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계층분류 기법을 이용한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
Satellite Imagery based Winter Crop Classification Mapping using Hierarchica Classification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5 pt.2, 2017년, pp.677 - 687  

나상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찬원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소규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재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기반의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을 위한 계층분류 기법을 제안한다. 계층분류 기법은 입력 자료를 계층별로 정의하여 분류하는 방법으로 혼합 픽셀의 효과를 줄이고 분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북 김제시의 동계작물을 대상으로 Landsat-8 위성영상을 사용하였다. 먼저, Landsat-8 위성영상에서 스마트 팜 맵을 이용하여 농경지를 분류하였다. 그리고 추출된 농경지를 대상으로 시계열 식생지수를 사용하여 동계작물 재배지를 추출한 후, 최종적으로 무인기 영상에서 추출한 훈련자료를 활용하여 밀, 보리, IRG, 청보리 및 혼파 재배지로 분류하였다. 그 결과, 계층분류 기법에 의한 동계작물 분류 정확도는 98.99%로 동계작물별 재배 필지를 효과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안된 분류방법은 작물구분도 작성에 효과적으로 사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use of hierarchical classification for winter crop mapping based on satellite imagery. A hierarchical classification is a classifier that maps input data into defined subsumptive output categories. This classification method can reduce mixed pixel effects and improve c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andsat-8 위성영상을 사용하여 동계작물의 재배면적과 공간분포를 파악하여 시군 단위 동계작물 구분도 작성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밀, 보리, IRG, 청보리 등 다양한 동계작물이 혼재 되어 있는 김제시를 대상으로 계층분류 기법을 적용하 였으며, 농업기술센터에서 조사한 작목별 재배면적과 비교하여 적용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동계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특히, 동계사료작물은 재배과정에서 제초제, 살충제 등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수확도 논에서 바로 원형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하계사료작물에 비해 재배와 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동계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적기 파종이다. 파종을 적기에 하지 못하고 늦어지면 월동률이 낮아지고 봄에 초기 생육이 불량하여 생산량이 급격하게 줄어든다.
동계사료작물의 장점은 무엇인가? 최근 농림축산식품부는 전 세계적인 이상기후로 인한 주요 곡물생산국의 생산량 감소와 곡물시장 불안에 적극 대응하고 겨울철 유휴농지에 밀, 보리 및 조사료 재배를 확대하여 경지이용률을 제고하겠다는 다목적 측면에서 동계작물 답리작 재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특히, 동계사료작물은 재배과정에서 제초제, 살충제 등농약을 거의 사용하지 않고, 수확도 논에서 바로 원형곤포 사일리지로 조제할 수 있기 때문에 하계사료작물에 비해 재배와 관리가 쉬운 장점이 있다. 동계작물 재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적기 파종이다.
토지 피복/이용도, 작물구분도 등의 주제도 제작이 농업 분야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 2016). 특히 작물구분도는 재배 면적 산출이나 작황 예측 및 모니터링을 위한 입력 자료로 활용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Kim et al., 2014; McNairn et al., 2014). 주요 곡물 수입국의 작황 파악을 위해 작물 구분도는 예측을 위한 재배면적을 제공하고, 위성의 자료값 추출을 위한 작물 마스크 등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신뢰성 높은 작물구분도의 조기 제작은 매우 중요하다 (Kim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ntonarakis, A., K.S., Richards, and J. Brasington, 2008. Object-based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airborne LiDAR,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112(6): 2988-2998. 

  2. Conrad, C., R.R. Colditz, S. Dech, D. Klein, and P.L.G. Vlek, 2011. Temporal segmentation of MODIS time series for improving crop classification in Central Asian irrigation systems,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32(23): 8763-8778. 

  3. Doraiswamy, P.C., A.J. Stern, and B. Akhmedov, 2007. Crop classification in the US Corn Belt using MODIS imagery, Proc. of 2007 IEEE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Barcelona, Jul. 23-28, pp. 809-812. 

  4. Franklin S. and M. Wulder, 2002. Remote sensing methods in medium spatial resolution satellite data land cover classification of large area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6(2): 173-205. 

  5. Gimje city Homepage, http://www.gimje.go.kr/, Accessed 6 Apr. 2017. 

  6. Hong, S.C., B.H. Lee, S.J. Jang, and Y.H. Park, 2015. Improve the quality of farm map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2015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pp. 159-162. 

  7. Hong, S.Y., B.K. Min, J.M. Lee, Y.H. Kim, and K.D. Lee, 2012. Estimation of paddy field area in North Korea Using RapidEye Images,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45(6): 1194-120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Y.S., K.D. Lee, S.I. Na, S.Y. Hong, N.W. Park, and H.Y. Yoo, 2016. MODIS Data-based Crop Classification using Selectiv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2(3): 235-24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Y.S., N.W. Park, S.Y. Hong, K.D. Lee, and H.Y. Yoo, 2014. Early production of large-area crop classification map using time-series vegetation index and past crop cultivation patterns - A case study in Iowa State, US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0(4): 493-5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KOSIS Homepage, http://www.kosis.kr/, Accessed May 3, 2017. 

  11. McNairn, H., A. Kross, D. Lapen, R. Caves, and J. Shang, 2014. Early season monitoring of corn and soybeans with TerraSAR-X and RADARSAT-2, International Journal of Applied Earth Observation and Geoinformation, 28: 252-259. 

  12. Na, S.I., J.H. Park, and H.S. Shin, 2008. Land-use Mapping and Change Detection in Northern Cheongju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0(3): 61-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Na, S.I., J.H. Park, and J.K. Park, 2012. Development of Korean Paddy Rice Yield Prediction Model (KRPM) using Meteorological Element and MODIS NDV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3): 141-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Simonneaux, V., B. Duchemin, D. Helson, S. Er-Raki, A. Olioso, and A. Chehbouni, 2008. The use of high-resolution image time series for crop classification and evapotranspiration estimate over an irrigated area in central morocco,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95-116. 

  15. USGS Homepage, https://landsat.usgs.gov/landsat-8/, Accessed May 4, 2017. 

  16. Xavier, A.C., B.F. Rudorff, Y.E. Shimabukuro, L.M.S. Berka, and M.A. Moreira, 2006. Multi temporal analysis of MODIS data to classify sugarcane crop,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7(4): 755-76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