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연직강우레이더와 광학우적계 관측자료를 이용한 2012년 여름철 남해안 강우사례 분석
Analysis of Summer Rainfall Case over Southern Coast Using MRR and PARSIVEL Disdrometer Measurements in 2012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3 no.3, 2013년, pp.265 - 273  

문지영 (기상청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  김동균 (기상청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  김연희 (기상청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연구과) ,  하종철 (기상청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  정관영 (기상청국립기상연구소예보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investigate properties of cloud and rainfall occurred at Boseong on 10 July 2012, Raindrop Size distributions (RSDs) and other parameters were analyzed using observation data collected by Micro Rain Radar (MRR) and PARticle SIze and VELocity (PARSIVEL) disdrometer located in the National center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2 km 고도까지 총 32개 층의 연직프로파일을 산출하며, 연직해상도는 200 m이다. 광학우적계는 발신부에서 조명된 650 nm 파장대의 레이저 빔이 수신부에 도달되기 전 낙하된 강우의빔 차단효과에 따른 강우입자와 종단속도를 측정하고, 입자의 크기와 낙하속도를 32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광학우적계와 연직강우레이더의 시간해상도는 1분이며, 상세한 규격은 Table 1과 같다.
  • 이처럼 강우입자의 크기분포나 강우강도 및 미세물리 과정에 따른 강우 파라미터에 대한 연구는 국외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아직 이와 관련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직강우레이더(Micro Rain Radar, MRR)와 광학우 적계(PARticle Size and VELocity, PARSIVEL)의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2012년 여름철 7월 10일 강우사례에 대하여 산출된 강우 파라미터의 시계열과 시간-고도면의 특성, 상관관계, 그리고 반사도를 카테고리별로 분류하여 그에 대한 강우 파라미터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 또한 강우유형에 따른 파라미터의 특성을 알아보고자 반사도를 기준으로 다음의 세 구간으로 구분하고, 구간별 강우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을 비교분석 하였다; Category 1: Z > 40 dBZ, Category 2: 30 < Z <40 dBZ, Category 3: Z < 30 dBZ.
  • 또한, 강우율과 반사도, 평균입자직경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실시하였으며, Fig. 3은 레이더 반사도 인자(Z)와 강우율(R)의 산포도 및 관계식을 나타낸 것으로, 0.1 mm h−1 이하의 강우에 대해서는 나타내지 않았다.
  • 또한, 강우입자 크기분포를 구성하는 모양(µ), 인터셉트(N0), 기울기(Λ) 파라미터에 대해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연직강우레이더와 광학우적계는 비슷한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이 논문에는 광학우적계의 결과만 나타냈다.
  • 또한, 연직강우레이더와 광학우적계의 자료를 이용 하여 반사도 카테고리에 따른 강우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사한 결과를 보였기 때문에 이 논문에는 광학우적계의 결과만 나타냈다. Figure 8은 카테고리별 강우율과 반사도 인자의 산포도 및 관계식으로, Z-R 관계식에서 Category 1은 Z =260.
  • 본 연구에서는 강우유형에 따른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사도를 기준으로 다음의 세 구간(대류형, 중립, 층운형)으로 분류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Category 1: Z(reflectivity) > 40 dBZ, Category 2: 30 < Z < 40 dBZ, Category 3: Z < 30 dBZ.
  • 광학우적계는 지상에서 강우 파라미터를 직접 관측하고, 연직강우레이더는 대기중의 강우입자들로부터 원격으로 반사되어 오는 마이크로파의 후방산란신호를 이용하여 강우 파라미터와 입자의 크기분포를 산출한다. 본 연구에서는 강우율(R)과 반사도(Z), 평균입자직경(Dm)의 시계열 및 강우율에 대한 반사도와 평균입자직경의 상관관계, 강우입자 크기분포(RSD) 등의 파라미터에 대하여 광학우적계와 연직강우레이더 장비(200 m의 관측값)의 관측자료를 비교하고, 6.2 km 의 높이까지 관측 가능한 연직강우레이더 자료를 이용하여 시간-고도면에 대한 반사도와 강우율, 낙하속도 등을 분석하였다. 연직강우레이더는 강한 상승•하강기류에 의해 나타나는 오차와 고도 증가에 따른 감쇠현상이 크고, 이 연구에서는 강우의 특성을 파악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융해층(melting layer) 아래의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보성지점에서 하루 57.5 mm의 강우가 내린 2012년 7월 10일의 사례에 대하여 강우 파라미터를 분석하였다. Figure 1은 7월 10일 1300 UTC 부터 2100 UTC까지 8시간 동안, 보성 국가위험기상 집중관측센터에서 연직강우레이더에 의해 관측된 레이더 반사도와 강우율, 낙하속도, 그리고 연직속도의 시간-고도면을 나타낸 것으로, 연직속도 w는 Atlas et al.
  • 본 연구에서는 연직강우레이더와 광학우적계의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7월 10일 1300 UTC부터 2100 UTC 까지 8시간의 기간에 대하여 시계열 및 강우 파라미터 사이의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7월 10일 사례는 시간-고도면에서 1700 UTC 부터 1810 UTC까지 4.
  • 연직강우레이더는 고도증가에 따라 감쇠현상이 크고, 강우의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어 융해층(melting layer) 이상의 고도부터는 얼음입자(ice particle)가 존재하기 때문에 약 5.2 km AGL의 융해층까지만 분석 하였다. 1700 UTC부터 1810 UTC까지는 4.

대상 데이터

  • 7월 10일 사례는 시간-고도면에서 1700 UTC 부터 1810 UTC까지 4.5 km AGL 부근의 약한 밝은띠 (bright band)와 함께 그 아래 7.0 m s−1가 넘는 높은 낙하속도가 관측되어 상대적으로 강한 하강기류가 존재하였고, 1600 UTC부터 1700 UTC까지와 1820 UTC 부터 1940 UTC까지는 강한 상승기류가 존재하였다.
  •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료는 전라남도 보성군(34.76oN,127.16oE)에 위치한 보성 국가위험기상집중관측센터 (National Center for Intensive Observation of Severe Weather, NCIO)에서 관측된 광학우적계와 연직강우레이더의 관측자료이며, 분석한 강우사례는 장마전선 상에서 발달한 저기압의 영향으로 일강수량이 57.5 mm 인 2012년 7월 10일이다.
  • 연직강우레이더는 강한 상승•하강기류에 의해 나타나는 오차와 고도 증가에 따른 감쇠현상이 크고, 이 연구에서는 강우의 특성을 파악 하는 것이 목적이므로 융해층(melting layer) 아래의 자료만을 사용하였다.
  • 1 GHz(k-band) 주파수를 사용하는 주파수 변조 연속파(Frequency Modulated Continuous Wave, FMCW) 방식의 연직지향 도플러레이더로서, 주파수가 선형 변조된 전자기파를 대기 중에 연직으로 발사하여 입자들에 의해 반사되는 신호를 이용해 각 고도별로 강우율과 강우입자 크기분포 등을 산출한다. 최대 6.2 km 고도까지 총 32개 층의 연직프로파일을 산출하며, 연직해상도는 200 m이다. 광학우적계는 발신부에서 조명된 650 nm 파장대의 레이저 빔이 수신부에 도달되기 전 낙하된 강우의빔 차단효과에 따른 강우입자와 종단속도를 측정하고, 입자의 크기와 낙하속도를 32개 등급으로 구분한다.

이론/모형

  • 연구에서 사용된 강우 파라미터들은 아래의 모멘트 방법을 사용하여 산출하였다(Tokay and Short, 1996; Chu and Su, 2008; Williams and Gage, 200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위험기상의 예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무엇이 요구되고, 중요한가? 이러한 기상 재해 예방을 위해 자료동화를 이용한 모델의 개선 등 지속적으로 예측성 향상을 도모해 왔지만, 시공간적으로 급변하는 강우의 패턴 및 강도를 정확히 예측하기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존재한다(국립기상연구소, 2010). 따라서 위험기상의 예측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고해상도의 시공간 강우자료가 요구되며, 이러한 점에서 강우시스템의 발달과 이동의 탐지 능력이 뛰어나고 다양한 시공간 기상정보를 제공하는 지상레이더를 이용한 관측 및 분석 연구가 매우 중요하다(국립기상연구소, 2010).
강우시스템 내의 미세물리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강우입자 크기분포와 관련 강우 파라미터들을 산출하는 과정이 필수적인 이유는 무엇인가? 이러한 산출과정은 강우시스템 내의 미세물리및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그 이유는 강우입자 크기분포는 병합, 깨짐(breakup), 응결, 증발, 눈의 융해와 같은 미세물리 과정에 의해 결정 되고, 강우시스템에서 미세물리 과정에 따라 시공간 적으로 변하기 때문이다(Zhao et al., 2011).
강우관측에서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한편, 레이더를 이용한 강우관측에도 강우입자의 크기분포가 사용되며, 강우관측은 반사도 인자(Z)와 지상 강우강도(R)의 관계에 의존하므로 Z-R 관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 Marshall and Palmer(1948) 가 강우입자의 크기분포를 이용하여 Z-R 관계식 Z = aRb 을 제시한 이후로 많은 연구자들은 강우형태에 따른 Z-R 관계식을 제시하였으며(Fujiwara, 1965; Joss and Waldvogel, 1970; Austin, 1987; Atla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tlas, D., R. C. Srivastava, and R. S. Sekhon, 1973: Dop-pler radar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t vertical incidence. Rev. Geophys. Space Phys., 11, 1-35. 

  2. Atlas, D., C. W. Ulbrich, F. D. Marks Jr., E. Amitai, and C. R. Williams, 1999: Systematic variation of drop size and radar-rainfall relations. J. Geophys. Res., 104, 6155-6169. 

  3. Austin, A. M., 1987: Relation between measured radar reflectivity and surface rainfall. Mon. Wea. Rev., 115, 1053-1070. 

  4. Cha, J.-W., K.-H. Chang, S.-N. Oh, Y.-J. Choi, J.-Y. Jeong, J.-W. Jung, H.-Y, Yang, J.-Y. Bae, and S.-Y. Kang, 2010: Analysis of observational cases measured by MRR and PARSIVEL disdrometer for understand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tmos., 20, 37-47. 

  5. Choi, D.-Y., J.-Y. Sung, J.-H. Yun, and S.-K. Noh, 2010: Rainfall intensity distribution by time rate in Korea. Proceedings of the 2010 KIIT Summer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Technology, 111-114. 

  6. Chu, Y. H., and C. L. Su, 2008: An investigation of the slope-shape relation for gamma raindrop size distri-bution. J. Appl. Meteor. Climatol., 47, 2531-2544. 

  7. Fujiwara, M., 1965: Raindrop-size distribution from indi-vidual storms. J. Atmos. Sci., 22, 585-591. 

  8. Joss, J., and A. Waldvogel, 1970: A method to improve the accuracy of radar measured amounts of precipitation. Proc. 14th Conf. on Radar Meteorology, Tucson, AZ, Amer. Meteor. Soc., 237-238. 

  9. Lee, G. W., and I. Zawadzki, 2005: Time-scale dependence of the variability and its effects on rain estimation. J. Appl. Meteor., 44, 241-255. 

  10. Lee, C. K., G. W. Lee, and K. E. Kim, 2007: Variability of the rain drop size distributions within a storm. J. Korean Meteor. Soc., 43, 1-16. 

  11. Marshall, J. S., and W. Mck. Palmer, 1948. The distribu-tion of raindrop size. J. Atmos. Sci., 5, 165-166. 

  12. McGaughey, G., E. J. Zipser, R. W. Spencer, and R. E. Hood, 1996: High-resolution passive microwave observations of convective systems over the tropical pacific ocean. J. Appl. Meteor., 35, 1921-1947. 

  13. McKague, D., K. F. Evans, and S. K. Avery, 1998: Asses-ment of the effects of drop size distribution variations retrieved from UHF radar on passive microwave remote sensing of precipitation. J. Appl. Meteor., 37, 155-165. 

  14.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2010: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chnology for weather forecast (II), 67-79. 

  15. Peters, G., B. Fischer, M. Clemens, and A. Wagner, 2005: Profiles of raindrop size distribution as retrieved by micro rain radars. J. Appl. Meteor., 44, 1930-1949. 

  16. Steiner, M., R. A. Houze Jr., and S. E. Yuter, 1995: Clima-tological characterization of three-dimensional storm structure from operational radar and rain gage data. J. Appl. Meteor., 34, 1978-2007. 

  17. Tokay, A., and D. Short, 1996: Evidence from Tropical raindrop spectra of the origin of rain from stratiform versus convective clouds. J. Appl. Meteor., 35, 355-371. 

  18. Uijlenhoet, R., M, Steiner, and J. A. Smith, 2003: Variabil­ity of raindrop size distribution in a squall line and implications for radar rainfall estimation. J. Hydrome­teor., 4, 43-61 

  19. Uijlenhoet, R., and D. S. Torres, 2006: Measurement and parame-terization of rainfall microstructure. J. Hydrol., 328, 1-390. 

  20. Viltard, A., J. Oubt. de F. de Felice, and H. laurent, 1998: Rainfall and 6-9 day wave-like disturbance in west-africa during summer 1989. Meteorol. Atmos. Phys., 66, 229-234. 

  21. Williams, C. R., and K. S. Gage, 2009: Raindrop size dis-tribution variability estimated using ensemble statis-tics. Ann. Geophys., 27, 555-567. 

  22. Zhao, G., R. Chu, T. Zhang, J. Li, J. Shen, and Z. Wu, 2011: Improving the rainfall rate estimation in the midstream of the Heihe River Basin using raindrop size distribution. Hydrol. Earth Syst. Sci., 15, 943-951.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