른 국내 화장품 품질의 인식과 구매 행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통하여 한국 화장품의 중국 내 마케팅 및 발전 전략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첫째, 한류에 대한 인지도가 높은 응답자(이하 ‘고집단‘)와 한류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응답자(이하 ’저집단‘)로 분류한 후에 각 집단별로 한국 화장품의 품질에 대한 평가의 차이를 분석하고, 둘째, 중국 여성의 한류 인지도에 따른 한국 화장품 구매 행동을 분석하며, 셋째로 중국 여성의 한류 인지도에 따른 한국 화장품 구매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 한류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가 단순히 구매 행동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구매 행동의 전 단계인 한국 화장품에 대한 품질 인식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시장 점유율을 제고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 한류 인지도에 따라 설문 대상자를 고집단과 저집단으로 분류하는 것이 본 연구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이를 위해, 앞서 한류에 대한 문항별 인지도 설문조사 자료에 k-means clustering 기법을 적용하여 2개의 집단으로 분류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이나 관광객과 같은 특정 집단이 아닌 중국에 주거하는 일반 여성들을 조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한류에 대한 인지도의 차이가 단순히 구매 행동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뿐만 아니라 구매 행동의 전 단계인 한국 화장품에 대한 품질 인식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도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한국 화장품이 중국에서 지속적으로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를 유지하고 시장 점유율을 제고하기 위해 어떠한 노력이 필요한 지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류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무엇에 초점을 맞췄는가? 한류(韓流)의 마케팅 효과에 관해 그 동안 여러 관점에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1-8]. 대부분의 연구들은 한류가 국가 브랜드나 국가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한류 스타 또는 한류 드라마가 한류의 효과 제고에 미치는 영향, 그에 따른 아시아인의 한국 제품전반에 대한 인지도 제고 효과 등에 대한 분석에 초점이 맞춰져 왔다. 최근 들어 한류가 한국의 특정 제품군, 특히 의류, 식품, 화장품 등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와 구매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검증하려는 연구가 시도되고 있다.
김찬주, 유혜경, 김희라는 설문조사를 통해 일본 관광객과 중국 관광객에 대한 한류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는데,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김찬주, 유혜경, 김희라[8]는 설문조사를 통해 일본 관광객과 중국 관광객에 대한 한류의 영향력을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8]. 중국 관광객들이 한국화장품에 대한 만족도, 인지도, 정보 검색활동이 일본 관광객들에 비해 훨씬 더 우호적이고 적극적인 것으로 보고하였다. 한국화장품 구매에 미치는 한류의 영향 또한 중국관광객에게 더 강하게 나타난다고 주장하였다.
김종섭과이홍매는 한류를 한국 드라마, K-POP, 한국스타 3가지로 분류하고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는데, 어떠한 결과가 나타났는가? 김종섭과이홍매는 한류를 한국 드라마, K-POP, 한국스타의 3가지로 분류하고 중국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하였다[7]. K-POP만이 한국산 화장품의 품질 이미지에 영향력을 미치는 반면, 한국산 화장품 구매 의향에는 한국 드라마가 가장 강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즉, K-POP과 한국 드라마가 한류 인지도와 한국 화장품의 품질 및 구매의향 사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yungsik Chung, The Effects of Consumer's Perception of Korean Wave (Hallyu) on Korean Product Purchase and Country Image in Chinese Marke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7, No. 3, 79-101, 2006. 

  2. Sung-Tai Hong, Dong Kyoon Kang, Yoshihiko Ohya, The Effects of Korean Wave on Evalua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Products Made in Korea: Focused on Cases in Japanese Markets,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 40, No. 1, 71-90, 2007. 

  3. Yee Hyang Kim, The Relations among Hanryu Attitudes, Tourism Destination Image, Satisfaction of Chinese in Visit to Korea, Convention Research, Vol. 7, No. 1 , 143-159, 2007. 

  4. Inku Lee and Jongbae Kim, An Exploratory Study on 'Korean Wave' in China and Japan,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Vol. 12, No. 1, 91-111, 2007 

  5. Chung Min Han, Xi Chen, Sangyoup Rhee, The Korean Wave in China and Perceived Images of Korean Brands: Korean Wave Advertising vs. Country-of-Origin Effects, Management Research, Vol. 40, No. 4, 1055-1074, 2011. 

  6. Yk-Su Lee, Effect of Tourism Image on Tourism Motivation and Experientiality of Chinese Tourists' on Korean Wave, Korean Contents Research Association, Vol. 11, No. 1, 387-395, 2011 

  7. Chanju Kim, Haekyung Yu, Heera Kim, Comparing Korean Cosmetics Purchase Behavior of Japanese and Chinese Tourists,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s, Vol. 62 No 6: 127-139, 2012. DOI: http://dx.doi.org/10.7233/jksc.2012.62.6.127 

  8. Jong Sup Kim, Hong Mei Li, An Influence of the Korean Wave on the Purchasing Intention of the Korean Cosmetics in China,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 17, No. 1, 195-217, 2013. 

  9. Han, C. Min, Country Image: Halo or Summary Construct,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46, 94-101, 1989. 

  10. Hyungjin No, Research Method and Statistical Analysis utilizing SPSS, Hakhyunsa, 2011. 

  11. Aaker, D. A, Dimension of Brand Person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4, August, 347-356, 1997. 

  12. Aaker, D. A,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a Brand Name, New York, The Free Press, 1991. 

  13. Anderson W. Thomas, Jr. and Linda, L. Golden, Lifestyle and Psychographics: A Critical Review and Recommend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1, 405-411, 1984. 

  14. Burke, M. and J. Edel, The Impact of Feelings on Ad-based Addict and Cognit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26(1), 69-83, 1989. DOI: http://dx.doi.org/10.2307/3172670 

  15. Friedman, H. and L. Friedman, Endorser Effectiveness by Product Typ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 26, No. 1, 63-71, 1979. 

  16. Jacoby, J.G., J. Szybillo and J. Busto-Schach, Information Acquisition Behavior in Brand Choice Sit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3, No. 3, 209-215, 1977. 

  17. Keller, K. L. Conceptualizing, Measuring and Managing Consumer-based Brand Equity, Journal of Marketing, 57(1), 1-22, 1993. DOI: http://dx.doi.org/10.2307/1252054 

  18. Machleit, K. A. and R. D. Wilson, Emotional Feelings and Attitude toward the Advertisement: The Roles of Brand Familiarity and Repetition, Journal of Advertising, 17(3), 27-35, 1988. DOI: http://dx.doi.org/10.1080/00913367.1988.10673121 

  19. Oliver, Richard, Cognitive, Affective, and Attribute Bases of the Satisfaction Respon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20, 418-430, 1993. DOI: http://dx.doi.org/10.1086/2093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