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논벼 NPP 지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벼 수량 추정 - MODIS 영상과 CASA 모형의 적용 -
Prediction of Rice Yield in Korea using Paddy Rice NPP index - Application of MODIS data and CASA Model -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5, 2013년, pp.461 - 476  

나상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이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장소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SA 모델은 작물의 순 일차생산량(NPP)을 추정하는 가장 빠르고 정확한 모델 중 하나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1) 2002년 ~ 2012년 동안 한국의 논지역을 대상으로 작물 NPP의 시공간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고, (2) 연간 NPP와 쌀 생산성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3) MODIS Product와 태양 복사량을 CASA 모형에 적용하여 2012년 한국의 쌀 수량을 추정하는 것이다. 또한, (4) 통계청이 발표한 최종 수량과 비교를 통해 적용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월별 또는 누적 NPP와 수량과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총 누적 NPP와 9월의 NPP가 쌀 수량과 높은 상관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를 이용하여 추정한 2012년 예측 수량은 누적 NPP 적용시 526.93 kg/10a, 9월의 NPP 적용시 520.32 kg/10a로 추정되었다. 통계청의 최종 수량과의 RMSE는 각각 9.46 kg/10a, 12.93 kg/10a를 나타내었으나, 전반적으로 두 모형 모두 1:1선에 근접한 결과를 보이고 있어 NPP를 이용한 벼 수량 추정 모형이 논벼 수량의 변화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arnegie-Ames-Stanford Approach (CASA) model is one of the most quick, convenient and accurate models to estimate the NPP (Net Primary Productivity) of vegeta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examine the spatial and temporal patterns of vegetation NPP of the paddy field area in Korea from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연구자들은 원격탐사에 의한 물수지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식생지수, 지표면 복사온도 및 지표면 수분지수 등을 입력자료로 사용하여 기존의 1차원(Point Scale)에서 광역 범위의 2차원(Field Scale) 분석을 시도하고 있다. 그러나 물수지 모형은 일사량, 광합성 능력 등의 효과가 배제되고 직접적으로 작황을 추정하기보다는 농업 생태계의 수분 및 에너지 수지를 추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논으로 관개된 물은 증발산량 외에 상당량이 지표 혹은 심층으로 침투되어 정확한 물수지 파악이 어렵고, 밭의 경우 대상작물이 다양하고 물이용이 연중에 걸쳐 있어 정량적인 작황 추정에는 한계가 있다.
  • 이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된 모형에 대하여 정확도를 비교한 선행 연구에서는 Carnegie Ames Stanford Approach(CASA) 모형이 조밀한 밀도의 농경지에서 NPP 추정 정확도가 타모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Tao et al., 2005),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벼의 생육기간 동안의 시계열 MODIS 자료와 기상자료를 CASA 모형에 적용하여 얻어진 NPP와 수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논벼 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 , 1997). 본 연구에서는 벼의 최종 수량과 상관성 높은 NPP를 선택하기 위해 월별 및 생육기간 총 누적 NPP와 벼 수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 또한 대부분의 기상관측소는 논에 위치하고 있기보다는 관리가 용이한 도심지에 위치한다. 이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89개 지점의 관측소 및 599개 지점의 자동 기상관측 장치(Automatic Weather Station, AWS)에서 관측된 일별 일사량 자료를 수집하고 Cressman 기법을 이용하여 3 km의 공간해상도의 격자 간격을 가지도록 객관 분석을 수행하였다(Ahn et al., 2010; Cressman, 1959). 또한, 이를 모형에 적용이 가능하도록 2차원 격자자료로 변환한 후, 8일 간격으로 합산하여 공간분포도를 작성하였다(Fig 1).
  • 이와 같이 다양하게 개발된 모형에 대하여 정확도를 비교한 선행 연구에서는 Carnegie Ames Stanford Approach(CASA) 모형이 조밀한 밀도의 농경지에서 NPP 추정 정확도가 타모형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Tao et al., 2005),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2002년부터 2012년까지 벼의 생육기간 동안의 시계열 MODIS 자료와 기상자료를 CASA 모형에 적용하여 얻어진 NPP와 수량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논벼 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설 설정

  • 특히, NPP 추정 모형은 대부분 외국으로부터 수집하여 국내 농업 여건에 맞게 조정하는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국내 환경에 적용 가능한 수식 및 수치를 찾아내는 선행연구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선행연구의 일환으로 본 논문에서는 국내 벼 재배지역을 관개답으로 가정하였고, 지적도를 이용하여 추출한 논벼 재배지 격자를 사용하였다. 따라서 이에 따른 오차를 제거하기 위한 방안으로 광이용효율 적용시 대상지역의 관개면적 비율의 고려, 논벼 재배지 격자 추출시 시계열 영상에 의한 휴경지의 제외 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특히, 논의 경우 관개 유무에 따라 εmax 값이 조정되며, 본 연구에서는 전 지구 관개 논이라 가정하고 0.48의 단일값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험적 통계모형으로 추정한 작황에서 오차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 2012). 이는 실제 생육과정에서 발생되는 병충해, 기상재해 등 돌발현상은 고려하지 않으므로 추정된 수량은 주어진 조건하에서의 잠재수량에 가깝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경험적 통계모형은 이론적 근거가 약하고 모형이 개발된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적용이 가능하여 넓은 범위의 위성영상에 바로 적용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경험적 통계모형이란 무엇인가? 현재까지 원격탐사를 이용한 작황 추정은 경험적 통계모형(Empirical Statistical Models; ESM)이 주를 이루어왔다. 경험적 통계모형은 식생의 분광특성을 이용하여 얻어진 식생지수(NDVI, EVI, LAI, RVI, PVI 등)를 이용하여 작황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작황은 작물 생육기간의 기상여건, 비료 및 농약, 관개상황 및 경작 방법 등이 결정요인으로 작용함에 따라 많은 학자들은 오래 전부터 작황과 결정요인 사이에 함수관계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여 이들 간의 상관관계를 연구하여 왔다.
LUE를 이용한 방법을 기반으로 개발된 NPP 추정 모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따라서 복잡한 토양-식생-대기 전달모형부터 광이용효율(Light Use Efficiency, LUE)을 이용한 단순 모형까지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었다. 그 중 LUE를 이용한 방법을 기반으로 개발된 NPP 추정 모형으로는 CFix(Veroustraete, 1994), CASA(Field et al., 1995), GLOPEM(Prince and Goward, 1995), SDBM(Knorr and Heimann, 1995), TURC(Ruimy et al., 1996), MODIS NPP(Running et al., 2004) 등이 있으며, 각 모형은 NPP 추정 시 고려하는 환경 스트레스의 종류 및 추정식이 다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Ahn, J.B., J.N. Hur, and K.M. Shim, 2010. A Simulation of Agro-Climate Index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Dynamical Downscaling with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1-10. 

  2. Allen J.D., 1990. A Look at the Remote Sensing Applications Program of the National Agricultural Statistics Service. Journal of Official Statistics, 6(4): 393-409. 

  3. Cressman, G.P., 1959. An operational objective analysis system. Mon. Wea. Rev., 87, 367-374. 

  4. Doraiswamy, P.C, T.R. Sinclair, S. Hollinger, B. Akhmedov, A. Stern, and J. Prueger, 2005. Application of MODIS derived parameters for regional crop yield assessmen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7: 192-202. 

  5. Falcon, W.P., and R.L. Naylor, 2005. Rethinking Food Security for the Twenty-First Century, American Journal of Agricultural Economics, 85(5): 1113-1127. 

  6. Ferencz Cs., P. Bognar, J. Lichtenberger, D. Hamar, G. Tarcsai, G. Timar, G. Molnar, SZ. Pasztor, P. Steinbach, B. Szekely, O.E. Ferencz, and I. FerenczArkos, 2004. Crop Yield Estimation by Satellite Remote Sensing,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5(20): 4113-4149. 

  7. Field, C.B., J.T. Randerson, and C.M. Malmstrom, 1995. Global net primary production: Combining ecology and remote sensing,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51: 74-88. 

  8. Hong, J.H., C.S. Shim, M.J. Lee, G.H. Baek, W.K. Song, S.W. Jeon, and Y.H. Park, 2011. Net Primary Production Changes over Korea and Climate Factors,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7(4): 467-4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Hong, S.Y., E.Y. Choe, G.Y. Kim, S.K. Kang, Y.H. Kim, and Y.S. Zhang, 2009. A study on Estimating Rice Yield of North Korea using MODIS NDVI, Proc. of 2009 Korea Remote Sensing Symposium, Seoul, Korea, Mar. 25, 116-120. 

  10. Hong, S.Y., J.N. Hur, J.B. Ahn, J.M. Lee, B.K. Min, C.K. Lee, Y.H. Kim, K.D. Lee, S.H. Kim, G.Y. Kim, and K.M. Shim, 2012. Estimating Rice Yield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 509-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Hong, S.Y., J.T. Lee, S.K. Rim, and J.S. Shin, 1997. Radiometric estimates of grain yields related to crop aboveground net production (ANP) in paddy rice, Proc. of 1997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Singapore, Aug. 3-8, 1793-1795. 

  12. Kim, M.H., C.K. Lee, H.K. Park, J.E. Lee, B.C. Koo, and J.C. Shin, 2008. A Study on Rice Growth and Yield Monitoring Using Medium Resolution Landsat Imagery, Korean Journal Crop Science, 53(4): 388-393. 

  13. Knorr, W., and M. Heimann, 1995. Impact of drought stress and other factors on seasonal land biosphere CO2 exchange studied through an atmospheric tracer transport model, Tellus, 47(4): 471-489. 

  14. Lobell, D.B., J.A. Hicke, G.P. Asner, C.B. Field, C.J. Tucker, and S.O. Los, 2002. Satellite estimates of productivity and light use efficiency in United States agriculture, 1982-1998. Global Change Biology, 8: 722-735. 

  15. Monteith, J.L., 1972. Solar radiation and productivity in tropical ecosystems, J. Appl. Ecol., 9: 747-766. 

  16. Na, S.I., J.K. Park, S.C. Baek, and J.H. Park, 2011. A Study on the Key Factors Extraction and Paddy Fields Mapping for the Development of Rice Yield Prediction Model using RS/GIS, Proc.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Daegu, Korea, Sep. pp.22-23. 

  17. Na, S.I., J.H. Park, and J.K. Park, 2012. Development of Korean Paddy Rice Yield Prediction Model (KRPM) using Meteorological Element and MODIS NDV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3): 141-148. 

  18. Na, S.I., J.K. Park, C.S. Baek, S.Y. Oh, and J.H. Park. 2012.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NDVI and Paddy Rice Yield by Spatial Scale, Proc. of Annual Conference of Korea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Cheonan, Korea, Sep. pp.18-19. 

  19. Nayak, R.K., N.R. Patel, and V.K. Dadhwal, 2010. Estimation and analysis of terrestrial net primary productivity over India by remote-sensing-driven terrestrial biosphere model, Environ. Monit. Assess., 170: 195-213. 

  20. Ozdogan, M., 2011. Exploring the potential contribution of irrigation to global agricultural primary productivity,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25(3): GB3016. 

  21. Potter, C., S. Klooster, R. Myneni, and V. Genovese, 2004. Terrestrial Carbon Sinks Predicted from MODIS Satellite Data and Ecosystem Modeling, Earth Observer, 16(2): 15-20. 

  22. Prince, S.D., and S.N. Goward, 1995. Global primary production: A remote sensing approach, Journal of Biogeography, 22: 815-835. 

  23. Raich, J.W., E.B. Rastetter, J.M. Melillo, D.W. Kicklighter, P.A. Steudler, B.J. Peterson, A. Grace , B. Moore, and C.J. Vorosmarty, 1991. Potential net primary productivity in South- America-application of a global-model, Ecological Applications, 1: 399-429. 

  24. Ren J.Q., Z.X. Chen, Q.B. Zhou, and H.J. Tang, 2008. Regional Yield Estimation for Winter Wheat with MODIS-NDVI Data in Shandong, China,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10: 403-413 

  25. Ruimy, A., G. Dedieu, and B. Saugier, 1996. TURC: A diagnostic model of continental gross primary productivity and net primary productivity, Global Biogeochemical Cycles, 10(2): 269-285. 

  26. Running, S.W., R.R. Nemani, F.A. Heinsch, M.S. Zhao, M. Reeves, and H. Hashimoto, 2004. A continuous satellite-derived measure of global terrestrial primary production, Bioscience, 54(6): 547-560. 

  27. Tao, F., M. Yokozawa, Z. Zhang, Y. Xu, and Y. Hayashi, 2005. Remote sensing of crop production in China by production efficiency models: models comparisons, estimates and uncertainties, Ecological Modelling, 183: 385-396. 

  28. Veroustraete, F., 1994. On the use of a simple deciduous forest model for the interpretation of climate change effects at the level of carbon dynamics, Ecological Modelling, 75(76): 221-237. 

  29. Wang, L., G. Hong, Z. Caiping, Z. Haitao, L. Chao, and Z. Qilin, 2008. Vegetation NPP distribution based on MODIS data and CASA model-A case study in Haihe River basin, China, Proc. of SPIE, Vol. 6625. 

  30. Xiao, X.M., S. Boles, J.Y. Liu, D.F. Zhuang, and M.L. Liu, 2002. Characterization of forest types in Northeastern China, using multitemporal SPOT- 4 VEGETATION sensor data,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2: 335-348. 

  31. Xiao, X.M., D. Hollinger, J.D. Aber, M. Goltz, E.A. Davidson, and Q.Y. Zhang, 2004. Satellite-based modeling of gross primary production in an evergreen needleleaf fores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9: 519-534. 

  32. Xiao, X., Q. Zh, S. Salesk, L. Hutyra, P.D. Camargo, S. Wofsy, S. Frolking, S. Boles, M. Keller, and B. Moore, 2005. Satellite-based modeling of gross primary production in a seasonally moist tropical evergreen fores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4: 105-122. 

  33. Zhao, M., F.A. Heinsch, R.R. Nemani, and S.W. Running, 2005. Improvements of the MODIS terrestrial gross and net primary production global data set,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95: 164-17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