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영양상태 및 수질특성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Agricultural Reservoirs 원문보기

한국육수학회지 = Korean journal of limnology, v.40 no.2, 2007년, pp.223 - 233  

이재연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이재훈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  신경훈 (한양대학교 해양환경과학과) ,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2002{\sim}2005$년까지 측정된 한국농촌공사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공간별 저수지의 부영양화 및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다. TN에 의거하였을 때, 대다수(전체의 88%)의 저수지는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OECD 기준에 의거하여 산정한 TP에 의한 영양상태에서는 전체 저수지의 26%가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고, 71%는 중영양, 3%는 빈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계절적 변이는 강우 집중기인 7월에서 8월 사이에 강하게 나타나고 있었으며, 전기전도도, COD, SS, TN, TP 및 CHL 값은 강우 후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P는 전기전도도와 COD 농도가 높은 저수지에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고 있었으며, TP의 증가에 따라 CHL의 농도도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D와 SS는 집중 강우해에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으며, TP와 CHL은 가뭄해에 비하여 약 2배정도 높은 수치를 기록하였다. 이는 인근 점 비 점오염원으로부터 장마 기간에 유기물 및 부유물, 영양염의 다량 유입이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회귀분석에서는 TN: TP 비와 TP가 매우 높은 상관관계 ($R^2$=0.84, p<0.001, n=34)를 보였으며, CHL과 TP는 1차 함수관계 $(Log_{10}TP=0.5{\times}Log_{10}CHL+0.086)$를 보였다. TN, TP, CHL에 의거한 유사도 분석에서는 약 90% 수준에서 염도가 높으면서 해양 인접 지역에 위치한 그룹, 염도가 낮으면서 내륙에 위치한 그룹, 그리고 뚜렷한 위치 특성을 보이지 않는 중간적인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is study, we analyzed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trophic state and water quality over the period of $2002{\sim}2005$, using the water chemistry dataset obtained from the Korea Rural community & Agriculture corporation. Most reservoirs, based on TN, showed eutrophic (about 88%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2002~2005년까지 측정된 한국농촌공사의 수질측정자료를 이용하여 계절별, 공간별 저수지의 부영양화 및 수질 특성을 분석하였다.TN에 의거하였을 때 대다수(전체의 88%)의 저수지는 부영양 상태로 나타났다.
  • 따라서 국내 저수지의 수리수문학적 특성 및 계절적 강우의 영향을 고려한 경험적 모델 (Empirical model)의 개발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저수지의영 양상태 (Trophic state) 및 수질특성 을 파악하고, 둘째 ,계절적 몬순 및 연별 강우분포에 따른 수질특성의 변이 및 경향성을 분석하는 것이며, 셋째, TP-CHL 및 TN- CHL의 경험적 모델의 분석을 통해 부영양화 변수 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저수지의 수질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환경연구원. 1999. 호수내 조류 대 발생에 대한 수면제어 기술에 관한연구 (II). 팔당호 수역을 중심으로 한 제어기술의 개발 

  2. 김범철, 전만식, 황순진, 김재옥. 1999. 소양호 동, 식물플랑크톤의 계절 변동. 환경 연구 16: 292-299 

  3. 김호섭, 황순진. 2004.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육수학적 특성-계절에 따른 수질변화. 육수지 37(2): 180-192 

  4. 남귀숙, 장정렬, 이광식, 윤경섭, 이상준. 2003. 중산간 농업용 만운저수지의 수질환경특성. 한국환경농학회지 22(1): 16-25 

  5. 농림부, 농업기반공사. 2001-2005.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조사 보고서 

  6. 농업기반공사. 2005. 효율적인 농업용 저수지 용수확보 및 이용방안 연구. 농어촌연구원 

  7. 안광국, 서진원, 박석순. 2001. 대청호의 취수탑 주변의 이화학적, 생물학적 상태에 대한 계절경강우의 영향. 육수지 34(4): 327-336 

  8.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육수지 38(1): 54-62 

  9. 이재수, 김영철, 황길순. 2003. 장마 전,후의 농업용 저수지 퇴적물의 변화분석. 대한토목학회지 23(4): 359-368 

  10. 이혜원, 안광국, 박석순. 2002 소양호 표층수 수질의 연별 추이 및 상 . 하류 이질성 분석. 육수지 35(1): 36-44 

  11. 전지홍, 윤춘경, 함종화, 김호일, 황순진. 2002.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인자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육수지 35(1): 28-35 

  12. 최광순, 김범철, 박주현, 허우명, 임병진, 황길순, 최종수. 2001. 국내 주요 호수의 육수학적 조사(4): 주암호. 육수지 34(1): 30-44 

  13. 최선화, 김호일. 2002. 우리나라 수자원과 농업용수 수질오염 실태. 농어촌과 환경 12(1): 93-103 

  14. 최진규, 손재권, 구자웅, 김영주. 2001. 보령담수호 유역내 농업용저수지의 수질 변화. 농촌계획 7(1): 89-98 

  15. 한명수, 유재근, 유광일, 공동수. 1993. 팔당호의 생태학적 연구 -1. 수질의연변화: 과거와 현재. 육수지 26(2): 141-149 

  16. Datta. S.K. 1987. Nitrogen transformation processes in relation to improved cultural practices for lowland rice. Plant and Soil 100: 47-69 

  17. Datta. S.K. 1995. Nitrogen transformation in wetland rice ecosystems. Fertilizer Research 42: 193-203 

  18. Faithful, J.W and D.J, Griffiths. 2000. Turbid folw through a tropical reservoir (Lake Dalyymlpe, Queenland, Australia): Reponses to summer storm event. Lake & Reservoir Management 5: 231-247 

  19. Fillery, I.R., J.R Simpson and S.K. Datta. 1986. Contribution od ammonia volatilization to total nitrogen loss after applications of urea to wetland rice fields. Fertilizer Research 8: 193-202 

  20. Forsberg, O., S.-O. Ryding. 1980. En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 Hydrobiol. 89: 189-207 

  21. Fuhimoto, N. and R. Sudo. 1997. Nutrient-limited growth of Microcystis aeruginosa and Phormidium tenue and competition under various N : P supply ratios and temperatures. Limnol. Oceonogr. 42: 250-256 

  22. Goldman, J., D.A. Caron and M.R. Dennet. 1987. Nutrient cycling in a microflagellate good chain, 4. phytoplankton-microflagellate interactions. Mar. Ecol. Prog. Ser. 38: 75-87 

  23. Hutchison, C.E. 1957. A Teraties on limnology. I, Geography Physics and Chemistyr. New York, Jhon Wiley and Sons Inc. 1015pp 

  24. Hwang, S.J., C.G. Yoon and S.K. Kweon. 2003. Water quality and limnology of Korean reservoirs. Paddy & Environment 1: 43-52 

  25. OECD. 1982. Eutroph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evelopment. Paris, France, 154pp 

  26. Smith, V.H. 1983. Low nitrogen to phosphorus ratios favor dominance by blue-green algae in lake phytoplankton. Science. 221: 669-67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