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자연상징물(새, 꽃, 나무)의 다양성과 분포: 생물다양성의 인식도 평가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Natural Symbol Species as Local Government's Symbols (Bird, Flower, Tree): Identifying the Public Awareness on Biodiversity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3, 2013년, pp.419 - 428  

도윤호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지윤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임란영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최기룡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생명과학전공) ,  주기재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일반인들의 생물다양성 인식정도를 지방자치단체 및 기초자치단체의 자연상징물 (새, 꽃, 나무)의 종수로 파악한 결과 전체 종다양성은 40목 59과 90속 114종이 자연 상징물로 지정되어 있었다. 상징새 38종, 꽃 40종, 나무 36종이 지정되어 있었으며, 새는 까치, 꽃은 철쭉, 나무는 은행나무가 높은 빈도로 지정되었다. 연안에 위치한 지역에서는 갈매기과에 속한 새와 동백꽃, 소나무과에 속한 종을, 내륙에서는 까치나 비둘기와 같은 텃새류와 진달래과에 속한 식물종 등 주변에서 흔히 관찰되는 종들이 자연상징물로 지정되어 있었다. 자연상징물로 지정된 종들은 크기가 크거나 화려하며 대중적으로 인식정도 높은 종을 선정하였기 때문에 지역간 중복지정된 종들이 많았다. 대중들이 관심을 갖는 생물종들에 대한 정보가 축적되면 깃대종 또는 상징종을 지정기준을 설정하고 서식처 보전에 상징종을 이용하는 방안을 수립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identified the diversity, geographical distribu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birds, trees, and flowers species designated as local government symbols as a means for understanding public awareness on biodiversity. A total of 114 species including 48 birds, 40 flowers, 36 tree species belon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ITR 값이 높으면 상위분류군 속에 하위분류군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분류학적 다양성이 높다. 또한 ITR 값이 높은 분류군(목, 과, 속) 수준을 파악하면 해당 수준에 많은 하위분류군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어떤 분류군 수준에서 생물을 인식하고 상징물로 지정하였는지 파악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대중들이 이용하고 인식할 수 있는 종과 각종들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상징종을 이용한 새로운 접근이다. 자연상징물로 지정된 종수는 114종으로 상징물이라는 특성을 고려할 때 이들 종은 대중들이 쉽게 동정 또는 인식할 수 있는 종들이라고 볼 수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중들의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해서 각 지역에서 상징물로 지정한 생물들을 조사하였다. 지방자치단체(지자체)들은 지방분권 이후 지역을 홍보하고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상징(슬로건, 브랜드, 캐릭터 등)을 지정하였다.
  • (2008)은 과학 잡지에 실린 종들의 다양성을 파악하여 대중이 인식하고 있는 생물다양성과 함께 생태적 특성, 즉 크기, 생리적 특성, 멸종위기종 지정유무, 포식유무 등을 파악하여 어떠한 생태적 특성이 대중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며 어떠한 종들을 선호하는지에 대해 연구한 바 있다. 이러한 접근은 대중들이 생물종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대중적인 또는 상징적인 종들을 구분하여 대상종과 생태계를 보전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한 것이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물다양성의 감소가 영향을 미치는 영역은 어디까지인가? 생물다양성에 대한 인간활동의 영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현재에는 다른 어떤 요인보다도 짧은 기간 내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생물다양성의 감소는 단순히 유전자, 생물종, 생태계의 수의 감소뿐만 아니라 생물다양성과 연계된 시장경제(예: 생물자원-의약품 원료)와 비 시장경제(예: 심미적, 윤리적 가치)에 까지 영향을 미친다 (Hooper et al., 2005).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것은? , 2005). 생물다양성을 보전하기 위해서 과학적으로 생물다양성을 위협하는 요인을 찾아 제거하고, 훼손된 생물다양성을 각 수준에서 복원하는 노력이 우선되어야 하겠지만, 생물다양성과 지역 생태계의 가치와 중요성을 전문가보다는 일반시민이 다양한 경로로 인식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Kassas, 2002; Do et al., 2012).
지방자치단체가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해 선정한 상징들 중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것은 무엇인가? 지방자치단체(지자체)들은 지방분권 이후 지역을 홍보하고 이미지를 개선하기 위하여 경제활성화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다양한 상징(슬로건, 브랜드, 캐릭터 등)을 지정하였다. 지자체들의 상징물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것은 동∙식물이다. 특히 시, 군, 구를 대표하는 새(鳥)와 꽃(花), 나무(木)는 각 지자체의 특이성 또는 정체성을 나타내려고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owen-Jones, E. and A. Entwistle. 2002. Identifying appropriate flagship species: the importance of culture and local contexts. Oryx 36: 189-195. 

  2. Caro, T.M. and G. O'Doherty. 1999. On the use of surrogate species in conservation biology. Conservation Biology 13: 805-814. 

  3. Choi, H. and H. Varian. 2012. Predicting the present with google trends. Economic Record 88: 2-9. 

  4. Chol, Y.O., S.H. Kim and W.H. Chung. 2001. Comparative study of the varieties and numbers of the animals and plants in the biology textbooks of secondary schools in South and North Korea. Biology Education 29: 148-154. 

  5. Clucas, B., K. McHugh and T. Caro. 2008. Flagship species on covers of US conservation and nature magazines. Biodiversity & Conservation 17: 1517-1528. 

  6. Do, Y., H.A. Kim, S.B. Kim, R.Y. Im, S.K. Kim and G.J. Joo. 2012. Awareness and exploitation of wetland during the Joseon Dynasty. Korean Journal of Wetland Society 14: 329-340. 

  7. Gotelli, N.J. and R.K. Colwell. 2001. Quantifying biodiversity: procedures and pitfalls in the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species richness. Ecological Letters 4: 379- 391. 

  8. Heerwagen, J.H. and G.H. Orians. 1993. Humans, habitats, and aesthetics, p. 138-172. In: The Biophilia Hypothesis (Kellert, S.R. and E.O. Wilson, eds.). Island Press, Washington. 

  9. Hooper, D.U., F.S. Chapin III, J.J. Ewel, A. Hector, P. Inchausti, S. Lavorel, J.H. Lawton, D.M. Lodge, M. Loreau, S. Naeem, B. Schmid, H. Setala, A.J. Symstad, J. Vandermeer and D.A. Wardle. 2005. Effects of biodiversity on ecosystem functioning: a consensus of current knowledge. Ecological Monographs 75: 3-35. 

  10. Hunter, L.M. and L. Rinner. 2004. The association between environmental perspective and knowledge and concern with species diversity. Society and Natural Resources 17: 517-532. 

  11. Hwang, H.S. 1997. The analysis of korean urban symbolsurban songs, urban birds, urban trees, and urban flowers. Korean Association of Regional Geographers 3: 227-253. 

  12. Jones Jr, S.B. and A.E. Luchsinger. 1979. Plant systematics. McGraw-Hill. 

  13. Jung, C.Y. and M.S. Kim. 2011. A study on regionality of local governments' symbols. Journal of Korean Urban Geographical Society 14: 17-34. 

  14. Kassas, M. 2002. Environmental education: biodiversity. The Environmentalist 22: 345-351. 

  15.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volume 1 and 2). Hyangmunsa. 

  16. Lee, S.S. and K.B. Lee. 2012. Current statue of local governments' symbols. Journal of Chung-Ang Folkloristics 18: 37-210. 

  17. Lee, W.S., T.H. Koo and J.Y. Park. 2005. A field guide to the birds of Korea. LG Evergreen Foundation. 

  18. Lindemann-Matthies, P. 2002. The influence of an educational program on children's perception of biodiversity.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 22-31. 

  19. Lindemann-Matthies, P. 2005. Loveable' mammals and life less' plants: how children's interest in common local organisms can be enhanced through observation of nat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7: 655- 677. 

  20. Lindemann-Matthies, P. and E. Bose. 2008. How many species are there? Public understanding and awareness of biodiversity in Switzerland. Human Ecology 36: 731-742. 

  21. Lofgren, O. 1985. Our friends in nature: Class and animal symbolism. Ethnos 50: 184-213. 

  22.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000. Overview of local governments symbols.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23. Ministry of Home Affairs. 1987. Overview of my hometowns' symbols. Ministry of Home Affairs. 

  24. Nee, S., A.O. Mooers and P.H. Harvey. 1992. Tempo and mode of evolution revealed from molecular phylogenie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89: 8322-8326. 

  25. Simpson, G.G. 1961. Animal Taxonomy. Columbia University Press. 

  26. Whitehead, A.N. 1985. Symbolism: Its meaning and effect. Fordham University Press. 

  27. Zmihorski, M., J. Dziarska-Palac, T.H. Sparks, and P. Tryjanowski. 2013. Ecological correlates of the popularity of birds and butterflies in Internet information resources. Oikos 122: 183-19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