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 hydrogen peroxide 자가미백 부착대와 프라이머 겸용에 의한 치아미백 효과 평가
Clinical evaluation of bleaching effect of 3% hydrogen peroxide strip with primer on human enamel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13 no.5, 2013년, pp.901 - 908  

양해영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김은경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최성숙 (수성대학교 치위생과) ,  조민정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이영은 (대구보건대학교 치위생과) ,  윤호영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  송근배 (경북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예방치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leaching effect of 3%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strip with primer in vivo. Methods : 22 female subjects aged from 20 to 39 years old were recruited after informed consent.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with control and experimenta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3% HP가 포함된 프라이머와 자가미백 부착대를 겸용하여 사용하였을 때에 미백효과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기능성 미백제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미백제에 의한 부작용을 평가하고 예방법을 모색할 수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이에 본 실험에서는 3% HP가 포함된 프라이머와 자가미백 부착대의 겸용에 의한 미백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의 심미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치아의 심미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로는 치아의 외형, 크기, 배열, 표면상태, 색조 및 질병 상태 등의 치아요인과 입술과 잇몸의 색조, 안면의 형태와 같은 치아 외 요인 등이 있는데, 특히 치아의 색조는 심미성에 영향을 많이 주는 인자이다. 치아의 색조는 개인의 법랑질과 상아질의 색과 두께 및 굴골, 투명도와 광택도, 표면구조 등에 의해 결정되는 치아고유의 색과 내인성 및 외인성 착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2).
치아미백치료는 무엇인가? 내인성 착색이란 치아내부구조로 변색원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치아 경조직 형성기에 과도한 불소복용으로 인한 법랑질의 변색, 임신 중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약물 복용에 의한 착색 및 치수내 병변이나 출혈과 같은 치아의 외상으로 인한 착색에 의해 발생하며3) , 외인성 착색은 장기간 흡연이나 적포도주 등과 같이 탄닌성분4)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빈번하게 섭취하거나,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또는 주석 및 금속염이 함유된 구강세정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5) , 그리고 커피, 차 또는 카레와 같이 색소가 많이 함유된 식음료를 자주 섭취하는 경우에 나타나기 쉽다6) . 이와 같이 외적 혹은 내적인 원인에 의해 착색된 치아의 색을 원래의 치아의 색상으로 되돌려 주거나, 이전보다 더 하얀 치아로 만들어 주는 것이 치아미백치료이다. 이에 부응하여 다수의 국가에서 겔 타입이나 액체 타입의 치아미백제 등이 경쟁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치아 미백은 심미치과의 꽃이라 불릴 만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치아의 색조에 영향을 주는 내인성, 외인성 착색은 어떤 것인가? 치아의 색조는 개인의 법랑질과 상아질의 색과 두께 및 굴골, 투명도와 광택도, 표면구조 등에 의해 결정되는 치아고유의 색과 내인성 및 외인성 착색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2). 내인성 착색이란 치아내부구조로 변색원이 침투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치아 경조직 형성기에 과도한 불소복용으로 인한 법랑질의 변색, 임신 중 테트라사이클린 등의 약물 복용에 의한 착색 및 치수내 병변이나 출혈과 같은 치아의 외상으로 인한 착색에 의해 발생하며3) , 외인성 착색은 장기간 흡연이나 적포도주 등과 같이 탄닌성분4)을 많이 함유한 식품을 빈번하게 섭취하거나, 클로르헥시딘 (chlorhexidine) 또는 주석 및 금속염이 함유된 구강세정제를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5) , 그리고 커피, 차 또는 카레와 같이 색소가 많이 함유된 식음료를 자주 섭취하는 경우에 나타나기 쉽다6) . 이와 같이 외적 혹은 내적인 원인에 의해 착색된 치아의 색을 원래의 치아의 색상으로 되돌려 주거나, 이전보다 더 하얀 치아로 만들어 주는 것이 치아미백치료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ndrew J. Tooth colour: a review of the literature. J Dent 2004; 32(suppl): 3-12. 

  2. Watts A, Addy M. Tooth discolouration and staining: a review of literature. Br Dent J 2001; 190(6): 309-16. 

  3. Feinman RA, Goldstein RE, Garber DA. Bleaching teeth. Chicago: Quintessence; 1987; 9. 

  4. Nordbo H. Discoloration of dental pellicle by tannic acid. Acta Odontol Scand 1977; 35(6): 305-10. 

  5. Addy M, Moran J. Extrinsic tooth discoloration by metals and chlorhexidine: II. Clinical staining produced by chlorhexidine, iron and tea. Br Dent J 1985; 159(10): 331-4. 

  6. Eriksen HM, Nordbo H. Extrinsic discoloration of teeth. J Clin Periodontal 1978; 5(3): 286-96. 

  7. Nutting EB, Poe GS. A new combination for bleaching teeth. J South Calif Dent Assoc 1963; 31(9): 289-91. 

  8. Lopes GC, Bonissoni L, Baratieri LN, Vieira LC, Monterio S Jr. Effect of bleaching agents on the hardness and morphology of enamel. J Esthet Restor Dent 2002; 14(1): 24-30. 

  9. Nutting EB, Poe GS. A new combination for bleaching teeth. J South Calif Dent Assoc 1963; 31(9): 289-91. 

  10. Jung SH, Park DY, Ma DS. Efficacy of six months of a 2.6% hydrogen peroxide containing tooth-whitening strips.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4; 28(1): 117-25. 

  11. Clark DM, Hintz J. Case report: in-office tooth whitening procedure with 35% carbamide peroxide evaluated by the minolta CR-321 chroma meter. J Esthet Dent 1998; 10(1): 37-42. 

  12. Basting RT, Amaral FL, Franca FM, Florio FM. Clinical comparative study of the effectiveness of and tooth sensitivity to 10% and 20% carbamide peroxide home-use and 35% and 38% hydrogen peroxide in-office bleaching materials containing desensitizing agents. Oper Dent 2012; 37(5): 464-73. 

  13. Da Costa J, Lubisich E, Ferracane J, Hilton T. Comparison of efficacy of an in-office whitening system used with and without a whitening priming agent. J Esthet Restor Dent 2011; 23(2): 97-104. 

  14. Moraes PR, Marimon JL, Schneider LF, Correr Sobrino L, Camacho GB, Bueno M. Carbamide peroxide bleaching agents: effects on surface roughness of enamel, composite and porcelain. Clin Oral Investing 2006; 10(1): 23-8. 

  15. Rosenstiehl SF, Gegauff AG, Johnston WM. Randomized clinical trial of the efficacy and safety of a home bleaching procedure. Quintessence Int 1996; 27(6): 413-24. 

  16. Wiegand A, Vollmer D, Foitzic M, Attin R, Attin T. Efficacy of different whitening modalities on bovine enamel and dentin. Clin Oral Investing 2005; 9(2): 91-7. 

  17. Lee SY, Jeong SH, Kang SM, Kwon HK, Kim BI. Effect of 2.8% hydrogen peroxide gel on tooth whitening in vitro. J Korean Acad Oral Health 2007; 31(1): 20-30. 

  18. Shim YS. The effect of tooth bleaching agent contained 35% hydrogen peroxide on the color, microhardness and surface roughness of tooth-colored restorative materials. J Korean Soc of Dent Hygiene 2012; 12(3): 533-41. 

  19. Geralch RW, Gibb RD, Sagel PA. A randomized clinical trial comparing a novel 5.3% hydrogen peroxide whitening strip to 10%, 15%, and 20% carbamide peroxide tray-based bleaching system. Compend Contin Educ Dent 2000; 21(29): S22-8. 

  20. Gerlach RW, Zhou X. Comparative clinical efficacy of two professional bleaching systems. Compend Contin Educ Dent 2002; 23(1A): 35-41. 

  21. Lenhard M. Assessing tooth color change after repeated bleaching in vitro with a 10 percent carbamide peroxide gel. J Am Dent Assoc 1996; 127(11): 1618-24. 

  22. Shotwell JL, Razzoong ME, Koran A. Color stability of longterm soft denture liners. J Proshet Dent 1992; 68(5): 836-8. 

  23. Gregus Z, Klaassen CD. Mechanisms of toxicity. In: Cssarett and Doull's Toxicology, the basic science of poisons. Kaassen CD. ed. 3rd ed. New York: McGraw-Hill Companies Inc; 1986: 35-74. 

  24. Cotton FA, Wilkinson G. Oxygen. In: Advances in inorganic chemistry: a comprehensive text. Cotton FA, Wilkinson G. eds. New York: Interscience; 1966: 403-20. 

  25. Wetter NU, Branco EP, Deana AM, Pelino JE. Color differences of canines and incisors in a comparative long-term clinical trial of three bleaching systems. Lasers Med Sci 2009; 24(6): 941-7. 

  26. Ruyter IE, Nilner K, Moller B. Color stability of dental composite resin materials for crown and bridge veneers. Dent Mater 1987; 3(5): 246-51. 

  27. Johnston WM, Kao EC. Assessment of appearance match by visual observation and clinical colorimetry. J Dent Res 1989; 68(5): 819-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