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 돌봄 가족을 지원하는 지역사회 서비스: 한국과 미국의 비교를 통한 정책 제언
Community Services Supporting Family Caregivers for the Elderly: Lessons from the Comparison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1 no.3, 2013년, pp.275 - 284  

김성희 (순천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우혜영 (포틀랜드주립대학교 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useful insights into community-level support services for family caregivers in Korea by comparing them with the services in the United States. Similar to most developed countries, life expectancy has led to rapid population aging in Korea over the last sever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을 지원하는 법과 정책 마련에 준거를 제시하고 지역사회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는데 기여하고자 선험적 근거로서 미국의 돌봄가족지원법과 운영 실태, 프로그램의 내용, 효과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의 노인 돌봄 가족 실태 및 관련 정책과 비교하여 돌봄 가족에 대한 정책 방향도 모색해보고자 한다.
  • 미국에서는 노인 돌봄 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고 그들이 더 지속적으로 돌봄을 제공할 수 있도록 2000년부터 돌봄가족지원법(National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 NFCSP)을 제정하여 시행해오고 있다[1]. 이 법은 가정에서 노약자를 돌보는 가족과 비공식적 돌봄을 제공하는 자들의 심리적 부담을 줄여주고 이들에게 정보 제공, 상담, 교육 및 훈련, 휴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기적으로 돌봄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1, 40]. 그리고 이 법은 예산 가운데 최고 10%까지 손자나 18세 미만의 친척 어린이를 부양하는 노인들에게도 동일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1, 40].
  • 그러나 아직 이에 대한 인식은 낮고 지원 체계는 매우 미흡하며 노인을 돌보는 가족에 대한 지원 연구도 Choi 등[8]이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책으로 일부 연구한 것 외에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돌보는 가족을 지원하는 법과 정책 마련에 준거를 제시하고 지역사회에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는데 기여하고자 선험적 근거로서 미국의 돌봄가족지원법과 운영 실태, 프로그램의 내용, 효과를 조사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의 노인 돌봄 가족 실태 및 관련 정책과 비교하여 돌봄 가족에 대한 정책 방향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노인 돌봄 정책이 가족 돌봄을 비공식적 보조 체계로만 간주해 온 것에 대해 100세 시대에 노인 돌봄 문제는 가족을 중심에 두고 다각적으로 강구할 필요가 있다고 보고, 가족 돌봄을 공식적 돌봄의 한 유형으로 재평가 하기 위해 돌봄가족지원법을 운영하고 있는 미국의 사례를 관련 시설과 문헌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국내에서 제공되는 관련 정책을 조사하여 비교함으로써 돌봄 가족 지원 정책의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약자 보호 기능이 축소되고 있는 이유는? 전통적으로 가족이 담당해오던 노약자 보호 기능은 가족원 수의 감소, 여성 취업의 증가, 가족 해체의 증가 등으로 인해 축소되고 있다. 노인 돌봄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 강조되고[2, 13] 2008년부터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시행되면서 정부와 시장에서 제공하는 돌봄이 가족의 기능을 대체하고 있다.
돌봄 가족을 지원하는 기관은 어떠한 기관들이 있는가? 돌봄 가족을 지원하는 기관에는 NFCA 외에 Family Caregiver Alliance (FCA, 돌봄가족협회)의 National Center on Caregiving (NCC, 국립요양센터), National Alliance for Caregiving (NAC, 국립요양협회), Generations United (세대연합), Eldercare Locator 등이 있다.
재가서비스를 돌봄 가족의 노인이 이용하기 위한 조건은? 그러나 돌봄 가족의 노인이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을 가져야 한다. 65세 이상 또는 65세 미만의 노인성 질병을 가진 노인이면서 6개월 이상 혼자서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어렵고 1-3등급의 등급판정을 받아야 한다[7]. 자격을 갖춘 경우에도 서비스 이용에는 많은 제약이 따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Administration on Aging. (2012).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 Retrieved June 11, 2011, from http://www.aoa.gov/AoARoot/AoA_Programs/index.aspx 

  2. An, M. Y. (2012). The changing shape of care-time diamond: social care expansions in the 21st century in Korea. Korea Social Policy Review, 19(2), 137-161. 

  3. Bodenheimer, T. S., & Grumbach, K. (2005). Understanding health policy: a clinical approach (4th ed.). New York: McGraw-Hill Medical. 

  4. Chang, D. (2005). An analysis of long-term care policy in the united states: lessons for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18, 101-140. 

  5. Choi, H. K. (2012). An exploratory study on caregiving sons.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5, 7-31. 

  6. Choi, H. S., & Ha, J. (2012).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3(1), 131-142. 

  7. Choi, I. H. (2011). The effect of long-term care insurance on family. Gender Review, 22(Fall), 89-92. 

  8. Choi, I. H., Kim, E. J., Jeong, S. Y., & Yang, N. J. (2011). The policy for the family caring the elderly: for the improvement and additional support of long-term care institution.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9. Family Caregiver Alliance. (2013). About FCA. Retrieved May 22, 2013, from http://www.caregiver.org 

  10. Feinberg, L.F., & Newman, S. L. (2004). A study of 10 states since passage of the national family caregiver support program: policies, perceptions, and program development. Gerontologist, 44(6), 760-769. 

  11. Gelardin, S. (2007). Introducing the family caregiver wellness model. Career Planning and Adult Development Journal, 23(4), 150-156. 

  12. Haigler, D. H., Bauer, L. J., & Mims, K. B. (2011). Caring for you, caring for me. Seoul: Hakjisa. 

  13. Han, G. H. (2002). The home and community based care (HCBC) program for the rural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13(2), 77-86. 

  14. Healthy Family Support Centers. (2012). Information on the family support services. Retrieved June 13, 2011 from http://www.familynet.or.kr 

  15. Jang, H. K., Hong, S. A., Lee, S. W., Kim, Y. L., Gang, E. W., & Kim, G. E. (2006). Care work of family. Seoul: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16. Jo, H. K., Kim, K. S., Jeong, M. G., Song, H. L., Lee, S. M., Seong, M. A., et al. (2005). Introduction to healthy families. Seoul: Shin-Jung. 

  17. Kim, D. L. (2012, July 9). Where are the lots of caregivers? The Pressian. Retrieved November 9, 2012, from http://www.pressian.com 

  18. Kim, M. H., Shin, K. R., Kang, M. S., & Kang, I. (2006). A study on development of care system in aged Korea: Analysis on the care system among the types of successful aging life.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3), 617-639. 

  19. Kim, S. H. (2011, January 13). Homo hundred: Shock or disaster? The Chosun News. Retrieved June 22, 2011, from http://new.chosun.com 

  20. Kim, Y. O., & Kim Y. S. (2011). Measuring family caregiving output for the elderly. Women's Studies, 80, 181-215. 

  21. Konrad. T. R., Morgan, J. C., & Dill, J. (2008). North Carolina long term care workforce turnover survey: Descriptive results, 2007. Chapel Hill, NC: North Carolina Institute on Aging. 

  22. Korea Health and Welfare Information Service. (2012). Social service voucher. Retrieved July 21, 2012, from http://www.socialservice.or.kr 

  23. Korea Law. (2011). Law of long-term care insurance. Retrieved June 12, 2011, from http://www.law.go.kr 

  24. Korea Law. (2012). Social security act. Retrieved November 22, 2012, from http://www.law.go.kr 

  2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2). The ratio of care and caregiver for the elderly. Retrieved November 23, 2012, from http://www.kostat.go.kr 

  26. Kwon, J. M. (2012). The mutual obliga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coopertation, respect, and consideration. Hongik Law Review, 13(1), 371-397. 

  27. Lee, C. J. (2011). The impact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long-term care worker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31(2), 277-290. 

  28. Lee, H. S., & Yoo, S. H. (2012). An analysis on the management long-term care insurance. Seoul: The Board of Audit and Inspection of Korea. 

  29. Lim, J. G., & Hong, E. J. (2011). A longitudinal study on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mong the aged according to the caring behavior for the parents: the application of growth potential model.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 51, 215-245. 

  30. Long-Term Care Insurance. (2012). Information. Retrieved June 28, 2012, from http://www.longtermcare.or.kr 

  3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1). Information and notice. Retrieved June 28, 2012, from http://www.mw.go.kr 

  3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The information for the dementia. Retrieved November 23, 2012, from http://www.edementia.go.kr 

  3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1). Investigation on the Aged. Seoul: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4. Riggs, J. A. (2003). A family caregiver policy agenda for the twenty-first century. Generations, 27(4), 68-73. 

  35.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2008). Nationwide study on the prevalence of dementia in Korea elders. Seoul: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36. Sloane, P. D., Zimmerman, S., Suchindran, C., Reed, P., Wang, L., Boustani, M., et al. (2002). The public health impact of Alzheimer's disease, 2000-2050: Potential implication of treatment advances.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3, 213-231. 

  37. Standing, G. (2001). Care work: Overcoming insecurity and neglect. In M. Daly (Ed.), Care work: The quest for security (pp. 15-31). Geneva: International Labour Office. 

  38. The Editorial. (2009, May 18). Does long-term care start reconstructing in this situation? The Kookje. Retrieved June 13, 2011, from http://www.kookje.co.kr 

  39. United Nations. (2009). World population aging 2009. Retrieved July 12, 2012, from http://www.un.org/en 

  40. Yoo, S. H. (2001). Comparative study on the older citizens act between Korea and U.S.A.: Proposing some comments related to the amendments of the older Koreans act.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14, 141-1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