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한 요구르트의 효모 성장 억제와 품질 향상 효과
Effects of Yeast Growth Inhibiting and Yogurt Quality Improving with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rhamnosu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6 no.12 = no.200, 2016년, pp.1438 - 1445  

김철홍 (빙그레 식품연구소) ,  남명수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에 오염된 효모의 증식을 억제해서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진행하였다. 효모 투입 후 저장기간 동안 효모의 증식 속도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포함된 실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최소 1일에서 최대 4일까지 지연시켰다. 스웰링 현상은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가 효모의 증식 속도를 일정 기간 지연시켜 주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요구르트 제조 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를 사용한다면, 저장기간 동안의 품질 안정성이 향상되어 유통기한을 연장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효유 제조업체의 생산성과 소비자의 식품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요구르트의 품질 기준인 후산 발효와 관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하였다. 요구르트 제조 후 $10^{\circ}C$에서 저장할 경우 대조구에 비해 실험구의 산도 변화 폭은 미미하여 후산 발효가 거의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제조일로부터 유통기한 만료일까지 일정하게 관능적 풍미를 유지시켜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로 인해 소비자에 대한 관능적 품질향상을 꾀할 수 있다. 그리고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가 추가된 실험구는 대조구에 비해 조직감이 상대적으로 좋았으며, 풍미나 맛 또한 우수하였다. 즉, 요구르트에 Lactobacillus paracasei와 Lactobacillus rhamnosus의 사용은 효모의 증식 억제를 통해 제품 품질의 안전성 향상, 후산 발효 억제로 인한 품질의 균일성 증대, 조직감 및 풍미 향상으로 인한 관능적 품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Yeast can be post-contaminated by the equipment, producer, or air, and this can degrade yogurt quality. This study aimed to demonstrate the yeast inhibiting effect in fermented milk by adding Lactobacillus paracasei and Lactobacillus rhamnosus along with current fermenting lactic acid bacteria su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능이 있는 Lactobacillus paracasei와 항균력과 열 안정성이 뛰어난 Lactobacillus rhamnosus를 이용하여 발효유에서 효모의 성장을 억제시키는 연구는 보고된 바 없어, 본 연구는 이들 유산균을 이용하여 발효유의 품질향상과 유통기한 연장을 통한 제품의 생산성 향상과 소비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효유 제품에서 효모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한 5가지 원칙은 무엇인가? 특히, 발효유 제품에서 효모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서 아래 5가지 기본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 첫째, 발효시키기 전에 원료의 적절한 혼합과 열처리를 하고 둘째, 유산균 starter culture에 효모가 없어야 하고 셋째, 발효된 요구르트 믹스에 섞는 과일 시럽이나 다른 원료에서 효모가 없어야 하고 넷째, 생산설비가 청결하고 위생적이어야 하고 다섯째, 제품은 5℃로 냉장되어 유통 중에서도 cold chain으로 유지되어야 한다고 보고하고 있다[5]. 하지만, 국내법상 냉장 유통조건은 0~10℃로 되어있어 진정한 효모 증식 억제는 완전히 이루어지고 있지 않아 여전히 시판 요구르트에서 극히 미량이지만 효모에 의한 제품 변질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유제품의 유통 중 품질 변화에 의한 위험요소들이 감소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유제품의 유통 중 품질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영양소가 풍부한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미생물들에 의한 변패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원료유의 품질 향상 및 유제품의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점차 이러한 위험요소들이 감소되고 있다. 포장기술의 발전 또한 제품의 생산 중 오염가능성을 획기적으로 감소시켰으며, 유제품의 생산 및 제조 기술이 발전됨에 따라 최종 제품의 품질관리가 용이해져, 유제품의 유통 중 제품 변질 요인이 많이 감소하게 되었다.
유제품의 유통 중 품질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은 무엇인가? 유제품의 유통 중 품질 변화는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영양소가 풍부한 제품의 특성으로 인하여 여러 가지 미생물들에 의한 변패가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원료유의 품질 향상 및 유제품의 생산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점차 이러한 위험요소들이 감소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iba, Y., Suzuki, N., Kabir, A. M., Takagi, A. and Koga, Y. 1998. Lactic acid-mediated suppression of Helicobacter pylori by the oral administration of Lactobacillus salivarius as a probiotic in agnotobiotic murine model. Am. J. Gastroenterol. 93, 2097-2101. 

  2. Bhowmik, T., Johnson, M. C. and Ray, B. 1987. Factors influencing synthesis and activity of ${\beta}$ -galactosidase in Lactobacillus acidohpilus. J. Ind. Microbiol. Biotechnol. 2, 1-7. 

  3. Chammas, G., Saliba, R., Corrieu, G. and Beal, C. 2006. Characteriz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ed milk laban. Int. J. Food Microbiol. 110, 52-61. 

  4. Chung, K. T., Stevens, S. E. and Cerniglia, C. E. 1992. The reduction of azo dyes by the intestinal microflora. Crit. Rev. Microbiol. 18, 175-190. 

  5. Davis, J. G. 1975. The microbiology of yogurt. pp. 245-263, ed., Academic Press, London, England. 

  6. Gilliand, S. E. and Speck, M. L. 1997. Deconjugation of bile acids by intestinal lactobacilli. Appl. Environ. Microbiol. 33, 15-18. 

  7. Havenaar, R., Brink, B. T. and Veld, J. H. 1992. Selection of strains for probiotic use. pp. 209-224. In: Fuller, R.(eds.), Probiotics. Chapman & Hall, New York, USA. 

  8. Kang, T. J. 2009. Dfficacy and use of lactic acid bacteria. Biowave 11, 1-20. 

  9. Kebede, A., Viljoen, B. C., Gadaga, T. H., Narvhus, J. A. and Lourens-Hattingh, A. 2007. The effect of container type on the growth of yeast and lactic acid bacteria during production of Sethemi, South African spontaneously fermented milk. Food Res. Int. 40, 33-38. 

  10. Kim, T. W., Lee, J. H., Kim, S. E., Park, M. H., Chang, H. C. and Kim, H. Y. 2009. Analysis of microbial communities in doenjang, a Korean fermented soybean paste, using nested PCR-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Int. J. Food Microbiol. 131, 265-271. 

  11. Klaver, F. A. M. and Van der Meer, R. 1993. The assumed assimilation of cholesterol by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bifidum is due to their bile salt deconjugation activity. Appl. Environ. Microbiol. 59, 1120-1124. 

  12. Lee, H., Yoon, H., Ji, Y., Kim, H., Park, H., lee, J., Shin, H. and Holzapfel, W. 2011.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trains isolated fro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45, 155-161. 

  13. Lee, J. L., Huh, C. S. and Baek, Y. J. 1999. Utilization of fermented milk and it's health promotion. Kor. J. Dairy Sci. Technol. 17, 58-71. 

  14. Lee, J. Y., Kim, C. J. and Kunz, B. 2006.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studies on their suitability for application as starter culture in the production of fermented sausages. Meat Sci. 72, 437-445. 

  15. Liu, S. Q. and Tsao, M. 2009. Enhancement of survival of probiotic and non-probiotic lactic acid bacteria by yeasts in fermented milk under non-refrigerated conditions. Int. J. Food Microbiol. 135, 34-38. 

  16. Maire, B., Colin, H. and Cormac, G. M. G. 2006. Bile salt hydrolase activity in probiotics. Appl. Environ. Microbiol. 72, 1729-1738. 

  17. Moreira, M., Abraham, A. and De Antoni, G. 2000. Technological properties of milks fermented with thermophilic lactic acid bacteria at suboptimal temperature. J. Dairy Sci. 83, 395-400. 

  18. Nam, Y. D., Chang, H. W., Kim, K. H., Roh, S. W. and Bae, J. W. 2009. Metatranscriptome analysis of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with genome-probing microarrays. Int. J. Food Microbiol. 130, 140-146. 

  19. Shin, K. S., Kim, Y. T., Son, W. G., Seok, J. H. and Kim, S. H. 1997. Growth inhibition effect of E.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by lactic fermented milk products administrated orally in rabbit. J. Food Hyg. Safety. 12, 188-194. 

  20. Shukla, S., Park, H. K., Kim, J. K. and Kim, M. 2010. Determination of biogenic amines in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Doen jang). Food Chem. Toxicol. 48, 1191-1195. 

  21. Salomskiene, J. and Macioniene, I. 2009. The influence of contamination yoghurt, Quark and semi-hard cheese by yeast on their sensory properties. Vet. Med. Zoot. 48, 72-76. 

  22. Suriya, P., Sudha, K., Mathangi, S. K. and Thygarajan, D. 2012. Incidence of aflatoxin contamination and assessment of physico-chemical parameters in breakfat cereal. Int. J. Food Agric. Vet. Sci. 2, 13-19. 

  23. Twetman, S. and Stechsen-Blicks, C. 2008. Probiotics and oral health effects in children. Int. J. Pediatr. Dent. 18, 3-10. 

  24. Wang, Y. C., Yu, R. C. and Chou, C. C. 2004. Viability of lactic acid bacteria and bifidobacteria in fermented soymilk after drying, subsequent rehydration and storage. Int. J. Food Microbiol. 93, 209-217. 

  25. Yang, E. J. and Chang, H. C. 2010. Purification of a new antifungal compound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AF1 isolated from kimchi. Int. J. Food Microbiol. 139, 56-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