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항공영상을 활용한 방아머리 해빈의 해안선 변화 관측
Observation on the Shoreline Changes Using Digital Aerial Imagery for Bangamoeri Beaches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3 no.6 pt.1, 2017년, pp.971 - 980  

윤공현 (연세대학교 공학연구원) ,  송영선 (인하공업전문대학 항공지리정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대부도에 위치하고 있는 방아머리 해빈 인근 지역을 대상으로 과거의 디지털 항공영상을 이용하여 장기간의 해안선 변화 관측을 위한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약 9년 동안의 시간적 간격이 존재하는 항공영상을 취득하였고 항공삼각측량 수행을 위한 GPS-VRS 측량으로 정확한 지상기준점을 취득하였다. 또한 국립해양조사원에서 2013년도에 제공된 2차원 디지털 해안선 지도를 활용하였다. 이러한 다중 자료원을 이용하여 장기간의 방아머리 해빈의 해안선 변화율 산정을 통하여 연안침식에 관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표고 2 m의 경우 최대 수평위치가 약 0.31 m 후퇴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안침식이 발생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it was presented that the strategic approach for the long-term shoreline changes using historic digital aerial images can be effective for the analysis on the bangameori beach, west coast of South Korea. For this purpose, we collected several historic digital aerial images over 9 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모래가 유실되어 자갈이 노출되는 현상이 수차례 언론에 보도된 대부도 방아머리 해빈 인근 지역에 대상으로 2009년부터 2016년까지의 해안선 변화 양상을 디지털항공영상, GPS-VRS측량 그리고 2차원 해안선 수치자료를 이용하여 시계열적인 분석을 통하여 침식양상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해안선의 추출하였으며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하여 생성된 연도별 1 m, 2 m, 3 m, 4 m의 등고선을 이용하여 변화율을 산정하였으며, 이를 위해 Thieler et al.

가설 설정

  • 서로 다른 해안선간의 오차를 계산하는 방법은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Fig. 8와 같이 해안선에 평행한 기준선을 설정한 후 기준선에 수직한 방향으로 해안선을 가로 지르는 횡단선(transect line)을 이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해안 침식 가능성의 방향이 서로 다른 점을 고려하여 방아머리해빈 영역과 방아머리선 착장 영역으로 분리하여 변화율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안의 해안선 변화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에는 무엇이 있나? 다양한 관측 자료를 이용하여 해안선의 시공간적인 변화를 정량적 및 정성적으로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연안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연안의 해안선은 기상, 파랑, 조석 등 외력의 장단기적인 변화에 의해 끊임없이 계속 발생하며, 또한 기후변화와 같은 전 지구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지역적으로는 댐, 방조제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 건설은 해안선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 되고 있다. 구축된 해안선 자료는 해안 침식·퇴적의 경향 파악, 해안이격거리 설정 등 연안관리에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된다.
무인항공기로 촬영한 영상의 특징은? 무인항공기의 경우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다. 무인항공기로 촬영한 영상은 위성영상에 비해 수 cm 급의 높은 공간해상도를 가진다(Tahar et al., 2011).
장기간 시기별로 구축된 해안선 자료를 이용하여 변화율을 산정할 수 있는 통계적인 방법에는 무엇이 있나? 장기간 시기별로 구축된 해안선 자료를 이용하여 변화율을 산정할 수 있는 통계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방법은 SCE(Shoreline Change Envelope), NSM(Net Shoreline Movement), EPR(End Point Rate), LR(Linear Regression Rate), LMS(Least Median of Squares), WLR(Weighted Linear Regression)이며 보조적인 통계방법으로 ECI(Confidence of End Point Rate), LSE(Standard Error of Linear Regression), LCI(Confidence Interval of Linear Regression)등이 있다(Thieler et al., 2009; Ruggier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Goncalves, J.A. and R. Henriques, 2015. UAV photogrammetry for topographic monitoring of coastal areas, ISPRS Journal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104: 101-111. 

  2. Horn, D. P., 2002. Mesoscale beach processes, Progress in Physical Geography, 26(2): 271-289. 

  3. Jang, D.H., M.K. Kim, and G.H. Kim, 2003. Change of the Sedimentary Environment system around the Baramarae Beach, Anmyeondo Area in West Coast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0(2): 143-155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Jang, S.W., S.K. Lee, and H.J. Yeoun, 2011. Detection of Marine Debris by using Unmanned Aerial Photograph,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17(4): 307-3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ung, S.H., H.M. Lim, and J.K. Lee, 2010. Acquisition of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UAV Photogrammetric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28(1): 161-16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B., K. Yun, and C. Lee, 2014. The Use of Elevation Adjusted Ground Control Points for Aerial Triangulation in Coastal Areas, KSCE Journal of Civil Engineering, 18(6): 1825-183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 and D. Jang, 2011. Time-series Analysis of Baramarae Beach in Anmyeondo Using Aerial Photographs and Field Measurement Data, Journal of The Geomophological Association, 18(2): 39-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K., J. Ryu, S. Kim, and J. Choi, 2010. Application of SAR data to the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dimentary environments in a tidal flat,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6(5): 497-5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Kim, Y.S., N.W. Park, D.H. Jang, and H.Y. Yoo, 2013. Error Analysis of Waterline-based DEM in Tidal Flats and Probabilistic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using Geostatistical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20(4): 85-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Lee, K., J. Choi, and C.-H. Joh, 2015. Method to Extract Coastline Changes Using Unmanned Aerial Vehicle,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50(5): 473-4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Mitasova, H., T.G. Drake, R.S. Harmon, and D. Bernstein, 2004. Quantifying rapid changes in coastal topography using modern mapping techniques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Environmental and Engineering Geoscience, 10(1): 1-11. 

  12. Mitasova, H., M.F. Overton, J.J. Recalde, D.J. Bernstein, and C.W. Freeman, 2009. Raster - Based analysis of coastal terrain dynamics from multitemporal LIDAR data, Journal of Coastal Research, 25(2): 507-514. 

  13. Mills, J. P., S. J. Buckley, and H. L. Mitchell, 2003. Synergistic fusion of GPS and photogrammetrically generated elevation models,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69(4): 341-349. 

  14. Moore, L. J., 2000. Shoreline mapping techniqu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6(1): 111-124. 

  15. Ruggiero, P., G.M. Kaminsky, and G. Gelfenbaum, 2003. Linking proxy-based and datum-based shorelines on a high-Energy coastline: implications for shoreline change analys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38: 57-82. 

  16. Sallenger Jr, A.H., W.B. Krabill, R.N. Swift, J. Brock, J. List, M. Hansen, R.A. Holman, S. Manizade, J. Sontag, A. Meredith, K. Morgan, J.K. Yunkel, E.B. Frederick, and H. Stockdon, 2003. Evaluation of airborne topographic lidar for quantifying beach changes, Journal of Coastal Research, 19(1): 125-133. 

  17. Thieler, E.R., E.A. Himmelstoss, J.L. Zichichi, and A. Ergul, 2009. Digital Shoreline Analysis System (DSAS) version 4.0 - An ArcGIS extension for calculating shoreline change, U.S. Geological Survey Open-File Report No. 2008-1278. 

  18. U.S. Army, 1971. Report on the national shoreline study, U.S. Army Corps Engineers, Washington, DC. 

  19. White, S.A. and Y. Wang, 2003. Utilizing DEMs derived from LIDAR data to analyse morphologic change in the North Carolina coastline, Remote Sensing of Environment, 85(1): 39-47. 

  20. Zhang, Y., X. Xiong, X. Shen, and Z. Ji, 2012. Bundle block adjustment of weakly connected aerial imagery, Photogrammetric Engineering and Remote Sensing, 78(9): 983-989. 

  21. Zhen Xu, D. Kim, and S. H. Kim, 2013. Research of Topography Changes by Artificial Structures and Scattering Mechanism in Yoobu-Do Intertidal Flat Using Remote Sensing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1):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