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해산 기회성 연체동물의 분포양상
Distribution Patterns of Opportunistic Molluscan Species in Korean Waters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31 no.1, 2013년, pp.1 - 9  

서진영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  이준상 (강원대학교 환경연구소) ,  최진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남해특성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해양환경이 크게 교란을 받고 있는 4개 저서환경을 선택하여 연체동물 중 어떠한 종이 기회종의 특성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기회종의 특성을 보인 5종의 이매패류에 대한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매패류인 애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대양조개(Macoma incongrua), 종밋(Musculista senhousia) 등이 빈 산소 현상을 보이는 반폐쇄성 연안역이나 유기물 축적이 많은 퇴적물을 가진 항만해역에서 우점하여 서식하고 있었으며, 소형 개체인 말발굽조개 (Thyasira tokunagai)와 쇄개량조개 (Raetellops pulchella)는 외해역의 폐기물 해양투기장에서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tried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marine opportunistic mollusks in Korean waters where various environmental stresses have been imposed. Five opportunistic molluscan species were found from four types of disturbed benthic environments around Korea. Theora fragilis, M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해양환경이 크게 교란을 받고 있는 4개 저서환경을 선택하여 연체동물 중 어떠한 종이 기회종의 특성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기회종의 특성을 보인 5종의 이매패류에 대한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매패류인 애기반투명조개 (Theora fragilis), 대양조개(Macoma incongrua), 종밋(Musculista senhousia) 등이 빈산소 현상을 보이는 반폐쇄성 연안역이나 유기물 축적이 많은 퇴적물을 가진 항만해역에서 우점하여 서식하고 있었으며, 소형 개체인 말발굽조개 (Thyasira tokunagai)와 쇄개량조개(Raetellops pulchella)는 외해역의 폐기물 해양투기장에서 우점하는 종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해양환경이 크게 교란을 받고 있는 4개 저서환경을 선택하여 연체동물 중 어떠한 종이 기회종의 특성을 보이는지를 조사하였다. 기회종의 특성을 보인 5종의 이매패류에 대한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004년 이후 한국 주변해역에 조사된 저서생물군집의 자료를 대상으로 다양한 요인으로 저서환경이 교란을 받고 있는 해역을 선정하여 어떠한 저서환경에서 어떠한 기회성 연체동물이 분포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란된 저서환경을 지시하는 기회종에 대한 자료는 향후 저서생물군집의 건강성을 평가하는 자료로서 활용될 것으로 본다.
  • 이상에서 기술한 것과 같이 본 연구에 사용된 저서생물군집 자료는 2004년 이후에 조사된 비교적 최근의 조사 자료로서 기후변화나 인위적인 외래 유입종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고 생각되는 시점의 자료이며, 과거의 조사 자료와 비교해서 기회주의적 연체동물의 변동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태학적인 기회종의 생활사 특성은? 반면에 유기물 부하량 증가로 인하여 민감종이 사라져 빈 생태서식지가 발생하면 이 빈 공간에 정착하기에 유리한 생활사를 가진 종이 들어오게 된다. 빈 공간에 쉽게 가입하는 종들은 대개 짧은 성 성숙 기간, 대량의 자손생산, 연중 재생산 등의 생활사 특성을 가지고 있는 생태학적인 기회종으로 구성된다.
해양 저서생태계 및 저서생물군집에서 기회적인 오염지시종의 비율에 따른 생태 건강 정보는? 해양 저서생태계 및 저서생물군집의 건강도를 평가하는 관점에서 볼 때 이러한 기회적인 오염지시종의 출현 여부는 매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즉, 이들의 군집내 구성 비율이 높으면 그 저서생물군집 또는 그들이 서식하는 저서생태계의 생태학적 질은 그렇지 않은 해역에 비해서 낮다고 간주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저서 건강도지수의 산출은 저서생태계 건강도 평가를 손쉽게 달성할 수 있다.
해양저서생물군집에서 기회종이란? 이러한 생활사 특성을 가진 종들은 유기물 부하량이 많은 곳에서 흔히 발견되기에 일반적으로 유기물 오염지시종으로 알려져 왔고, 환경교란에 따른 군집천이의 초기에 출현하는 종으로 알려져 있다(Pearson and Rosenberg1978). 따라서 해양저서생물군집에 있어서 기회종이란 재생산 전략은 연중 수많은 자손을 생산하는 r-mode 특성을 가지며, 수명은 짧고, 몸체가 작은 개체를 지칭한다. 실제 환경교란이 심하게 일어나는 현장에서는 r-selection 전략을 가진 생물이 유리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국토해양부. 2008. 해양오염영향조사 및 생태계 복원연구. pp. 130-144. 

  2. 국토해양부. 2010. 폐기물 해양배출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VII). pp. 257-284. 

  3. 국토해양부. 2011. 폐기물 해양배출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VIII). pp. 308-407. 

  4. 최진우, 서진영. 2007. 마산만 저서생태계를 중심으로 연안 해역 건강성 평가를 위한 저서생물지수의 적용. Ocean & Polar Res. 29:339-348. 

  5. Dando PR and B Spiro. 1993. Varying nutritional dependence of the thyasirid bivalves Thyasira sarsi and T. equalis on chemoautotrophic symbiotic bacteria, demonstrated by isotope ratios of tissue carbon and shell carbon. Mar. Ecol. Prog. Ser. 92:151-158. 

  6. Dufour SC. 2005. Gill anatomy and the evolution of symbiosis in the bivalve Family Thyasiridae. Biol. Bull. 208:200-212. 

  7. Je JG, S-K Yi and JW Choi. 1988. Distribution pattern of benthic molluscs on the soft bottoms of the southeastern Yellow Sea. Ocean Res. 10:17-27 (in Korean). 

  8. Khan MR and PR Garwood. 1995. Effects of dumping sewage sludge on the infauna along a transect off the coast of Northumberland, England. Pakistan J. Zool. 27:229-232. 

  9. Kim YS, HS Yoon, IW Park, WB Lee, SY Joo and SD Choi. 2008. Annu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and bivalvia communities in Gamak Bay. Korean J. Environ. Biol. 26:279- 291 (in Korean). 

  10. Kiyashko SI, MG Chernyaev and IA Rodionov. 1997. Mixotrophy in shallow-water bivalve molluscs with bacterial endosymbionts: data on stable carbon isotope ratios. Russ. J. Aquat. Ecol. 6:53-57. 

  11. Kodama K and T Horiguchi. 2011. Effects of hypoxia on benthic organissms in Tokyo Bay, Japan: A review. Mar. Pollut. Bull. 63:215-220. 

  12. Koo BJ, J-G Je and S-H Shin. 2004. Benthic pollution assessment based on macrobenthic community structure in Gamak Bay, southern coast of Korea. Ocean and Polar Res. 26:11- 22. 

  13. Kosaka M, M Ogura, K Daimon and K Miyasita. 1971. Studies on the benthic communities in Shimizu harbour and Orido Bay. 1. Phase in summer. J. Coll. Mar. Sci. Technol. Tokyo Univ. 5:9-25. 

  14. Lee JH, J-S Hong and SK Yi. 1983. Studies on the benthic fauna in Garolim Bay, Korea. J. Oceanol. Soc. Korea 18:111-116. 

  15. Lim H-S, RJ Diaz, JS Hong and LC Schaffner. 2006.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recovery in Korean coastal water. Mar. Pollut. Bull. 52:1517-1526. 

  16. Lim H-S and JS Hong. 1997a. Ecology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2. Distribution of the major dominant species. J. Korean Fish. Soc. 30:161-174 (in Korean). 

  17. Lim H-S and JS Hong. 1997b. Ecology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3. Community structure. J. Korean Fish. Soc. 30:175-187 (in Korean). 

  18. Lim H-S and KY Park. 1998. 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the soft bottom of Yongsan river estuary, Korea. 2. The occurrence of summer hypoxia and benthic community. J. Korean Fish. Soc. 31:343-352 (in Korean). 

  19. Ma C-W, SY Hong and H-S Lim. 1995. Macrobenthic fauna of Deukryand Bay, Korea. J. Korean Fish. Soc. 28:503-516 (in Korean). 

  20. Nakamura M, A Shinagawa, K Toda and S Nakao. 1997. Tolerance of 4 bivalves from lakes Shinji and Nakaumi to environmental factors. Suisanzoshoku 45:179-185 (in Japanese). 

  21. Olive PG and IJ Killen. 2002. The Thyasiridae (Mollusca: Bivalvia) of the Brittish continental shelf and North Sea oil fields. An identification manual. Studies in Marine Biodiversity and Systematics from the National Museum of Whales. BIOMOR Rep. 3:1-73. 

  22. Pearson TH and R Rosenberg. 1978. Macrobenthic succession in relation to organic enrichment and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Oceanogr. Mar. Biol. Ann. Rev. 16:229-311. 

  23. Pianka ER. 1970. On r- and K-selection. Am. Nat. 104:592- 597. 

  24. Reznick D, MJ Bryant and F Bashey. 2002. r- and K-selection revisited: the role of population regulation in the life-history evolution. Ecology 83:1509-1520. 

  25. Rozemarijn K, S Christoffer, KJ Anders and W Endre. 2011. Ecology of twelve species of Thyasiridae (Mollusca: Bivalvia). Mar. Poll. Bull. 62:786-791. 

  26. Seo I-S, H-T Moon, B-M Choi, MH Kim, DI Kim, JS Yun, JY Byun, HC Choi and MH Son. 2009.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ic assemblages around the Wolseong nuclear power plant, East Sea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27:341-352 (in Korean). 

  27. Seo J-Y, S-H Park, J-H Lee and J-W Choi. 2012. Structural changes in macrozoobenthic communities due to summer hypoxia in Gamak Bay, Korea. Ocean Sci. J. 47:27-40. 

  28. Sparks-McConkey, PJ and L Watling. 2001. Effects on the ecological integrity of soft-bottom habitat from a trawling disturbance. Hydrobiology 456:73-85. 

  29. Tanaka M and T Kikuchi. 1979. Ecological studies on benthic macrofauna in Tomoe Cove, Amakusa. 3. Life history and population fluctuation of major molluscs. Publ. Amakusa Mar. Biol. Lab. 5:79-115. 

  30. Weisberg SB, JA Ranasinghe, DM Dauer, LC Schaffner, RJ Diaz and JB Frithsen. 1997. An estuarine benthic index of biotic integrity (B-IBI) for the Chesapeake Bay. Estuaries 20:149-1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