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사진을 이용한 방포항 인근 해빈의 장기간 해안선 변화 분석
Analysis on the Long-Term Shoreline Changes for Beaches Near Bangpo Port Using Aerial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29 no.5, 2013년, pp.477 - 486  

김백운 (군산대학교 새만금환경연구센터) ,  윤공현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  이창경 (군산대학교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간 해안선 변화 자료의 구축을 통해 해안선의 시 공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고, 이에 근거하여 해안침식의 향후 경향을 파악하는 일은 연안관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치항공사진을 이용하여 방포항 인근 해안지역의 장기간(1985년 ~ 2009년) 해안선 변화 탐지를 위해 항공삼각측량, 지상기준점측량, 수치도화, 그리고 해안선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그 결과 방포해빈과 꽃지해빈의 해안선은 각각 0.2 m/yr와 최대 0.8 m/yr로 침식된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등고선 변화 통하여 꽃지 해빈의 북부지역에서 침식현상이 가장 뚜렷하게 나타났으며 표고 1 m 간격의 등고선은 최대 45 m 후퇴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화는 다양하고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주된 요인은 1990년대 말에 설치된 해변 옹벽이 해안침식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서 추정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nalyze tendency of temporal and spatial change of shorelines and to estimate rate of shoreline changes using long-term shoreline change data is very important for the coastal environmental management. In this study,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rate of shoreline changes using lo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방포항 인근 방포 및 꽃지 해빈 지역은 2003년에 국립해양조사원에 의해 현황조사만 이루어진 상황이며 그 이전과 이후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부재한 상태였다. 본 연구에서는 그 지역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09년까지 장기간의 해안선 변화율 산정을 수행하고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사용된 자료는 GPS 측량과 같은 현지측량도 포함되지만 주된 분석자료는 과거의 모습을 현재 시점에서 재현 가능한 항공영상을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래가 유실되어 자갈이 노출되는 현상이 수차례 언론에 보도된 안면도 방포항 인근 방포 해수욕장과 꽃지 해수욕장을 대상으로 1985년부터 2009년까지 장기간의 해안선 변화양상을 항공영상, GPS측량, 그리고 국립해양조사원의 고도자료를 활용하여 시계열적인 형태변화 및 침식·퇴적환경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 2013). 이와 같이 연안지역 항공삼각측량의 문제점을 저감시킬 수 있는지 여부를 시험할 목적으로 내륙에 위치한 항공사진을 추가하여 블록을 구성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지역 항공사진을 대상으로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발생하는 문제점은 무엇인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륙으로 배치된 1매의 사진을 추가하여 항공사진 블록을 구성하였다. 연안지역 항공사진을 대상으로 항공삼각측량을 수행할 경우, 지상기준점과 접합점 육상편중 분포로 인하여 항공사진 표정성과에 오차가 크게 나타날 수 있다 (Mills et al., 2003; Kim et al.
약최고고조면이란 무엇인가? 항공사진 블록에 대한 표정을 수행한 후 7개년도 항공사진으로부터 해안선을 도화하였고, 1985년과 2009년 항공사진에 대해서는 표고 1 m와 2 m의 등고선을 추가로 도화하였다. 우리나라에서 해안선은 약최고고조면으로 이는 평균해수면에 4개 분조(M2, S2, K1, O1)의 합만큼 위로 올린 높이의 해면이다. 조사지역 해안선의 표고는 국립해양조사원 해안선조사측량 자료에 의하면 약최고고조면 3.
미국과 네덜란드는 해안선변화자료를 어떻게 구축하였는가? 전 국토에 대하여 해안선변화자료를 모범적으로 구축한 나라는 미국과 네덜란드이다. 미국은 1971년 국가해안선연구를통하여 지역별 한계 침식의 비율(percentage of critical erosion)을 나타내는 지도를 제작하였다(US Army, 1971). 네덜란드는 1963년부터 1999년까지 매년 200-250 m의 간격으로 약 3,000개의 해빈단면(beach profile)을 설정하여 세계적으로 유일한 해빈단면조사자료를 구축하였다(Horn, 200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C., K. Kajiwara, R. Tateishi, and H. Yoo, 1992. The generation of a digital elevation model in tidal flat using multitemporal satellite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8(2): 131- 14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 J., D. Lim, and B. Kim, 2001. Observation of Shoreline Change Using an Aerial Photograph in Hampyung Bay, Southwestern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2(4): 317-32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oi, C. and H. Kim, 2001. The Coastline Change on Gwanganli Beach Using the Digital Aerial Photo,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4): 73-85(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Eom, J., J. Choi, J. Ryu, and J. Won, 2010. Monitoring of Shoreline Change Using Satellite Imagery and Aerial Photograph: For the Jukbyeon, Ulji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5): 571- 58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orn, D. P., 2002. Mesoscale beach processe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6(2): 271-289. 

  6. Jang, S., H. Han, and H. Lee, 2010. Observation of ridge-runnel and ripples in Mongsanpo intertidal flat by satellite SAR imager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2): 115-1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B., B. Khim, and S. Lee, 2005. Development of mosaic aerial photographs for shoreline change study in Nakdong Estuary, Ocean and Polar Research, 27(4): 497-50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B., B. Khim, and S. Lee, 2007. Rate of Shoreline Changes for Barrier Islands in Nakdong Estuar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19(4): 361-37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B., K. Yun, and C. Lee, 2013. The Use of Elevation Adjusted Ground Control Points for Aerial Triangulation in Coastal Area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accepted). 

  10. Kim, J., 2006. Application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 in Coastline Survey, Dept. of Civil Engr. Graduate School of Industry, Kunsan National University, Ms. Thesis. 

  11. Kim, J and D. Jang, 2011.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Journal of The Geomophological Association, 18(2): 39-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K., J. Ryu, S. Kim, and J. Choi, 2010. Application of SAR data to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a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5): 497-5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C., B. Kim, and N. Kim, 2007. Investigation of Shoreline Change by Photogrammetr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15(2): 1-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Mills, J. P., S. J. Buckley, and H. L. Mitchell, 2003. Synergistic fusion of GPS and photogrammetrically generated elevation model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69(4): 341-349. 

  15. Mills, J. P., S. J. Buckley, H. L. Mitchell, P. J. Clarke, and S. J. Edwards, 2005. A geomatics data integration technique for coastal change monitoring, Earth Surface Processes and Landforms, 30(6):651-664. 

  16. Moore, L. J., 2000. Shoreline mapping techniqu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6(1): 111-124. 

  17. Stauble, D. K., 2003. The use of shoreline change mapping in coastal engineering project assessment, Journal of Coastal Research, SI(38): 178-206. 

  18. Thieler, E. R., E. A. Himmelstoss, and T. L. Miller, 2005.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DSAS) version 3.0; An ArcGIS extension for calculating shoreline change.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2005-1304. 

  19. U.S. Army, 1971. Report on the national shoreline study, U.S. Army Corps Engineers, Washington, DC. 

  20. Zhang, Y., X. Xiong, X. Shen, and Z. Ji, 2012. Bundle block adjustment of weakly connected aerial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 Remote Sensing, 78(9): 983-989. 

  21. Zhen Xu, D. Kim and S. H. Kim, 2013.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