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계 탄소순환 이해를 위한 국내 토양호흡 연구의 고찰
Discussion of Soil Respiration for Understanding Ecosystem Carbon Cycle in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2, 2013년, pp.310 - 318  

이재호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준석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전영문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채남이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재석 (건국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육상생태계의 토양에는 대기의 약 2배에 해당하는 많은 양의 탄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후변화에 의한 기온 상승으로 대기로의 방출에 매우 취약한 상황에 놓여 있다. 한반도의 육상 생태계 토양탄소 수지의 변화예측을 위해 필연적으로 요구되는 다양한 생태계의 토양호흡 자료 수집을 위해 이용되는 방법론, 기기, 기기들 간의 오차, 시공간적인 불균일성, 결측 자료에 대한 보충 (gap filling), 발생원 별 구분 등에 대한 현 상황을 정리하고 그를 바탕으로 국내 토양호흡 연구의 문제점과 과제에 대해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국내의 토양호흡 연구는 기기 간 또는 방법들 간의 오차 보정이나 노력들이 매우 빈약하게 행해져 왔기 때문에 과거 및 현재 축적되는 자료의 품질은 거의 보정되지 않은 상태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들이 해소되지 않고 지금까지와 같은 방식으로 토양호흡 자료가 축적된다면 그 활용성은 매우 낮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장기적인 자료 축적, 토양호흡 조절 메커니즘에 관한 조절 실험, 다양한 생태계, 토성, 토심 등에 대한 자료 역시 장래의 토양권 탄소 동태 변화를 모델 수단으로 예측하는 데에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므로 토양호흡 자료 수집과 함께 수집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장기적인 측면에서 이러한 문제들이 연구자 간에 깊숙이 인식되어 보다 양질의 자료가 생산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erritorial ecosystem, soil has stored considerable amount of carbon, and it is vulnerable to weakness release much of the carbon to atmosphere. In this study, we have been effort realization and discussion to the error between inter-instruments and measurement methods, time and special variatio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적용되는 토양호흡의 측정 방법론과 측정 기기 간의 오차, 시공간적 불균일성, 연속 및 단기 측정에서 결측되는 자료들을 어떻게 gap filling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 토양호흡속도와 양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환경요인, 연속된 토양호흡 자료 구축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육상생태계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가 연구 관심사로 떠오른 이유는? , 2005a). 이러한 이유로 육상생태계 탄소수지에 관한 연구는 기후변화의 예측과 그 결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요소인 관계로 중요한 연구 관심사가 되어 왔다. 육역생태계의 탄소순환에 있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산림생태계의 탄소순환에 대해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다 (Saigusa et al.
토양권 탄소수지는 왜 지구 탄소순환에서 중요하게 취급되어 왔는가? 생태계의 탄소순환에 중요한 요소인 토양권 탄소수지는 기후변화에 따른 온도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지구적 탄소순환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취급되어왔다 (Liang et al., 2003; Lee et al.
토양호흡 분야의 연구가 산림에 국한되어 있는 것을 미루어 볼 때, 어떤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는가? 이와 같이 국내에서도 토양호흡 분야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만 연구의 대부분은 산림에 국한되어 있으며 과수원, 농경지, 초지, 수변 등에 관한 연구는 매우 제한적인 상태이다. 국내의 토양호흡 자료는 주로 산림의 토양호흡에 편중되어 있어 전체적인 국내 생태계 전반에 걸친 탄소수지 평가를 위해서는 산림생태계 이외의 생태계에 대한 자료수집이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더불어 연간의 토양 호흡 값과 같은 단순한 측정을 지양하고 온도, 수분, 리터층 발달, 사면방향, 경사, 암석 노출지, 토성, 토심, 생태 교란지, 유기물함량 변화 등 토양호흡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차이에 따른 토양호흡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 축적이 요구된다. 이러한 자료 수집을 위해서는 생태계 내외에서의 인위적 조절 실험과 더불어 해당 지역에서의 장기간 측정을 통한 자료 축적으로 통해 시공간적인 요소의 변화와 토양호흡과의 관계에 대한 자료가 축적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의미에서 산림청과 환경부 등에 의해 진행되고 있는 장기생태연구 항목에 토양호흡이 포함되어 있는 것은 매우 다행스러운 것이라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Aanderud, Z.T., S.E. Jones, D.R. Schoolmaster Jr., N. Fierer and J.T. Lennon. 2013. Sensitivity of soil respiration and microbial communities to altered snowfall. Soil Biology & Biochemistry 57: 217-227. 

  2. Buchmann, N. 2000. Biotic and abiotic factors controlling soil respiration rates in Picea abies stands. Soil Biology and Biochemistry 32: 1625-1635. 

  3. Burton, A.J., K.S. Pregitzer, G.P. Zogg and D.R. Zak. 1998. Drought reduces root respiration in sugar maple forests. Ecological Application 8: 771-778. 

  4. Burton, A.J., K.S. Pregitzer, R.W. Ruess, R.L. Hendrick and M.F. Allen. 2002. Root respiration in North American forests: effects of nitrogen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across biomes. Oecologia 131: 559-568. 

  5. Chae, N.Y., R.H. Kim, S.U. Suh, T.H. Hwang, J.S. Lee, Y.H. Son, D.W. Lee and J. Kim. 2005. Intercomparison experiment of chamber methods for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using on phytotron System.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1): 107-114. 

  6. Cheng, W. 1996. Measurement of rhizosphere respiration and organic matter decomposition using natural 13C. Plant & Soil 183: 263-268. 

  7. Cheng, W.D., C. Coleman, C.C. Carrol and C.A. Hoffman. 1993. In situ measurement of root respiration and soluble C concentrations in the rhizosphere. Soil Biology & Biochemistry 25: 1189-1196. 

  8. Del Grosso, S.J., W.J. Parton, A.R. Mosier, E.A. Holland, E. Pendall, D.S. Schmel and D.S. Ojima. 2005. Modeling soil $CO_2$ emission from ecosystems. Biogeochemistry 73: 71-91. 

  9. DOE. 1999. Carbon sequestration. State of the science. US Department of Energy (DOE), Washington, DC. 

  10. Epron, D., L. Farque, E. Lucot and P.M. Badot. 1999. Soil $CO_2$ efflux in a beech forest: dependence on soil temperature and soil water content. Annual Forest Science 56: 221-226. 

  11. Fang, C. and J.B. Moncrieff. 2001. The dependence of soil $CO_2$ efflux on temperature. Soil Biology & Biochemistry 33: 155-165. 

  12. Fang, C., J.B. Moncrieff, H.L. Gholz and K.L. Clark. 1998. Soil $CO_2$ efflux and its spatial variation in a Florida slash pine plantation. Plant and Soil 205: 135-146. 

  13. Hanson, P.J., N.T. Edwards, C.T. Garten and J.A. Andrews. 2000. Separating root and soil microbial contributions to soil respiration: A review of methods and observations. Biogeochemistry 48: 115-146. 

  14. Hibbard, K.A., B.E. Law, M. Reichsteine and J. Sulzman. 2005. An analysis of soil respiration across northern hemisphere temperate ecosystems. Biogeochemistry 73: 29-70. 

  15. IGBP. 1998. Terrestrial carbon working group. The terrestrial carbon cycle. Implications for the Kyoto protocol. Science 280: 1393-1394. 

  16. Kirita, H. 1971. Re-examination of the absorption method of measuring soil respiration under field conditions. IV. An improved absorption method using a disc of plastic sponge as absorbent holder. Japan Journal of Ecology 21: 230-244. (in Japanese with English abstract) 

  17. Kucera, C.L. and D.R. Kirkham. 1971. Soil respiration studies in tall grass prairie in Missouri. Ecology 52: 912-915. 

  18. Larionova, A.A., D.V. Sapronov, V.O. Lopes de Gerenyu, L.G. Kuznetsova and V.N Kudeyarov. 2005. Contribution of Rhizomicrobial and Root Respiration to the $CO_2$ Emission from Soil (A Review). Soil Biology 7: 842-854. 

  19. Lee, E.H., J.H. Lim and J.S. Lee. 2010. A review on soil respiration measurement and its application in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4): 264-276. 

  20. Lee, M.S. 2003. Method for assessing forest carbon sinks by ecological processing-based approach-a case study for Takayama station, Japan.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26: 289-296. 

  21. Liang, N., G. Inoue and Y. Fujinuma. 2003. A multi-channel automated chamber system for continuous measurements of forest soil $CO_2$ efflux. Tree Physiology 23: 825-832. 

  22. Liu, Q., N.T. Edwards, W.M. Post, L. Gu, J. Ledford and S. Lenhart. 2006. Temperature-independent diel variation in soil respiration observed from a temperate deciduous forest. Global Change Biology 12: 2136-2145. 

  23. Liu, X., S. Wan, B. Su, D. Hui and Y. Luo. 2002. Response of soil $CO_2$ efflux to water manipulation in a tallgrass prairie ecosystem. Plant and Soil 240: 213-223. 

  24. Lloyd, J. and J.A. Taylor. 1994. On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soil respiration. Functional Ecology 8: 315-323. 

  25. Lund, V. and J. Goksøyr. 1980. Effects of water fluctuations on microbial mass and activity in soil. Microbial Ecology 6: 115-123. 

  26. Maier, C.A. and L.W. Kress. 2000. Soil $CO_2$ evolution and root respiration in 11 year-old loblolly pine (Pinus taeda) plantations as affected by moisture and nutrient availability.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ource 30: 347-359. 

  27. Nakadai, T., H. Koizumi, Y. Usami, M. Satoh and T. Oikawa. 1993. Examination of the method for measuring soil respiration in cultivated land: Effect of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n soil respiration. Ecological Research 8: 65-71. 

  28. Nakadai, T., M. Yokogawa, H. Ikeda and H. Koizumi. 2002. Diurnal changes of carbon dioxide flux from bare soil in agricultural field in Japan. Application of Soil Ecology 19: 161-171. 

  29. Nakane, K., M. Yamamamoto and T. Hiroyuki. 1983. Estimating root respiration rate in a mature forest ecosystem. Japanese Journal of Ecology 33: 397-408. 

  30. Norman, J.M., R. Garcia and S.B. Verma. 1992. Soil surface $CO_2$ fluxes and the carbon budget of a grassland.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97(D17) 18: 845-18,853. 

  31. Parker, L.W., J. Miller, Y. Steinberger and E.G. Whitford. 1983. Soil respiration in a Chihuahuan desert rangeland. Soil Biology & Biochemistry 15: 303-309. 

  32. Pumpanen, J., H. Ilvesniemi, P. Keronen, A. Nissnen, T. Pohja, T. Vesala and P. Hari. 2001. An open chamber system for measuring soil surface $CO_2$ efflux; Analysis of error source related to the chamber system.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106: 7985-7992. 

  33. Raich, J.W., R.D. Bowden and P.A. Steudler. 1990. Comparison of two static chamber techniques for determining carbon dioxide efflux from forest soils. Soil Science Society American Journal 54: 1754-1757. 

  34. Rayment, M.B. and P.G. Javis. 2000.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CO_2$ efflux in a Canadian boreal forest. Soil Biology & Biochemistry 32: 35-45. 

  35. Rout, S.K. and S.R. Gupta. 1989. Soil respiration in relation to abiotic factors, forest floor litter, root biomass and litter quality in forest ecosystems of Siwaliks in northern India. Acta Oecologica 10: 229-244. 

  36. Ryan, M.G. and B.E. Law. 2005. Interpreting, measuring, and modeling soil respiration. Biogeochemistry 73: 3-27. 

  37. Saigusa, N., S. Yamamoto, S. Murayama, H. Kondo and N. Nishimura. 2002. Gross primary production and net ecosystem production of a cool-temperate deciduous forest estimated by the eddy covariance method.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12: 203-215. 

  38. Son, Y.H., G. Lee and J.Y. Hong. 1994. Soil carbon dioxide evolution in three deciduous tree plantation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27(4): 290-295. 

  39. Son, Y.H. and H.W. Kim. 1996. Soil respiration in Pinus rogoda and Larnix leptolepis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5: 496-505. 

  40. Suh, S.U., Y.M. Chun, N.Y. Chae, J. Kim, J.H. Lim, M. Yokozawa and J. Lee. 2005a. A chamber system with automatic open and closing for continuously measuring soil respiration based on an open-flow dynamic method. Ecological Research 21: 406-414. 

  41. Suh, S.U., Y.K Min and J.S. Lee. 2005b. Seasonal variation of contribution of leaf-litter decomposition rate in soil respiration in temperate deciduous forest.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7(1): 57-65. 

  42. Tamai, K. 2010.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soil properties on topographic variations of soil respiration. Biogeoscience 7: 1133-1142. 

  43. Waring, R.H. and S.W. Running. 1998. Forest ecosystem. Analysis at multiple scale. Academic Press, pp. 67. 

  44. Witkamp, M. 1966. Decomposition of leaf litter in relation to environment, microflora and microbial respiration. Ecology 47: 194-201. 

  45. Yuste, J., I. Curiel, A. Janssens and R. Cuelemans. 2005. Calibration and validation of an empirical approach to model soil $CO_2$ efflux in a deciduous forest. Biogeochemistry 73: 209-2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