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토양의 물리.화학적 성질과 생강 생육과의 관계
Relations between Soil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Ginger Growth 원문보기

韓國有機農業學會誌 = Korean journal of organic agriculture, v.21 no.2, 2013년, pp.283 - 294  

김동진 (전북대학교 대학원 농화학과) ,  안병구 (전라북도농업기술원 기후변화대응과) ,  이진호 (전북대학교 생물환경화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생강 재배지 토양의 물리 화학적 특성 변화, 생강의 양분 흡수 관계, 생강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시험 전 토양과 생강 수확 후 토양 특성을 비교하면, 시험 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04{\sim}0.13g\;kg^{-1}$, 치환성 K는 $1.88{\sim}2.80cmol_c\;kg^{-1}$, 치환성 Mg는 $0.41{\sim}0.55cmol_c\;kg^{-1}$, 수확 후 토양의 전질소 함량은 $0.31{\sim}0.95g\;kg^{-1}$, 치환성 K는 $0.47{\sim}1.37cmol_c\;kg^{-1}$, 치환성 Mg는 $1.07{\sim}1.97cmol_c\;kg^{-1}$로서 전질소 함량과 치환성 Mg의 함량은 증가하였고, 치환성 K의 함량은 감소하였다. 식물 양분 중 K, Ca, Zn, Cu의 흡수량이 지상부에서, 망간의 흡수량은 지하부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K의 흡수량은 지상부에서 $63.9{\sim}72.3g\;kg^{-1}$, 지하부에서 $27.6{\sim}37.3g\;kg^{-1}$로서 특히 높은 함량을 보였다. 생강 중 K의 높은 흡수량으로 인하여 토양 중 치환성 K의 함량이 수확 후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생강의 뿌리썩음병은 저지대 및 식양토에서 높은 병발생률을 보였는데, 저지대로의 수분이동과 저지대의 배수 취약성이 병발생을 증가시키고, 토양수분 보유력이 높은 식양토 또한 병발생 증가에 영향을 준 것으로 생각된다. 뿌리썩음병 발생률은 낮게는 26.7%에서, 높게는 88.1%로 나타났는데, 생강 성숙기인 8월과 9월의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도 높은 뿌리썩음병 발생의 원인으로 보인다. 생강 뿌리썩음병은 토양의 토성 및 지형 조건에 따른 토양수분의 증가, 고온다습한 기후 조건 등에 따라 발생률이 증가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생강 재배지 선정시 지대의 경사, 토성, 배수 system 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oot-rot disease is a serious problem in ginger cultivation fields and it reduces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ging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fferent soil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n the changes of ginger growth. As comparing the selected soil chemical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토양의 질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그리고 생화학적인자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러한 토양의 특성은 관리에 있어서 민감한 변화가 요구된다(Elliott, 1994).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강 재배 과정 중 나타나는 토양의 물리 ․ 화학적 특성 변화, 생강의 양분 흡수 관계, 생강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의 생강 주요 생산지는? 생강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에 기록된 작물로서 1,018년 이전에 도입되어 토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리고, 전북 완주, 충남 서산, 태안 등이 우리나라 주요 생산지이며, 주요 환금작물로 재배되고 있다(Kim 등, 1996; Lee와 Lee, 1998). 우리나라의 지난 10여 년 동안 생강 재배 면적은 2000년 1,656ha, 2011년 2,074ha(MAF, 2006; MFAFF, 2012)로서 매년 약간의 증감 변화는 있으나 꾸준히 재배되고 있다.
생강이란 무엇인가? 생강(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Zingiberaceae), 시티미네목(Scitamin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자극적인 향의 뿌리작물이며 매년 재배되고 있다(Kandiannan 등, 2009). 생강은 우리나라를 포함하여 동남아시아뿐만 아니라 아프리카, 유럽, 중남미 등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에 기록된 작물로서 1,018년 이전에 도입되어 토착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생강에 나타난 뿌리썩음병 피해는? 그러나 동일한 경작지에서 생강을 연작하거나 다른 작물과 윤작할 경우 생강의 생산량은 감소하게 되며, 이러한 작부체계에서 생강 파종 후 본엽의 출현이 지연되게 된다(Lee 등, 1981). 생강의 뿌리썩음병은 세계적으로 생강의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주요한 병해이며, 인도와 같은 열대지방에서는 뿌리썩음병으로 인하여 50~90%의 생산량이 감소한다(Dohroo, 2005). 그리고 뿌리썩음병은 재배 중기부터 발병하여 그 피해가 심각한데, 발생 시기에 따라 5~70%의 감수율을 보이기도 한다(Lee 등, 199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gassi, M., D. Bloem, and M. Ben-Hur. 1994. Effect of drop energy and soil and water chemistry on infiltration and erosion. Water Resour. Res. 30(4): 1187-1193. 

  2. Ahn, B. K., K. C. Kim, D. H. Kim, and J. H. Lee. 2011. Effects of soil water potential on the moisture injury of Rubus coreanus Miq. and soil properties. Korean J. Soil Sci. Fert. 44(2): 168-175. 

  3. Cho, J. H., S. M. Oh, S. P. Lee, and S. D. Bea. 1996. Effects of irrigation time on growth and yield of Dioscorea batatas DECN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4(3): 205-211. 

  4. Dick, R. P. 1992. A review : long-term effects of agricultural systems on soil biochemical and microbial parameters. Agric. Ecosyst. Environ. 40: 25-36. 

  5. Dohroo, N. P. 2005. Disease of ginger, p. 305-340. In: Ravindran, P.N. and K. Nirmal Babu. Ginger: The Genus Zingiber. CRC Press, Boca Raton, FL, USA. 

  6. Elliott, E. T. 1994. The potential use of soil biotic activity as an indicator of productivity, sustainability and pollution, p. 250-256. In: Pankhurst, C. E., B. M. Doube, V. V. S. R. Gupta, and P. R. Grace (Eds.). Soil biota: Management in Sustainable Farming Systems. CSIRO, Melbourne, Australia. 

  7. Gee, G. W. and J. W. Bauder. 1986. Particle size analysis, p. 383-411. In: Klute, A. Method of soil analysis part I. (2nd ed.). America Society of Agronomy, Madison, WI, USA. 

  8. Kandiannan, K., Utpala Parthasarathy, K. S. Krishnamurthy, C. K. Thankamani, V. Srinivasan. 2009. Modeling individual leaf area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using leaf length and width. Sci. Hort. 120: 532-537. 

  9. KFDA. 2012. Standards and specifications of Food.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Korea. 

  10. Kim, C. H., K. D. Hahn, and K. S. Park. 1996. Survey of rhizome rot incidence of ginger in major production areas in Korea. Korean J. Plant Pathol. 12(3): 336-344. 

  11. Kim, C. H., S. S. Yang, and D. K. Hahn. 1997. Ecology of ginger rhizome rot development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Korean J. Plant Pathol. 13: 184-190. 

  12. Kim, C. H. 2004. Review of researches on rhizome rot of ginger and future tasks for its management in Korea. Res. Plant Dis. 10(2): 87-93. 

  13. Kim, J. K, M. S. Kim, B. H. Bak, and D. Y. Yang. 2007. The effects of mud content, slope angle, and soil water changes on interrill erosion using by single-sized multi-drop rainfall simulator. J.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4(3): 115-121. 

  14. KMA. 2012.Observational data : past data. http://www.kma.go.kr/weather/observation/past_table.jsp. 

  15. Lee, M. T., C. J. Asher, and A. W. Whilley. 1981. Nitrogen nutrition of ginger effect of nitrogen supply on growth and development. Field Crops Res. 4: 55-68. 

  16. Lee, W. H. and D. K. Lee. 1998. Ecology of rhizome rot incidence of ginger and relation of soil texture, chemistry and biology. Korean J. Environ. Agri. 17(1): 1-4. 

  17. Lee, W. H., S. S. Cheong, and I. Y. So. 1990. Properties of suppressive and conducive soils to ginger rhizome rot. Korean J. Plant Pathol. 6(3): 338-342. 

  18. MAF. 2006. Agricultural and forestry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Korea. 

  19. MFAFF. 2012.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tatistical yearbook.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Korea. 

  20. NAAS. 2010. Fertilization standard on crop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1. NAAS. 2010. Method of soil and plant analysis.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22. Pegg, K. and G. Stirling. 2010. Ginger, p. 143-147. In: Persley, D., T. Cooke, and S. House (Eds.). Diseases of vegetable crops in Australia. CSIRO Publishing, Collingwood, Australia. 

  23. Shin, J. H., B. D. Yun, H. J. Kim, S. J. Kim, and D. Y. Chung. 2012. Soil environment and soil-borne plant pathogen causing root rot disease of Ginseng. Korean J. Soil Sci. Fert. 45(3): 370-376. 

  24. Shinsu, T. 1978. Ecology and control of rhizome rot of ginger. Plant Prot. 32: 467-470. 

  25. Shinsu, T. 1984. Rhizome rot of ginger and its control. Plant Prot. 38: 233-236. 

  26. Stirling, A. M. 2004. The Causes of poor establishment of ginger(Zingiber officinale) in Queensland, Australia. Aust. Plant Path. 38: 453-460. 

  27. Stirling, G. R., U. Turaganivalu, A. M. Stirling, M. F. Lomavatu, and M. K. Smith. 2009. Rhizome ro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caused by Pythium myriotylum in Fiji and Australia. Aust. Plant Path. 38: 453-460. 

  28. Yang, K. D, H. M. Kim, W. H. Lee, and I. Y. So. 1988. Studies of rhizome rot of ginger caused by Fusarium oxysporum f. sp. zingiberi and Pythium zingiberum. Korean J. Plant Pathol. 4: 271-277. 

  29. Yang, W., Q. Xu, H. X. Liu, Y. P. Wang, Y. M. Wang, H. T. Yang, and J. H. Guo. 2012. Evaluation of biological control agents against Ralstonia wilt on ginger. Biol. Control 62: 144-15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