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이용한 영산강하구역 유기물 기원 추정 연구
Determination of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an River using Stable Isotope Ratios (${\\delta}^{13}C$, ${\\delta}^{15}N$)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2, 2013년, pp.175 - 184  

이연정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  정병관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신용식 (목포해양대학교 환경.생명공학과) ,  김성환 (경북대학교 화학과) ,  신경훈 (한양대학교 해양융합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 공간적인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몽탄대교에서 영산강 하구둑에 이르는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연 6회에 걸쳐 수 층 부유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비교하였다.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강우를 통한 외부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암모니아성 질소규산염의 유입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 11월과 8월에 정점 별 유기물의 기원이 크게 차이 났으며, 안정동위원소 비 값을 이용하여 주요 유입원 추정이 가능하였다. 11월에 모든 정점에서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가 무거운 값을 보였고, 인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입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정점에 비해 영산강 하구둑에서 모든 조사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기물 유입이 다른 정점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은 입자성유기물의 기원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rganic carbon and total nitrogen stable isotope ratios of suspended materials were determined at 3 stations (from Mongtan Bridge to Youngsan river estuary barrage) (n=6, each) from November 2008 to August 2009, in order to understand the origin of particulate organic matter at the Estuary of Young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11), 영산강은 주변에 농업 및 축산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으로 이와 같은 기법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나 현재까지 영산강 수층 입자성 물질의 안정동위원소 비 자료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화학적 요인 및 입자성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을 통해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공간적 변화를 추정해보고자 실시되었다.
  • 본 연구는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공간 적인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몽탄대교에서 영산강 하구둑에 이르는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연 6회에 걸쳐 수층 부유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비교하였다.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강우를 통한 외부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암모니아성 질소 및 규산염의 유입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을 통한 탄소의 유입 및 이동을 파악하는 것은 왜 중요한가? 식물플랑크톤이나 육상식물은 1차 생산자로서 이들이 사용한 무기탄소나 무기질소의 기록이 1차 생산자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에 반영되기 때문에 그 기원을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강을 통한 탄소의 유입 및 이동은 전지구적 탄소 순환 관점에서 매우 중요하며(Ludwig et al., 1996; Cole et al., 2007), 특히 하구역은 해양과 연결되어 있으면서 담수에 의한 유입이 존재하기 때문에 육지기원 물질들이 해양으로 유입되는 통로로서 이 환경의 유입원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조사한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조사한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영산강하구역 입자물질 유입원의 시∙공간 적인 변화를 추정해 보고자 몽탄대교에서 영산강 하구둑에 이르는 영산강하구역 세 정점에서 연 6회에 걸쳐 수층 부유 물질의 탄소 및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비교하였다. 모든 정점에서 8월에 강우를 통한 외부기원 유기물의 유입이 증가하였으며, 이 때 암모니아성 질소 및 규산염의 유입 역시 함께 증가하였다. 탄소 안정동위원소 비 측정 결과 11월과 8월에 정점 별 유기물의 기원이 크게 차이 났으며, 안정동위원소 비 값을 이용하여 주요 유입원 추정이 가능하였다. 11월에 모든 정점에서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가 무거운 값을 보였고, 인산염의 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입이 영향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정점에 비해 영산강 하구둑에서 모든 조사 기간 동안 비교적 높은 질소 안정동위원소 비를 보였으며, 이를 통해 축산폐수 및 농경지를 통한 유기물 유입이 다른 정점에 비해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안정동위원소 비 분석은 입자성유기물의 기원을 추정하는데 유용한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층의 유기물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 , 2013). 수층의 유기물은 식물플랑크톤으로부터 만들어지는 자생기원 유기물과 육상식물이나 토양 등 육지에서 유입되는 외부기원 유기물로 이루어져 있다. 식물플랑크톤이나 육상식물은 1차 생산자로서 이들이 사용한 무기탄소나 무기질소의 기록이 1차 생산자에 의해 생성된 유기물에 반영되기 때문에 그 기원을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Cole, J.J., Y.T. Prairie, N.F. Caraco, W.H. McDowell, L.J. Tranvik, R.G. Striegl, C.M. Duarte, P. Kortelainen, J.A. Downing, J.J. Middelburg and J. Melack. 2007. Plumbing the global carbon cycle: integrating inland waters into the terrestrial carbon budget. Ecosystems 10: 171-184. 

  2. Deines, P. 1980. The isotope composition of reduced organic carbon, p. 329-406. In: Handbook of Environmental Isotope Geochemistry, The Terrestrial Environment, A (Fritz, P. and Fontes, J. Ch., eds.). Elsevier, Amsterdam, Oxford, New York. 

  3. Di Lascio, A., L. Rossi, P. Carlino, E. Calizza, D. Rossi and M.L. Costantini. 2013. Stable isotope variation in macroinvertebrates indicates anthropogenic disturbance along an urban stretch of the river Tiber (Rome, Italy). Ecological Indicators 28: 107-114. 

  4. Ehleringer, J.R. 1989. Carbon isotope ratios and physiological processes in aridland plants. Stable isotopes in ecological research. Ecological studies series. Springer-Verlag, New York. pp. 41-54. 

  5. Eppley, R.W., W.G. Harrison, S.W. Chisholm and E. Stuart. 1977. Particulate organic matter in surface waters off California and its relation to photosynthesis. Journal of Marine Research 35: 671-696. 

  6. France, R.L. 1995. Carbon-13 enrichment in benthic compared to planktonic algae: foodweb implications. Marine Ecology Progress series 124: 307-321. 

  7. Fry, B. 1991. Stable isotope diagrams of freshwater foodwebs. Ecology 72: 2293-2297. 

  8. Gal, J.K., M.S. Kim, Y.J. Lee, J. Seo and K.H. Shin. 2012. Foodweb of aquatic ecosystem within the Tamjin River through the determination of carbon and nitrogen isotope ratio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5(2): 242-251. 

  9. Guo, Q., H. Strauss, T.B. Chen, G. Zhu, J. Yang, J. Yang, M. Lei, X. Zhou, M. Peters, Y. Xie, H. Zhang, R. Wei and C. Wang. 2013. Tracing the source of Beijing soil organic carbon: A carbon isotope approach. Environmental Pollution 176: 208-214. 

  10. Hahn, C., V. Prasuhn, C. Stamm and R. Schulin. 2012. Phosphorus losses in runoff from manured grassland of different soil P status at two rainfall intensities. Agriculture, Ecosystems and Environment 153: 65-74. 

  11. Hebert, C.E. and L.I. Wassenaar. 2001. Stable nitrogen isotopes in waterfowl feathers reflect agricultural land use in weastern Canada.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35: 3482-3487. 

  12. Horne, A.J. and C.R. Goldman. 2001. Limnology, 2nd Edition, McFraw-Hill, New York, NY. pp. 113-171. 

  13. Kaiser, D., D. Unger, G. Qiu, H. Zhou and H. Gan. 2013. Natural and human influences on nutrient transport through a small subtropical Chinese estuary.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450-451: 92-107. 

  14. Karlsson, E.S., A. Charkin, O. Dudarev, I. Semiletov, J.E. Vonk, L. Sanchez-Garcia, A. Andersson and O. Gustafsson. 2011. Carbon isotopes and lipid biomarker investigation of sources, transport and degradation of terrestrial organic matter in the Buor-Khaya Bay, SE Laptev Sea. Biogeosciences 8: 1865-1879. 

  15. Kendall, C. 1998. In Isotope Tracers in Catchment Hydrology. Elsevier: New York, NY. pp. 519-576. 

  16. Kim, K.S. and N.I. Lee. 2003. Estimation of pollution loads flowing into Mokpo harbor -centering on pollution loads from land in dry ca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al Engineering 6(1): 11-20. 

  17. Lee, Y.J., J.O. Min, Y.S. Shin, S.H. Kim and K.H. Shin. 2011.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primary productivity in estuary of Youngsan River and Mokpo coastal area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4(4): 327-336. 

  18. Ludwig, W., J.L. Probst and S. Kempe. 1996. Predicting the oceanic input of organic carbon by continental erosion.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0: 23-41. 

  19. Middelburg, J.J. and J. Nieuwenhuize. 1998.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s in suspended matter and sediments from the Schelde Estuary. Marine Chemistry 60: 217-225. 

  20.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Yeongs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2007. A feasibility study of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the Yeonsan Reservoir. 

  21.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New York, pp. 22-25. 

  22. Peterson, B.J. and B. Fry. 1987. Stable isotopes in ecosystem studies. Annual Review of Ecology and Systematics 18: 293-320. 

  23. Post, D.M. 2002. Using stable isotopes to estimate trophic position: models, methods, and assumptions. Ecology 83(3): 703-718. 

  24. Radajewski, S., P. Ineson, N.R. Parekh and J.C. Murrell. 2000. Stable-isotope probing as a tool in microbial ecology. Nature 403(6770): 646-649. 

  25. Ryu, I.K. and C.Y. Lee. 2000. A study on phosphorus loading model for eutrophication response in the Yongsan Lak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Health Society 26(4): 97-104. 

  26. Schwartz, D., A. Mariotti, R. Lanfranchi and B. Guillet. 1986. 13C/12C ratios of soil organic matter as indicators of vegetation changes in the Congo. Geoderma 39: 97-103. 

  27. Shin, W.J. 2010. Hydrogeochemical processes and isotope characteristics of the major rivers in South Korea. Thesis (doctoral). 

  28. Sugimoto, R., A. Kasai, K. Fujita, K. Sakauchi and T. Mizuno. 2011. Assessment of nitrogen loading from the Koso-Sansen Rivers into Ise Bay using stable isotopes. Journal of Oceanography 67(2): 231-240. 

  29. Thornton, S.F. and J. McManus. 1994. Application of organic carbon and nitrogen stable isotope and C/N ratios as source indicators of organic matter provenance in estuarine systems: evidence from the Tay estuary, Scotla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38: 219-233. 

  30. Yang, H.M. 2001. Database and user interface for pollutant source and load management of Yeungsan estuarine lake watershed using GI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8(6): 114-12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