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지형, 수문, 수질 및 호안 토양 환경요인의 분석
Analysis of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in Reservoirs of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3, 2013년, pp.343 - 359  

조현석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  조강현 (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 저수지에서 호안 환경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위변동폭과 이용 목적에 따라서 35개 저수지를 선정하여 지형, 수문, 수질 및 토양 환경요인을 조사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고 환경 특성에 따라 저수지의 유형을 구분하였다. 저수지의 지형적, 수문적 특성은 그 조성된 곳의 환경과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였다. 저수지의 연수위변동폭은 1~27 m로서 변이가 컸다. 저수지의 수질은 대부분 중영양 혹은 부영양 상태이었다. 호안의 토양 환경은 모래 함량이 많았다. 저수지의 수위변동폭, 빈도 및 기간은 저수지의 이용 목적에 따라서 독특한 특성을 보였다. 홍수조절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고 빈도는 낮았으며 수력발전용 저수지는 수위변동 폭이 크고 빈도가 높았다. 회귀분류 나무(CART)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저수지의 수질은 수심, 수위변동폭 및 고도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주요인분석(PCA)의 결과에 의하면 환경요인에 의하면 저수지의 유형은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폭, 수질 및 토양의 토성과 유기물 함량에 의하여 구분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우리나라 저수지의 호안에서 저수지의 크기, 수위변동폭, 수질 및 호안 토양의 특성이 중요한 환경요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understand shoreline environment characteristics of Korean reservoirs,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environmental factors of geomorphology, hydrology, water quality and shoreline soil were analyzed, and the reservoir type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environmental characteristi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저수지의 설치 목적은? 특히 우리나라에서 저수지는 일반적으로 농어촌 용수를 확보할 목적으로 하천, 하천구역 또는 연안구역 등에 물을 가두어 두거나 관리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KRC, 2010). 시간 및 공간적인 수자원 분포의 이질성을 완화하기 위한 저장 시설인 저수지는 식수 및 생활용수 공급, 공업용수 공급, 수력발전, 농업용 관개, 하천 및 홍수 조절, 상업 및 휴양 목적 수산, 휴양 및 심미적 이용, 운하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Steel and Rast, 1996). 전지구적으로 해양으로 유입되는 총수량의 25%가 저수지에 일단 저장되는 것으로 추정되지만 (Wheal, 1991), 저수지에 대한 수자원 및 생태적 중요성이 과소평가되고 있다(Steel and Rast, 1996).
저수지 호안은 수위변동에 따라 어떤 영향을 받는가? 자연 호수에서는 일반적으로 호안의 수심에 따라서 다양한 생활형의 수생식물이 확장하는 습지대가 발달하며 이 구역을 연안대(littoral zone)라고 한다(Keddy, 2010). 그러나 수위변동 폭이 큰 저수지에서는 수위가 하강하면서 이전에 침수된 지역이 공기 중으로 노출된다. 이런 과정에서 환경이 수생에서 육상으로 급격히 변하고, 이곳 생물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이처럼 최고 수위 아래에서 대기로 노출되는 호안 부분을 수위변동역(drawdown zone)이라고 한다(Abrahams, 2005).
저수지란? 저수지(reservoir)는 제방이나 댐에 의하여 형성되어 특별한 목적으로 관리되는 수체와 용수를 공급하기 위하여 변경되고 관리되는 자연 수체를 통칭한다(Steel and Rast, 1996). 좁은 의미의 저수지는 물 이용을 위하여 하천이나 계곡에 댐을 축조하여 저수하는 인공 호소를 의미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 저수지는 일반적으로 농어촌 용수를 확보할 목적으로 하천, 하천구역 또는 연안구역 등에 물을 가두어 두거나 관리하기 위한 시설을 의미한다(KRC, 2010). 시간 및 공간적인 수자원 분포의 이질성을 완화하기 위한 저장 시설인 저수지는 식수 및 생활용수 공급, 공업용수 공급, 수력발전, 농업용 관개, 하천 및 홍수 조절, 상업 및 휴양 목적 수산, 휴양 및 심미적 이용, 운하용 등의 다양한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Steel and Rast, 199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Abrahams, C. 2005. The ecology and management of drawdown zones. British Wildlife 16: 395-402. 

  2. Abrahams, C. 2006. Sustainable shorelines: the management and re-vegetation of drawdown zones. Journal of Practical Ecology and Conservation 6: 37-51. 

  3. Backeus, I. 1993. Ecotone versus ecocline: vegetation zonation and dynamics around a small reservoir in Tanzania. Journal of Biogeography 20: 209-218. 

  4. Breiman, L., J. Friedman, C.J. Stone and R.A. Olshen. 1984.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s. Wadsworth, Belmont, CA, USA. 

  5. Casanova, M.T. and M.A. Brock. 2000. How do depth, duration and frequency of flooding influence the establishment of wetland plant communities? Plant Ecology 147: 237-250. 

  6. Dean, W.E., Jr. 1974. Determination of carbonate and organic matter in calcareous sediments and sedimentary rocks by loss on ignition: comparison with other methods. Journal of Sedimentary Petrology 44: 242-248. 

  7. Harrell, F.E., Jr. 2012. Package 'Hmisc' . (http://biostat.mc. vanderbilt.edu/Hmisc). 

  8. Hill, N.M., P.A. Keddy and I.C. Wisheu. 1998. A hydrological model for predicting the effects of dams on the shoreline vegetation of lakes and reservoirs. Environmental Management 22: 723-736. 

  9. Hofmann, H., A. Lorke and F. Peeters. 2008. Temporal scales of water-level fluctuations in lakes and their ecological implications. Hydrobiologia 613: 85-96. 

  10. Hutchinson, G.E. 1957. A Treatise on Limnology. Vol. 1. Geography, Physics and Chemistry. Wiley, New York, USA. 

  11. Jeon, J.H., C.G. Yoon, J.H. Ham, H.I. Kim and S.J. Hwang. 2002. Effects of physical parameters on water quality in agricultural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35: 28-35. 

  12. Jeong, J.J. 2005.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toration of the Flood Fluctuation Slopes of the Dam Reservoir.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Cheonan, Korea. 

  13. Keddy, P. and L.H. Fraser. 2000. Four general principles for the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wetlands in large lakes: The role of water levels, nutrients, competitive hierarchies and centrifugal organization. Lakes & Reservoirs: Research and Management 5: 177-185. 

  14. Keddy, P.A. 2010. Wetland Ecology: Principles and Conserv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15. Keddy, P.A. and A.A. Reznicek. 1986. Great Lakes vegetation dynamics: the role of fluctuating water level and buried seeds. Journal of Great Lakes Research 12: 25- 36. 

  16. KHNP. 2012. http://www.khnp.co.kr/. Korea Hydro and Nuclear Power Co., Seoul, Korea. 

  17. Kim, B.C. 2010. Evaluation of Ecological Integrity in Lake Ecosystem. Eco-STAR Project, Chuncheon, Korea. 

  18. Kim, H.J. and H.I. Kim. 2010.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considering effective water depth.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Journal 17: 95-104. 

  19. Kimmel, B.L. and A.W. Groeger. 1984. Factors controlling primary production in lakes and reservoirs: a perspective. Lake and Reservoir Management 1: 277-281. 

  20. KRC. 2010. http://www.ekr.or.kr/. Korea Rural Community Co., Uiwang, Korea. 

  21. KWRC. 2012. http://www.kwater.or.kr/. Korea Water Resources Co., Daejeon, Korea. 

  22. Lee, G.Y., H.D. Kim, G.G. Jeong, K.H. Kim and O.J. Kwon. 2005. Study on the Planning of Water Resource Security by Redevelop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Rural Research Institute, Ansan, Korea. 

  23. Lee, J.Y., J.H. Lee, K.H. Shin, S.J. Hwang and K.G. An. 2007. Torphic Stat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Korean Journal of Limnological Society 40: 223-233. 

  24. Leira, M. and M. Cantonati. 2008. Effects of water-level fluctuations on lakes: an annotated bibliography. Hydrobiologia 613: 171-184. 

  25. Naselli-Flores, L. and R. Barone. 2005. Water-level fluctuations in Mediterranean reservoirs: setting a dewatering threshold as a management tool to improve water quality. Hydrobiologia 548: 85-99 

  26. Oksanen, J., F.G. Blanchet, R. Kindt, P. Legendre, P.R. Minchin, R.B. O' Hara, G.L. Simpson, P. Solymos, M.H.H. Stevens and H. Wagner. 2012. Package 'vegan' , Community Ecology Package. (http://vegan.r-forge.rproject. org). 

  27. OriginLab Corp. 2009. Origin. Northampton, MA, USA. 

  28. R Core Team. 2012. R: A Language and Environment for Statistical Computing. Vienna, Austria. (http://www.Rproject. org). 

  29. RAWRIS. 2012. http://rawris.ekr.or.kr/. Rural Agricultural Water Resource Information System, Uiwang, Korea. 

  30. Riis, T. and I. Hawes. 2002. Relationships between water level fluctuations and vegetation diversity in shallow water of New Zealand lakes. Aquatic Botany 74: 133- 148. 

  31. SAS Institute Inc. 2009. SAS/STAT. SAS Institute Inc, Cary, NC, USA. 

  32. Sheldrick, B.H. and C. Wang. 1993. Particle size distribution, p. 499-511. In: Soil Sampling and Methods of Analysis. (Carter, M.R. ed.). Canadian Society of Soil Science, Lewis Publishers, London, UK. 

  33. Steel, J.T.A. and W. Rast. 1996. Reservoirs. Chapter 8. In: Water Quality Assessments - A Guide to Use of Biota, Sediments and Water in Environmental Monitoring. (Chapman, D. ed.). UNESCO/WHO/UNEP. 

  34. Therneau, T., B. Atkinson and B. Ripley. 2012. Package 'rpart'. (http://cran.r-project.org). 

  35. Thornton, K.W., B.L. Kimmel and F.F.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 Ecological Perspectives. Wiley, New York, USA 

  36. WAMIS. 2012. http://www.wamis.go.kr/. Wa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eoul. 

  37. Wheal, C. 1991. Freshwater Pollution. UNEP Environment Library, No. 6. Nairobi, Kenya. 

  38. WIS. 2012. http://water.nier.go.kr/. Water Information System, Seoul, Korea. 

  39. Yoon, K.S., K.S. Lee, H.J. Kim and H.I. Kim. 2003. Classification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of agricultural reservoirs. Magazine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45: 6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