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덕유산 국립공원 삼림식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1, 2013년, pp.33 - 40  

김창환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  이남숙 (전북대학교 대학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12년 3월부터 2013년 1월까지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 필요성에 따라 1/5,000 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어졌다. 식생조사의 정확성 및 신속성을 위하여 식생조사용 DB를 활엽수림, 침엽수림, 혼효림, 암벽식생, 기타식생으로 분류한 후 식생조사용 식생도를 제작하여 현지조사에 사용하였다. 식생조사식용 DB 구축 결과와 식생조사 결과를 반영한 식생도 구축 결과는 활엽수림이 77.20%, 78.45%로 거의 같았으며, 침엽수림 (16.70%, 13.41%), 혼효림 (9.50%, 7.49%), 암벽식생(0.60%, 0.15%) 분포비율의 차이가 크지 않았다. 식생조사 결과가 반영된 정밀식생도 중 식생 상관 대분류에서 나타난 식생유형은 산지낙엽활엽수림이 전체의 65.78%를 차지하고 있어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산지습성림(15.17%), 산지침엽수림(10.90%), 식재림(7.00%) 순으로 분포비율이 높았다. 특히 수령이 50년 이상의 장령림, 극상림, 특이식생, 아고산대식생 등 매우 양호한 식생유형을 보이는 식생보전등급 I등급 지역의 비율이 약 20% 비율로 분포하고 있는것은 덕유산의 삼림식생이 매우 안정적이고 다양하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 17개 육상국립공원에 대한 식생연구는 식물군락과 관련된 조사는 비교적 상세하게 연구되어 왔으나 식생도 관련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는 현존식생에 대한 식생도는 1 : 25,000의 소축적 지형도에 주로 의존하여 조사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식물군락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식생도에 대한 신뢰성이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식생조사용 식생도를 제작하지 않고 임상도, 항공사진 등을 참고하여 조사가 이뤄져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식생조사용 식생도면을 제작한 후 덕유산내에 분포하는 식생의 상관식생도면 및 식생보전가치평가도면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발표되었던 덕유산 식생도 관련 연구(Kim, 199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에 비해 크게 보완 향상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rom March 2012 to January 2013,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project for making a precise electronic ecological zoning map of vegetation on a highly reduced scale of 1 to 5,000 with a view to improving management efficiency of national parks and enlarging the availability of the data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항공사진 등에 의한 조사용 식생도 제작은 상관적으로 균질한 식분만을 구분하기 때문에 현지 식생정보가 단순하다. 따라서 본 조사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고 식생도의 질적 향상과 다양한 식생정보의 분석을 위하여 현지조사 이전에 보다 많은 정보를 입력한 식생조사도면을 이용하여 덕유산 삼림식생의 상관대분류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진행하고 있는 1 : 5,000축척의 생태자연도 정밀화 사업의 일환으로 국립공원 자원모니터링 기본조사 자료의 활용성을 높이고 국립공원 의사결정 도구로써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고축척 식생전자지도의 필요성에 의하여 추진된 결과의 일부이다. 정밀식생도 제작은 국립공원 경계 1 : 5,000 정밀임상도, 특별보호구역지도, 수치지도, 항공영상의 원시자료를 연구 목적에 맞게 가공 변환하여 사용하였다.
  • 이러한 이유는 현존식생에 대한 식생도는 1 : 25,000의 소축적 지형도에 주로 의존하여 조사가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식물군락의 경계가 불확실하여 식생도에 대한 신뢰성이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식생조사용 식생도를 제작하지 않고 임상도, 항공사진 등을 참고하여 조사가 이뤄져 왔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계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해상도 영상자료 등 많은 자료를 참고하여 식생조사용 식생도면을 제작한 후 덕유산내에 분포하는 식생의 상관식생도면 및 식생보전가치평가도면을 작성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발표되었던 덕유산 식생도 관련 연구(Kim, 199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에 비해 크게 보완∙향상된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덕유산은 남쪽으로 어떤 지역과 경계를 이루는가? 덕유산(127°41′~127°50′E와 35°45′~36°00′N)은 태백산맥에서 서남방향으로 갈라진 소백산맥의 소백산(해발고도 1,421 m)과 지리산(해발고도 1,915 m)의 중간에 위치하며, 전라북도 무주군 안성면과 설천면이 동서로, 남쪽으로는 장수군과 경상남도 함양군, 거창군에 경계를 이루고 있다. 향적봉(해발고도 1,614 m)을 주봉으로 하여 북서쪽으로 두문산(해발고도 1,052 m)과 적상산(해발고도1,029 m), 남서쪽으로 덕유산(해발고도 1,594 m), 무룡산(해발고도 1,491 m), 삿갓봉(해발고도 1,420 m), 남덕유산(해발고도 1,507 m)으로 이어지고 있다.
향적봉의 동쪽에는 무엇이 있는가? 산정에서 남북방향으로 뻗은 약 2 km의 능선은 비교적 평탄하나 능선의 서사면은 30°이상의 급경사를 이루고 있고 동사면은 20°미만에 지나지 않으며 산정 가까이에서도 샘이 솟아난다. 향적봉의 동쪽에는 백련사가 있고 하류는 구천동계곡, 남쪽은 칠연계곡을 이루고 있으며 인접한 지역에 민주지산(해발고도 1,242 m), 대덕산(해발고도 1,290 m), 가야산(해발고도 1,430 m), 장안산(해발고도 1,237 m) 등이 있다. 이 지역 일대는 덕유산 향적봉의 표고가 1,614 m,무주읍 내도리 금강변의 표고는 160 m로서 약 1,500 m 고도차가 있다.
덕유산에 우점하는 식생은 무엇인가? 덕유산은 식물구계로 보면 남부아구(Lee, 1978)에 속하며 식물군계로 보면 냉온대 남부에 속한다. 이 지역의 식생은 전체적으로 보아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가 우점하며 해발고도 1,300 m에서부터 아한대성 침엽수인 구상나무(Abies koreana)와 주목(Taxus cuspidata)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산정 부근에서는 관목대로 바뀐다. 덕유산 일대의 삼림식생에 대한 주요 연구는 분류법과 서열법에 의한 덕유산 삼림식생연구(So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raun-Blang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tunde, Wien, 865p. 

  2. Kim, C.H. 199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succession in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Ph. D. Thesis. Won Kwang Univ., 156p. 

  3. Kim, C.H. and B.S. Kil. 1997.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0: 125-132. 

  4. Kim, C.M., C.S. Kim and B.K. Park. 1987. Vegetation Servey Method (Phytosocialogical Study). Ilshin Publish Companion. p. 170. 

  5.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 2009a.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3: 471-484. 

  6. Kim, H.S., S.M. Lee and H.K. Song. 2009b.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Focused on the Forest Vegetation of the Anseong district-.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 1-17. 

  7.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0a. An Analysis of the Vegetation on the Southern and Northern Slopes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4: 601-610. 

  8.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0b.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4: 708-722. 

  9.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1. Actual Vegetation Distribution Status and Ecological Success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25: 37-46. 

  10. Kim, J.W. 2004. Vegetation ecology, Worldscience. p. 308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4. Natural resources survey report on Deongyusan national park. p. 269-319. 

  11.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The actual vegetation map in Deogyusan National park. 117p. 

  12. Lee, C.H., S.M. Ahn and K.S. Lee. 1998. Comparison of Topographic, Vegetation, Scenic Resource Distribution between Natural Preservation Zone and Natural Environment Zone in Mt. Teogyu National Park.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7: 49-62. 

  13. Lee, W.T. 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Dongguk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14. Mining and Materials. 1961. Korea Institue of Geology, Geological Map of Korea.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ural environment. 

  16.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7.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1. Workshop source book of detail actual vegetation mapping in 2011. 

  18. Moon, H.S. 2001. Studies on the Forest Vegetation Structure in Subalpine Zone of Mt. Deokyu National University.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35: 47-54. 

  19. Oh, K.K., S.H. Choi, S.K. Park and S.H. Kim. 2004. Actual Vegetation and Degree of Green Naturality of the Baekdudaegan from the Namdeogyusan to the Sosagogae,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 Ecology 18: 167-174. 

  20. Park, S.T. 1986. An Application of Canonical Analysis on the Distribution of Lichens in Mt. Duckyuoo.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9(3): 135-147. 

  21. Song, H.K., I.S. Woo, S.W. Lee, E.S. Min and L. Nam. 1987.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Deokyu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Research Report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5: 5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