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덕유산 국립공원 적상산 일대 삼림식생의 군락분포에 관한 연구
Community Distribution 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of the Choksang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 원문보기

생태와 환경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v.46 no.3, 2013년, pp.460 - 470  

최영은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김창환 (전북대학교 생태조경디자인학과) ,  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덕유산 국립공원내 적상산 일대의 산지삼림식생은 전체 11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산지낙엽활엽수림, 산지 습성림, 침엽수림, 식재림, 기타식생으로 암벽식생, 농경지 등이 조사되었다. 상관대분류에 의하여 구분된 각각의 산지삼림식생을 보면 산지낙엽활엽수림은 36개 군락으로서 대부분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졸참나무군락 및 이들 종과 혼생림을 이루고 있다. 26개 군락의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군락, 층층나무군락, 들메나무-층층나무군락, 층층나무-들메나무군락이 65.50% 차지하고 있어 적상산 일대 산지 계곡은 대부분이 들메나무와 층층나무에 의하여 강하게 우점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10개 군락의 침엽수림은 소나무군락이 63.27%로 소나무-굴참나무군락, 소나무-신갈나무군락의 14.81%, 12.23% 보다 분포 면적 비율이 높아 적상산 일대 침엽수림은 대부분이 소나무군락이 분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나무군락을 제외한 소나무-신갈나무군락과 소나무-굴참나무군락의 침엽수림대 혼효림은 천이가 진행되면 신갈나무군락으로 군락 대체가 예상되어 이 지역 일대 침엽수림의 분포 면적은 감소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적상산 일대의 식재림은 31개 군락이 조사되었으며 적상산 사면 저지대의 마을, 경작지, 도로와 연접된 부분에 리기다소나무, 일본잎갈나무 등이 비교적 넓은 면적에 조림되어 있어 천이의 진행과 함께 참나무속 수종으로 매우 빠르게 군락이 대체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적상산 일대의 산림식생은 신갈나무, 굴참나무, 소나무, 들메나무, 층층나무와 이들 종들과 혼생군락을 이루고 있는 군락들이 주요 군락을 형성하고 있으며, 천이 및 기후적 요인들에 의하여 산지낙엽활엽수림은 신갈나무, 산지습성림은 들메나무와 층층나무군락으로 천이가 진행 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est vegetation of Choksangsan area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is classified into mountain forest vegetation. Mountain forest vegetation is subdivided into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valley forest, coniferous forest, afforestation and other vegetation. Including 103 communities of mountain...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덕유산국립공원을 적상산 일대, 향적봉 일대, 남덕유산 일대, 거칠봉 일대의 4개 지역으로 구분 하여 비교 ∙ 분석함으로써 향후 덕유산 국립공원의 지역적 특징을 고려한 보전 ∙ 복원 ∙ 관리 ∙ 이용방안에 대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덕유산 국립공원은 언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는가? 덕유산 국립공원은 1971년 전라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4개군에 걸쳐 있으며, 최초의 국립공원 면적은 219.
적상산에는 어떠한 나무가 분포하는가? 이러한 지형 ∙ 지질적 특징으로 인하여 수직 절벽이 형성되었으며, 절벽은 경계로 비교적 뚜렷한 식생대를 형성하고 있다. 적상산은 적상산층의 수직 절벽을 경계로 위쪽에는 한반도 중 ∙ 남부 지역의 냉온대 낙엽활엽수림대와 산악 정상 부근의 표징종으로 나타나는 신갈나무가 우점하며, 절벽 아래쪽에는 굴참나무, 소나무가 주로 분포한다.
덕유산 국립공원의 행정구역은? 덕유산 국립공원은 1971년 전라북도 도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1975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행정구역상으로 전라북도와 경상남도의 4개군에 걸쳐 있으며, 최초의 국립공원 면적은 219.0 km2이었으며 현재는 22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Braun-Blanquet, J. 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tunde, Wien, 865 p. 

  2. Choi, S.H., K.K. Oh and H.M. Kang. 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tin Ridge from Namdeogyusan to Sosajae in the Baekdudaegan.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31-141. 

  3. Choi, Y.E., J.G. Oh and C.H. Kim. 2013. Community Distribution on Forest Vegetation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2): 289-300. 

  4. Choo, G.C. and G.T. Kim. 2004.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 Ridge from Suryeong to Sosagogae in Baekdudaegan, Ko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8(2): 150-157. 

  5. Kim, C.H. 1991.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vegetation and the secondary succeession in Togyusan national park, Korea. Ph. D. Thesis. Won Kwang Univ., 156p. 

  6. Kim, C.H. and B.S. Kil. 1997. Canonical Correspondence Analysis (CCA)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Togyu National Park, Korea. Journal of Ecology and Field Biology 20: 125-132. 

  7. Kim, C.H., J.G. OH and N.S. Lee. 2013. A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46: 33-40. 

  8. Kim, C.H., S.H. Kang and B.S. Kil. 1991. The Vegetation of Mt. Choksang. Korean Journal of Ecology 14: 137-148. 

  9. Kim, H.S., S.M. Lee and H.K. Song. 2010. Vegetation Structure of the Hyangjeokbong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4: 708-722. 

  10. Kim, H.S., S.M. Lee, H.L. Chung and H.K. Song. 2009. A Study of the Vegetation in the Deogyusan National Park- Focused on the deciduous forest at Namdeogyu area-.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23(5): 471- 484. 

  11. Korea Electric Power Corpration. 1985. Environment impact statement report of Muju Pumping-up electric power station. 400p. 

  12. Korea National Parks Service. 2004. Natural resources survey report on Deongyusan national park. p. 269-319. 

  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2. A detailed actual vegetation map project of Deogyusan National Park. 

  14. Ministry of Environment?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06.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guidelines.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09. Survey methods and classification criteria of National Environment. 

  16.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rch. 2008. 3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Muju.Gechang). Ministry of Environment. National Institute of Envrionmental Research. 

  17. Song, H.K., I.S. Woo, S.W. Lee, E.S. Min and L. Nam. 1987. Study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 Deokyu by Classification and Ordination Techniques. Research Reports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Technology 5: 59-7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