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기상 관측선 기상 1호에서 관측한 황해의 에어로졸과 구름응결핵 수농도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Aerosol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s Measured over the Yellow Sea on a Meteorological Research Vessel, GISANG 1 원문보기

대기 = Atmosphere, v.26 no.2, 2016년, pp.243 - 256  

박민수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염성수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김나진 (연세대학교 대기과학과) ,  차주완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  류상범 (국립기상과학원 환경기상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tal number concentration of aerosols larger than 10 nm ($N_{CN10}$), 3 nm ($N_{CN3}$),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N_{CCN}$) were measured during four different ship cruises over the Yellow Sea. Average values of $N_{CN10}$ and $N_{CCN}$ 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에어로졸 생성 이외에도 다양한 요인이 황해의 에어로졸 수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이어 에어로졸과 구름응결핵의 수농도 관측 자료를 축적하고, 더 나아가 황해의 에어로졸 수농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여 해양 경계층의 에어로졸의 특성을 이해하고자 한다.
  • 전반적으로 C3의 수농도가 C4의 수농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농도의 차이가 발생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대기 역궤적, 행성경계층 고도, 기상현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HYSPLIT 모형을 사용하여 100 m 고도에 대한 72시간 역궤적 분석을 수행하였다(Fig.
  • 본 연구에서는 황해에서의 선박관측을 통해 해양경계층 내의 에어로졸과 구름응결핵 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네 번의 항해 동안 관측한 황해의 직경 10 nm 이상의 에어로졸 총 수농도 평균은 각각 5127, 5001, 8411, 9118 cm−3이었으며, 과포화도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문의 저자가 묘박 및 정박기간의 관측 자료를 분석에서 제외한 이유는? 묘박은 선박이 바다 위에서 닻을 내리고 머무는 상태를, 정박은 선박이 항구에서 닻을 내리고 머무는 상태를 의미한다. 선박의 전방부분에 관측용 컨테이너를 설치하여 선박이 이동할 때 선박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였지만 선박이 묘박하거나 정박할 때에는 배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풍향에 따라 관측자료가 선박에서 배출되는 에어로졸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그러므로 묘박 및 정박기간의 관측 자료는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에어로졸 생성이란 무엇인가? 즉 황해의 에어로졸 총 수농도 중에서 직경 10 nm 이하의 에어로졸이 차지하는 비는 매우 작았으며, C4를 제외하면 에어로졸 생성을 직접적으로 관측하지는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에어로졸 생성이란 이산화황 등의 전구기체로부터 매우 작은 입자가 생성되어 직경 수 nm 이하의 에어로졸의 수농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말한다 (Kulmala et al., 2004, 2013).
대기 중 에어로졸의 영향은 무엇인가? 대기 중 에어로졸은 호흡기 질환 등을 야기하여 인체 건강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Davidson et al., 2005) 직접적으로는 태양복사를 산란하거나 흡수하여 지구 복사 평형에 영향을 미치며 간접적으로는 그중 일부가 구름응결핵으로 작용함으로써 구름의 복사적, 미세물리적 특성을 변화시킨다(Twomey, 1977; Albrecht, 1989). 에어로졸의 간접효과가 지구 복사 평형에 미치는 영향은 종합적으로 음의 강제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것은 온실효과를 상쇄할만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음의 강제력을 정량화하는데 있어서 불확실성이 큰 실정이다 (Ramanatha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lbrecht, B. A., 1989: Aerosols, cloud microphysics and fractional cloudiness. Science, 245, 1227-1230. 

  2. Andreae, M. O., and D. Rosenfeld, 2008: Aerosol-cloud-precipitation interactions. Part 1. The nature and sources of cloud-active aerosols. Earth-Sci. Rev., 89, 13-41. 

  3. Boy, M., and M. Kulmala, 2002: Nucleation events in the continental boundary layer: Influence of physical and meteorological parameters. Atmos. Chem. Phys., 2, 1-16. 

  4. Davidson, C. I., R. F. Phalen, and P. A. Solomon, 2005: Airborne Particulate Matter and Human Health: A review. Aerosol Sci. Tech., 39, 737-749. 

  5. Hamed, A., H. Korhonen, S. L. Sihto, J. Joutsensaari, H. Jarvinen, T. Petaja, F. Arnold, T. Nieminen, M. Kulmala, and J. N. Smith, 2011: The role of relative humidity in continental new particle formation. J. Geophys. Res., 116, D03202. 

  6. Kim, J. H., M. Park, S. Shim, and S. S. Yum, 2012: On the contrast of aerosol size distribution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of the Korean Penisula. Atmosphere, 22, 87-96 (in Korean). 

  7. Kim, J. H., S. S. Yum, S. Shim, S.-C. Yoon, J. G. Hudson, J. Park, and S.-J. Lee, 2011: On aerosol hygroscopicity, cloud condensation nuclei (CCN) spectra and critical supersaturation measured at two remote islands of Korea between 2006 and 2009. Atmos. Chem. Phys., 11, 12627-12645. 

  8. Kim, J. H., S. S. Yum, S. Shim, W. J. Kim, M. Park, J. Kim, M. Kim, and S. C. Yoon, 2014: On the submicron aerosol distributions and CCN number concentrations in and around the Korean Peninsula. Atmos. Chem. Phys., 14, 8763-8779. 

  9. Kim, J. H., S. S. Yum, Y.-G. Lee, and B.-C. Choi, 2009: Ship measurements of submicron aerosol size distributions over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Atmos. Res., 93, 700-714. 

  10. Kim, Y., S.-C. Yoon, S.-W. Kim, K.-Y. Kim, H.-C. Lim, and J. Ryu, 2013: Observation of new particle formation and growth events in Asian continental outflow. Atmos. Environ., 64, 160-168. 

  11. Kulmala, M., H. Vehkamaki, T. Petaja, M. Dal Maso, A. Lauri, V.-M. Kerminen, W. Birmili, and P. H. McMurry, 2004: Formation and growth rates of ultrafine atmospheric particles: a review of observations. J. Aerosol Sci., 35, 143-176. 

  12. Kulmala, M., and Coauthors, 2013: Direct observations of atmospheric aerosol nucleation. Science, 339, 943-946. 

  13. Lee, Y.-G., C.-H. Cho, and M.-S. Kim, 2008: Developing a method for detecting the asian dust event among high PM10 events using aerodynamic particle sizer (APS). Atmosphere, 18, 25-32 (in Korean). 

  14. Liu, S., and X.-Z. Liang, 2010: Observed diurnal cycle climatology of planetary boundary layer height. J. Climate, 23, 5790-5809. 

  15. Noone, K. J., and Coauthors, 1992: Changes in aerosol size- and phase distributions due to physical and chemical processes in fog. Tellus B, 44, 489-504. 

  16. Pirjola, L., M. Kulmala, M. Wilck, A. Bischoff, F. Stratmann, and E. Otto, 1999: Effects of aerosol dynamics on the formation of sulphuric acid aerosols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J. Aerosol Sci., 30, 1079-1094. 

  17. Ramanathan, V., P. Crutzen, J. Kiehl, and D. Rosenfeld, 2001: Aerosols, climate, and the hydrological cycle. Science, 294, 2119-2124. 

  18. Rolph, G. D. 2016: Real-time Environmental Applications and Display sYstem (READY). [Available online at http://www.ready.noaa.gov]. 

  19. Rose, D., S. S. Gunthe, E. Mikhailov, G. P. Frank, U. Dusek, M. O. Andreae, and U. Poschl, 2008: Calibration and measurement uncertainties of a continuousflow cloud condensation nuclei counter (DMTCCNC): CCN activation of ammonium sulfate and sodium chloride aerosol particles in theory and experiment. Atmos. Chem. Phys., 8, 1153-1179. 

  20. Sasakawa, M., A. Ooki, and M. Uematsu, 2003: Aerosol size distribution during sea fog and its scavenge process of chemical substances over the northwestern North Pacific. J. Geophysic. Res., 108, 4120, doi:10.1029/2002JD002329. 

  21. Schwartz, S. E., R. J. Charlson, R. A. Kahn, J. A. Ogren, and H. Rodhe, 2010: Why hasn't Earth warmed as much as expected? J. Climate, 23, 2453-2464. 

  22. Solomon, S., D. Qin, M. Manning, Z. Chen, M. Marquis, K. B. Averyt, M. Tignor, and H. L. Miller, Eds., 2007: Climate Change 2007-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56pp. 

  23. Stein, A. F., R. R. Draxler, G. D. Rolph, B. J. B. Stunder, M. D. Cohen, and F. Ngan, 2015: NOAA's HYSPLIT atmospheric transport and dispersion modeling system. Bull. Amer. Meteor. Soc., 96, 2059-2077. 

  24. Twomey, S., 1977: The influence of pollution on the shortwave albedo of clouds. J. Atmos. Sci., 34, 1149-1152. 

  25. Yum, S. S., and J. G. Hudson, 2001: Vertical distributions of cloud condensation nuclei spectra over the springtime Arctic Ocean. J. Geophys. Res., 106, 15045-15052. 

  26. Yum, S. S., and J. G. Hudson, K. Y. Song, and B.-C. Choi, 2005; Springtime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s on the west coast of Korea, Geophys. Res. Lett., 32, L09814, doi:10.1029/2005GL022641. 

  27. Yum, S. S., G. Roberts, J. G. Kim, K. Song, and D. Kim, 2007: Submicron aerosol size distributions and cloud condensation nuclei concentrations measured at Gosan, Korea, during the Atmospheric Brown Clouds-East Asian Regional Experiment 2005. J. Geophys. Res., 112, D22S32. 

  28. Zeng, X., M. A. Brunke, M. Zhou, C. Fairall, N. A. Bond, and D. H. Lenschow, 2004: Marine atmospheric boundary layer height over the eastern pacific: Data analysis and model evaluation. J. Climate, 17, 4159-41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