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otease를 생산하는 Lactobacillus paracasei의 분리와 이를 이용한 두유 발효 최적화
Optimization of Soymilk Fermentation by the Protease-producing Lactobacillus paracasei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5 no.5, 2013년, pp.571 - 577  

이설희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장동훈 (학교법인 연세대학교 연세우유) ,  최혁준 ((주)BK bio) ,  박영서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김치나 젓갈 등 각종 발효식품으로부터 단백질 가수분해 활성이 있는 총 108주의 분리된 유산균 중 일정 수준이상의 protease 활성을 지니는 29주를 선정하였다. 그 중 두유단백질 분해능이 가장 높은 균주 MK1을 본 연구의 발효균주로 최종 선정하였고, 생리학적 특성 및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등과 같은 분자유전학적 분석을 통해 Lactobacillus paracasei MK1로 동정 및 명명하였다. L. paracasei MK1을 이용하여 두유의 최적 발효산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pH, 적정 산도, 생균수 및 단백질 분해 양상에 따른 최적화 연구를 실시하였다. L. paracasei MK1의 종배양액을 멸균한 두유에 2%(v/v)접종하여 발효시켰을 경우, 발효의 최적온도는 $30^{\circ}C$이었으며, 이 때의 적정산도와 pH는 발효 초기 0.15%와 pH 7.31에서 24시간 발효 후 0.98%과 pH 4.56으로 변화하였다. 생균수는 초기 6.94 log CFU/mL에서 발효 후 9.03 log CFU/mL로 증가하였다. 두유의 최적 희석배수는 50%로서 적정산도는 배양 24시간 후 0.08%에서 0.45%로 증가하였다. 최적 초기 pH는 6.0이었으며 탄소원으로 2%(w/v) glucose를 50%로 희석한 두유에 첨가하고, $30^{\circ}C$에서 두유 발효를 실시하였을 때 가장 적합한 발효 경향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ur aim was to ferment soymilk using lactic acid bacteria that showed protease activity and to optimize the condition for fermentation. In total, 108 strains of protease-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were isolated from various fermented foods such as kimchi and jeotgal, and among them, 29 strains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유산균을 이용한 두유의 발효는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으나, 기능성 peptide를 생산할 수 있는 protease 효소활성을 나타내는 유산균을 이용하여 두유 단백질로부터 peptide를 제조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protease를 생성하는 유산균주를 탐색 분리하고, 선정된 유산균이 생산하는 protease에 의해 두유 단백질을 분해하는 발효 조건을 최적화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두유를 우유와 비교하시오. 두유는 대두를 수용성으로 추출한 대두 가공식품 중 하나이며, 우유와 비교하여 외관 및 성분이 유사하고, 불포화지방산, 수용성 단백질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다(1,2). 전통적으로 두유는 대두를 물에 불린 후(수침) 마쇄, 여과 및 가열공정을 통하여 비지를 제거한 후 얻을 수 있다.
두유란? 두유는 대두를 수용성으로 추출한 대두 가공식품 중 하나이며, 우유와 비교하여 외관 및 성분이 유사하고, 불포화지방산, 수용성 단백질 및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이 높다(1,2). 전통적으로 두유는 대두를 물에 불린 후(수침) 마쇄, 여과 및 가열공정을 통하여 비지를 제거한 후 얻을 수 있다.
peptide의 생리활성은? Peptide는 단백질의 분해과정 중 생성되는 물질로 분자량은 10,000 Da 이하로, 적은 수의 아미노산이 결합되어 있는 저분자 peptide는 아미노산보다 단위 시간 당 흡수량이 더 많다(8,9). Peptide의 생리활성은 이미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있는데,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ACE) 저해 활성, opioid agonist 저해 활성, 항균 활성, 미네랄 결합 활성 등이 보고되어 있다(10,11). 대두 단백질을 그대로 섭취하는 것보다는 가수분해한 peptide 형태로 섭취할 때 체내 지질 개선에 더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대두 단백질에 비하여 알레르기성이 낮으며, 흡수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Jang SY, Sin KA, Park NY, Kim DH, Kim MJ, Kim JH, Jeong YJ.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molecular soymilk according to hydrolysis tim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287-1293 (2008) 

  2. Lee EK, Hwang IK. Study on the physicochemical, nutrition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calcium-fortified soy-milk (tofumilk). Korea Soybean Digest 11: 23-31 (1994) 

  3. Shon DH. Nutritional and bioactive components of soymilk and cow's milk (a review). Korea Soybean Digest 14: 66-76 (1997) 

  4. Shin HC, Seong HS, Sohn HS. The industrial development and health benefits of the soymilk. Korea Soybean Digest 21: 15-27 (2004) 

  5. Anderson RL, Wolf WJ. Compositional changes in trypsin inhibitors, phytic acid, saponins and isoflavones related to soybean processing. J. Nutr. 125: 581S-588S (1995) 

  6. Kim WJ. Soybean, Health and Utilization. Hyoil Books Publishing. Seoul, Korea. pp. 35-37 (2006) 

  7. Park KH. Variation of isoflavone and saponin contents in Korean soybean cultivars. MS thesis, Chungbuk University, Cheongju, Korea (2011) 

  8. Choi SY. Roles of soy peptide on the Korea traditional fermented foods. Food Ind. Nutr. 11: 19-26 (2006) 

  9. Lee BY.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pplication of soy peptide. Food Ind. Nutr. 11: 1-12 (2006) 

  10. Gill I, Lopez Fandino R, Jorba X, Vulfson EN. Biologically active peptides and enzymatic approaches to their production. Enzyme Microb. Technol. 18: 162-183 (1996) 

  11. Meisel H. Biochemical properties of bioactive peptides derived from milk proteins: Potential nutraceuticals for food and pharmaceutical applications. Livest. Prod. Sci. 50: 125-138 (1997) 

  12. Park JH, Park MN, Lee IS, Kim YK, Kim WS, Lee YS. Effects of soy protein, its hydrolysate and peptide fraction on lipid metabolism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rats. Korea J. Nutr. 43: 342-350 (2010) 

  13. Aoyama T, Fukui K, Takamatsu K, Hashimoto Y, Yamamoto T. Soy protein isolate and its hydrolysate reduce body fat of dietary obese rats and genetically obese mice (Yellow KK). Basic Nutr. Investig. 16: 349-354 (2000) 

  14. Shin ZI, Yu R, Park SA, Chun DK, Ahn CW, Nam HS, Kim KS, Lee HJ. His-His-Leu, an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peptide derived from Korean soybean paste, exerts antihypertensive activity in vivo. J. Agr. Food Chem. 49: 3004-3009 (2001) 

  15. Gibbs BF, Zougman A, Masse R, Mulligan C. Produc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ioactive peptides from soy hydrolysate and soy-fermented food. Food Res. Int. 37: 123-131 (2004) 

  16. Kim JI. Health benefits of soybean-prevention of chronic degenerative disease. Korea Soybean Digest 28: 37-42 (2011) 

  17. Ammor MS, Mayo B. Selection criteria for lactic acid bacteria to be used as functional starter cultures in dry sausage production: An update. Meat Sci. 76: 138-146 (2007) 

  18. Kim RU.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 yogurt-forming lactic acid bacteria. MS thesis, Pusan University, Busan, Korea (2010) 

  19. Vazquez Peyronel D, Cantera AM. A simple and rapid technique for postelectrophoretic detection of proteases using azocasein. Electrophoresis 16: 1894-1897 (1995) 

  20. Laemmli UK.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1970) 

  21. Lane DJ. 16S/23S rRNA sequencing. pp. 115-175. In: Nucleic Acid Techniques in Bacterial Systematics. Stackebrandt E, Goodfellow M. Wiley, New York, USA (1991) 

  22. Hou JW, Yu RC, Chou CC. Changes in some components of soymilk during fermentation with bifidobacteria. Food Res. Int. 33: 393-397 (2000) 

  23. Lee WK. Development of lactic acid bacteria for functional soy yogurt. MS thesis, Mokpo National University, Muan, Korea (2009) 

  24. Yoon MY. Evalu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as starter cultures for fermented soymilk. PhD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20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